• 제목/요약/키워드: 전기 영동

검색결과 1,440건 처리시간 0.033초

환상 및 선상감자 걀쪽바이로이드 RNA분자의 전기영동적 분리를 위한 효과적인 조건에 관한 연구 (Determining an Effective Electrophoretic Gel System for Separation of the Circular and Linear Potato Spindle Tuber Viroid RNA Molecules)

  • 이재열;김한집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3권4호
    • /
    • pp.239-244
    • /
    • 1987
  • 감자 걀쪽바이로이드(PSTV) RNA분자를 포함한 저분자량의 식물성 RNA분자에 대해서 0M부터 8M까지의 요소농도구배를 가진 폴리아크릴아마이드겔을 이용하여 1/40, 1/10로 희석한 완충액조건과 $17^{\circ}C,\;37^{\circ}C,\;57^{\circ}C$의 온도조건에서 전기영동을 실시하였다. 바이로이드의 RNA분자가 환상과 선상의 두가지 분자로 나뉘어지는 변성조건에서는 1/40로 희석한 TBE완충액을 포함하는 요소농도구배겔을 $57^{\circ}$에서 전기영동을 실시하는 것이 효과적이었다. 변성된 환상의 바이로이드분자에 대한 전기 영동적 이동성은 주로 요소의 농도에 따라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이는데, 이와 더불어 저 농도의 TBE완충액이 요소농도구배겔에서 환상과 선상바이로이드분자 사이에서 전기영동적 분리를 증가시켜 주었다.

  • PDF

감자 걀쪽바이로드(PSTV) RNA 분자의 요소농도기울기겔에서 전기영동적 이동성에 관하여 (Electrophoretic Mobilities of the Potato Spindle Tuber Viroid RNA Molecules in the Urea-Gradient Gels)

  • 이재열
    • 미생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23-27
    • /
    • 1987
  • 바이로이드 RNA 분자를 포함한 저분자량의 식물성 RNA 분자에 대해서 0M부터 8M 까지의 요소구배를 가진 폴리아크릴아미드켈을 이용하여 전기영동적 이동성을 조사하였다. 막대모양의 바이로이드 RNA 분자는 요소구배 겔에서 전반적으로 다른 저분량의 식물성 RNA들과 마찬가지로 요소구배에 수직인 방향으로 비슷한 수준의 전기영동적 이동성을 보여주었다. 이와 달리 고리모양의 바이로이드 RNA 분자는 요소구배 겔에서 고농도의 요소구배 부분에서 보다도 저 농도의 요소구배 부분에서 더 빠르게 이동하였다. 따라서 고리모양의 바이로이드 RNA 분자는 요소구배 겔의 중간부분에서 막대모양의 바이로이드 분자의 밴드를 가로 지르는 기울기를 가진 특이한 전기영동적 이동을 나타내었다. 결과적으로 고리모양의 바이로이드 RNA 분자의 전기영동적 이동성은 0M 8M의 요소구배를 가지는 바이로이드 RNA 분자의 변성겔에서 주로 요소의 농도에 따라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인다.

  • PDF

폐기물 매립지 차수층 누출시 전기영동 복원을 위한 침출수 환경에서의 3차원 형상 모사 연구 (The 3-D Simulation of Electrophoresis Method in Leachate System for Repairing of Leaks in Waste Landfill Geomembrane Liner)

  • 한상재;김종윤;김병일;김수삼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0권1C호
    • /
    • pp.17-25
    • /
    • 2010
  • 전기영동기술은 사용중인 폐기물 매립지(MSW) 지오멤브레인 차수층의 누출 복원을 위한 새로운 기술로서 음으로 대전된 점토입자는 동전기(Electrokinetic) 현상에 의해 누출이 발생되는 차수층까지 이동되고, 누출구 주변에 침출수의 외부유출 방지를 위한 점토 케이크를 형성한다. 본 연구에서는 3차원 누출구 모사실험을 수행하여 전기영동기술의 현장 적용성과 1차원 전기영동 실험을 통해 도출된 최적 인자들의 적절성을 평가하였다. 결과적으로 누출구의 반경이 증대되거나 또는 양전극간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누출구 근처에서 형성된 점토 케이크의 크기(두께 및 폭)는 증가하였다.

전기영동법에 의한 직접메탄올 연료전지용 Pt-Ru/C 복합촉매 전극제조 및 특성평가 (Fabrication of Pt-Ru/C Composite Catalyst Electrodes by Electrophoresis Deposition Method for DMFC Fuel Cell and their Characteristics)

  • 김정현;송민경;김진우;유연태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86.2-86.2
    • /
    • 2011
  • 저온형 연료전지인 직접 메탄올 연료전지(Direct Methanol Fuel Cells, DMFC)는 친환경적인 발전 시스템, 높은 에너지 효율의 장점 때문에 주목을 받고 있으나 연료극의 촉매로 사용되는 금속은 고가의 귀금속인 Pt와 Ru가 요구되어 제조비용이 비싸기 때문에 촉매의 양을 줄이고, 반응 도중 생성되는 CO에 의한 촉매의 피독 문제 등 해결하여야 할 점이 산적해 있어 연료전지 중 촉매의 활성을 높이는 연구들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종래의 MEA의 촉매층 제조공정은 우선 환원석출법에 의해 Pt-Ru/C를 합성하고 Nafion 용액에 혼합하여 Pt-Ru/C 슬러리를 제조한다. 이 방법에서는 carbon sheet에 spray 방법으로 Pt-Ru/C 촉매층이 만들어지기 때문에, Pt-Ru 촉매가 Nafion에 의해 부분적으로 매몰되어 촉매의 전기화학적 활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는 방안으로 펄스전류를 이용하여 Pt-Ru 합금입자를 carbon sheet에 전기화학적으로 담지 시켜 Nafion에 매몰되는 것을 방지하는 펄스전해법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촉매의 입자크기가 일반적으로 50~70 nm 이상으 크기 때문에 촉매의 낮은 활성이 문제점으로 야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Pt-Ru/C 촉매층 제조 문제점을 해결하고, 촉매의 전기화학적 활성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2~4 nm Pt-Ru 콜로이드를 전해액으로 사용하고, 전기영동법을 이용하여 Pt-Ru 나노 입자를 carbon sheet($1{\times}1cm^2$) 에 담지 시켰다. 전기영동법에서 균일한 Pt-Ru 촉매층의 제조를 위해 전류인가 방법으로는 펄스전류를 사용하였고, 실험변수로는 전해액 pH, duty cycle, 담지시간을 선정하였다. 합성된 Pt-Ru 콜로이드를 TEM분석으로 나노입자의 크기와 분산성 분석하였고, 콜로이드 나노입자의 표면전하 상태를 분석하기 위해 zeta-potential을 분석하였다. Pt-Ru/C의 촉매의 전기화학적 활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0.5 M H_2SO_4$ 와 1 M $CH_3OH$ 혼합용액에 CV(Cyclic Voltammetry)실시하였고, carbon sheet 전극 상 Pt-Ru의 분산성 확인을 위하여 FE-SEM분석을 수행하였다.

  • PDF

스팟 윤곽의 기울기를 이용한 단백질 2차원 전기영동 영상에서의 스팟 검출 방법 (A Spot Detection Method in 2D Electrophoresis Images Using Gradients of Spot Boundary)

  • 유혜경;이성환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4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31 No.2 (2)
    • /
    • pp.283-285
    • /
    • 2004
  • 단백질 2차원 전기영동은 다양한 단백질 분리 방법 중 가장 널리 쓰이는 방법으로 실험 결과를 촬영한 영상을 분석하여 얻은 단백질 스팟의 위치나 질량, 발현 유무 등을 이용하여 각종 질병의 발생 원인 진행 상태, 생리적인 변화 등에 대해 분석할 수 있다. 실험 영상에 다수의 단백질이 존재하므로 이를 수작업으로 처리할 경우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므로 본 논문에서는 자동화된 단백질 스팟 검출 방법을 제안하였으며 단백질 스팟이 같은 위치에 겹쳐서 나타나는 경우가 많은 단백질 2차원 전기영동 실험 영상의 특성을 고려하여 여러 개의 단백질이 겹쳐진 복잡한 스팟 영역에 대해서 스팟의 형태 정보를 이용하여 스팟의 개수를 추정하고 개별 스팟으로 분리하여 보다 신뢰성 있는 분석이 가능하게 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방법의 효용성을 검증하기 위해 기존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상용 소프트웨어와 비교 실험을 수행한 결과 겹친 정도가 60%이상인 경우 기존 방법에 비해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 PDF

암진단을 위한 2차원 단백질 전기영동 젤 해석 (Analysis of 2D Electrophoresis For Cancer Classification)

  • 김재민
    • 한국지능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퍼지및지능시스템학회 2003년도 추계 학술대회 학술발표 논문집
    • /
    • pp.166-169
    • /
    • 2003
  • 유전자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기술적인 문제가 해결되면서, 질병 진단을 위한 새로운 접근 방법으로 혈액 속에 있는 모든 단백질(proteome)의 구성을 분석하는 프로테오믹스(proteomics)에 대한 연구가 최근 들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은 암 진단을 위하여 혈액 중의 단백질의 구성을 측정한 2차원 전기영동 (2D electrophoresis) 젤 데이터를 해석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하였다. 우선 측정된 많은 단백질 스팟(spot) 중에서 T-statistics 방법으로 단백질 스팟들을 선택하였다. 선택된 단백질 스팟들로 이루어진 암 환자와 정상인 두 샘플들의 확률 분포를 각 집단에 따로 적용된 PCA 영역에서 계산하였다. 최종적으로 조건부 확률의 차이에 근거한 베이즈 분류(Bayes classification) 이론을 적용하여 암 진단을 하였다.

  • PDF

동아와 달개비의 전기영동에 의한 Isozyme의 변이 (Isozyme Patterns on Esterase, Peroxidase and Amylase in Benincasa hipspida (Thunb) Cogn and Commelina communis L.)

  • 채규인;최정식;김영두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74-176
    • /
    • 1991
  • 동아(Benincasa hispida(Thunb) Cogn)와 달개비 (Commelina communis L.)의 종자, 잎 및 줄기등을 공시재료로 하여 몇가지 효소에 대한 전기영동적 특성을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Esterase isozyme의 pattern은 band수나 Rf값에서 현저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동아의 육질에서는 단 1개의 band가 출현하였다. 2. Peroxidase isozyme은 동아의 육질에서 4개의 band가 출현하였으나, 달개비의 줄기에서는 band 가 전혀 없었다. 3. Amylase isozyme의 전기영동대는 동아의 종자 및 육질에서만 각각 1개씩 뚜렷한 band를 나타냈다.

  • PDF

AC 이중전기영동법에 의한 나노팁 제작용 탄소나노튜브 시편

  • 최재성;이준석;강경수;곽윤근;김수현
    • 한국정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밀공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요약집
    • /
    • pp.161-161
    • /
    • 2004
  • AC 이중전기영동(AC electrophoresis)의 원리를 이용하여 탄소나노튜브 팁 제작용 탄소나노튜브 시편의 기초 실험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방법은, 끝이 뽀족한 다수의 팁(tip)에 탄소나노튜브를 비교적 균일하게 부착시킬 수 있는 공정의 기반이 된다. 이것은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한 나노팁(nano-tip)이나 탄소나노튜브 나노그리퍼(nanogripper) 제작 공정에 균일성을 확보할 수 있는 중요한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다. 탄소나노튜브 시편의 제작을 위해, 끝단이 곡률반경이 50nm 정도인 텅스텐 팁과 직경 1.5mm, 깊이 1.5mm의 실린더형 금속전극을 사용했다.(중략)

  • PDF

제작된 모세관 전기영동 시스템의 유기물 분석에의 응용 (Application of Home-made Capillary Zone Electrophoresis System to the Separation of Organic Molecules)

  • 이공주;허귀석
    • 대한화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219-225
    • /
    • 1991
  • 고도로 효율적인 분석방법인 모세관 전기영동 시스템을 최적의 감도를 갖는 상태의 기기로 국내에서 제작하였다. 50 ${\mu}m$ 내경을 가진 모세관을 완충용액으로 채워준 후 모세관의 양끝에 20∼35 kV의 전압을 걸어주는 이 분석방법은 20분 이내에 10 nl 이하의 소량의 시료를 이론단수가 20∼50만 정도가 되도록 분리할 수 있는 매우 좋은 분리능으 가지고 있다. 모세관 전기영동법의 분리능과 분리도를 증가시키는데 영향을 주는 요소들을 알아보기 위하여 catecholamine과 adenine 유도체를 분석하였다.

  • PDF

전리수를 사용한 이차원 전기영동법 (2-Dimensional gel electrophoresis by using electrolyzed water)

  • 민병술;이윤배;이종권;류근걸;이미영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04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59-261
    • /
    • 2004
  • 일반 증류수로 제조된 완충용액으로 미세조류를 파쇄하였을 때 미세조류의 두꺼운 세포벽에 의해 단백질 추출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일차원 및 이차원 전기영동법을 사용하여 단백질 발현 양상을 분석할 때 효율이 떨어진다. 본 연구에서는 물의 클러스트가 작아 세포벽에 잘 흡수될 수 있다고 알려진 환원전리수를 사용하여 효율적으로 단백질을 추출하였고, 이차원 전기영동법으로 단백질 발현 양상을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