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전기화재

Search Result 811,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Prediction for Possibility of the Electric Fire by Tracking Breakdown (트래킹에 의한 전기화재 가능성 예측)

  • Jee, Seung-Wook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29 no.2
    • /
    • pp.1-7
    • /
    • 2015
  • Tracking, which is one of main reasons of the electric fire, progresses gradually, and therefore, the possibility of fire caused by tracking can be predicted by analyzing the stage of its progress. This paper is conducted in order to predict possibility of the electric fire caused by the tracking in the simulated electric equipment with load. Non-inductive resistance is used as the load. The tracking is happened in a Polyvinyl-chloride-sheathed flat cord, which is a part of the simulated electric equipment by means of dropping of electrolyte droplet. In order to predict the possibility of electric fire caused by tracking, we detect the whole current waveforms of the simulated electric equipment. The time-energy analysis and probability distribution are used for analysis of the tracking progress from the whole current waveforms. In accordance with the results is used for input date of Neural networks, the neural networks can be predict possibility of the electric fire in the electric equipment by 4 stages.

The Countermeasure of the Fire of Electric Cables (케이블 화재 방재 대책)

  • 박양범;한상옥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9 no.2
    • /
    • pp.47-56
    • /
    • 1995
  • 최근 5년간(1989∼1993)의 전기사용 증가율은 11.4%인 반면 전기화재는 년평균 12.3% 이상의 증가율을 보이고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부각되고 있으며, 전기 화재의 발생이 케이블을 비롯한 배선설비에 집중되어 있는 것을 볼 때 이에 대한 관심이 더욱 요구되 는 상황이다. 이에 대해서 우선적으로 제도적인 장치가 구체적으로 정비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외국의 경우 케이블 화재의 예방과 소화를 위해서 여러 가지 공법을 개발해서 이것을 의무화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 건축물 전기 설비에 관련된 방재 안전 기준 및 시설 기준이 건축법시행령 및 전기설비기술기준 등에 약간 소개하고 있을 뿐이다. 따라서 기존 공법을 계속 적용함에 있어서 여러 문제점이 지적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위험성이 산재해 있다.

  • PDF

Fire Cause Analysis of Local Heating on Carbon Type Hot Wire Electric Pad (카본열선을 사용하는 전기장판의 국부가열에 의한 화재원인 분석)

  • Song, Jae-Yong;Kim, Jin-Pyo;Nam, Jung-Woo;Sa, Seung-Hun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24 no.4
    • /
    • pp.104-108
    • /
    • 2010
  • This paper describes electrical fire on electric pad using carbon type hot wires. A carbon type hot wires electric pad is virtually impossible to connect hot wire as a method of electrical welding or soldering. In order to connect between hot wires, that has to splice carbon type material connector. If junction of hot wires was occurrence of poor connection on electric pad, it increase contact resistance on this junction point. With increasing contact resistance, junction of hot wires on electric pad generates local heating and finally leads to electrical fire. In this paper, we analyzed shape of damage in hot wires caused by electrical local heating and investigated fire cause on electric pad using by carbon type hot wires.

Integrated Safety System based on IoT

  • Shin, Jin Seob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24 no.10
    • /
    • pp.159-165
    • /
    • 2019
  • About 58% of fires are electric fires.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factors of fire caused by electricity and studied the system that can prevent fire in advance. In order to prevent disasters, basically, various electrical IoT sensors are needed to detect fire signs. Each of these sensors continuously receives a lot of situation information and sends it to the main system. The collected big data continuously checks whether the disaster is over the threshold that can cause disaster through pattern analysis, and can check whether there is any problem by comparing the data. In the event of a threshold, alarms are signaled and problems are reported. This prevents fire by preventing electrical problems such as overcurrent and leakage current.

The study of external comparison for spark traces on the VFF (비닐평형코드(VFF)에서의 단락흔 외형 특성에 관한 비교연구)

  • Kim, Youn-Hoi
    • Congress of the korean instutite of fire investigation
    • /
    • 2010.12a
    • /
    • pp.80-90
    • /
    • 2010
  • 대부분의 전기화재는 전기제품의 전원코드나 확장형 콘센트 등 저압 배선에서 주로 발생한다. 최초발화에 기인한 단락흔(1차 단락흔)의 외형적 판단기준을 제시하고자 발화원인이 규명된 전기화재의 감정사례로부터 비닐평형코드에 형성된 단락흔의 형태학적 비교분석결과 단락흔 자체 형태만으로 1차단락으로 판정하기는 용이하지 않지만 1차 단락흔은 2차 단락흔과 달리 용융방울이 미세하게 형성되고, 흑색으로 착색되는 경향이 있으며, 특히 절연피복의 손상을 줄 수 있는 선행된 원인이 있는 곳에서 만 특징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Fire Hazard of Electric Heating Pad (전기장판의 화재위험성 실험연구)

  • Lee, Bok-Young;Park, Chan-Ho;Park, Sang-Tae;Hong, Sung-Ho;Yu, Hyun-Jong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20 no.3 s.63
    • /
    • pp.113-117
    • /
    • 2006
  • This study presents analysis of fire hazard of electrical heating pad. In order to analyze fire hazard fire experimental and flammability experiment is conducted. The fire experiment is conducted to simulate normal condition and abnormal condition such as breakdown of thermostat. Vertical burning test(UL 94) is conducted for the fire retardant experiment. Kinds of electric heating pad used for experiment are electric mat, fabric pad, vinyl pad. The results show that fire hazard is high in case of breakdown of thermostat with the rating voltage supply. And Material of electric heating pad has not fire retardant performance.

Cause Analysis on Parked Motor Vehicle Fires (엔진정지 중인 자동차의 화재발생 원인 분석)

  • Lee, Ui-Pyeong
    • Congress of the korean instutite of fire investigation
    • /
    • 2010.12a
    • /
    • pp.120-136
    • /
    • 2010
  • 엔진 정지 중 발생한 자동차화재는 엔진 정지 전에 이미 화재가 발생해 있었으나 이를 모르고 엔진 정지 중에 화재가 발견되는 경우와 엔진 정지 후에 발생한 경우로 나눌 수 있다. 엔진정지 전 발생한 화재는 운행 중 화재가 발생할 수 있는 모든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고, 엔진정지 후 발생한 화재는 전기적인 원인에 의한 화재, 담뱃불에 의한 화재, 방화, 다른 곳에서 발화된 후 자동차로 확대된 화재 중의 하나로 압축할 수 있다. 그러므로 외부발화 또는 방화나 담뱃불에 의한 화재가 배제되는 경우는 전기적인 원인만을 생각할 수 있다. 엔진정지 전에 이미 엔진룸 등에 불이 붙어 있어도 주차 중 이를 인식하지 못하는 것은 엔진정지 시 화재의 규모가 작거나 눈에 띄는 이상징후가 나타나 있지 않고 또한 이를 관심 있게 확인하지 않기 때문이다. 엔진정지 전에 화재가 발생한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주차 후 대략 10분 이내에 화재가 발견되고 있다. 따라서 주차 후 10분이 경과하지 않은 시점에 화재가 발견되었다면 엔진정지 전에 이미 화재가 발생하였을 가능성이 크다고 볼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