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전기차 화재

Search Result 37,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Establishment of the Fire Response Guideline for Electric Vehicleson Underground Roads (지하도로 내 전기차 화재 대응지침 구축)

  • Donghyo Kang;Seong-Woo Cho;Hae Kim;Ho-In You;Ilsoo Yun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
    • v.22 no.5
    • /
    • pp.92-107
    • /
    • 2023
  • Recently, along with the continuous increase in the supply of electric vehicles, electric vehicle fire accidents are also showing a rapidly increasing trend. Electric vehicle fires last for a long time compared to fires in internal combustion engine vehicles and have problems with the risk of secondary explosions and the generation of large amounts of smoke. In particular, electric vehicle fires in underground roads, which are semi-enclosed spaces, may amplify the problems of existing electric vehicle fires. On the other hand, there are no domestic response guidelines for electric vehicle fires occurring inside underground roads. Therefore, an awareness of fire accidents was confirmed through a survey of the general public, and electric vehicle fire characteristics and primary considerations were derived from stakeholders related to electric vehicle fires in underpasses. Through this, the guidelines for responding to electric vehicle fires on underground roads were established.

A Study of Institutional Improvements for Responding to Electric Vehicle Fires: Focusing on the Case of Seoul (전기자동차 화재 대응을 위한 제도적 개선 방안 연구: 서울시 사례를 중심으로)

  • Nam-Kwun Park;Seung-Hee Ham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20 no.1
    • /
    • pp.32-39
    • /
    • 2024
  • Purpose and Method: This study aims to suggest institutional improvements to enhance the response to electric vehicle fires. To this end, we examined the prevalence of electric vehicles, fires, and related legal systems in Seoul. Results: The top-level laws and ordinances related to electric vehicles are centered on distribution policies, so there is no practical fire response plan for electric vehicle fires. In order to apply the same regulations to each local government, it is necessary to set standards and establish a system for firefighting and safety facilities in higher laws. Conclusion: Establishing standards for the installation of fire and safety facilities that take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of electric vehicle fires and improving related systems will ultimately lead to an increase in the penetration rate of electric vehicles.

A Study on the Grounding Method of Parking Areas for Electric Vehicles in Apartment Houses, Etc (공동주택 등에서 전기자동차 전용주차구역의 지상화 등에 관한 법률 및 조례안 연구)

  • ;;;Jeong, Sa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11a
    • /
    • pp.200-201
    • /
    • 2023
  • 전기차 보급이 늘어나면서 그만큼 화재의 발생이 늘어나고 있다. 화재 발생률로만 보면 내연기관 차량보다 더 높다고 볼 수 없다. 하지만 전기차 화재는 폭발성이 강하고 순식간에 인접한 물체에 옮겨붙으며 화재 진압이 어렵다는 특성을 보이고 있다. 전기차 화재의 위험성에도 불구하고 산업통상자원부에서는 지하 주차장 비율이 높은 환경에서 지상 주차장 설치를 강제한다면 친환경 자동차 보급에 저해가 되기 때문에 법률을 개정하는 것을 주저하고 있는 실정이다. 외국에서도 전기차는 지상주차장을 우선으로 하는 추세이다. 이에 본 연구는 공동주택 등에서 전기차 주차장을 지상에 별도로 설치하는 등 안전을 도모한 법률과 조례안을 구상하고자 한다.

  • PDF

The study of external comparison for spark traces on the VFF (비닐평형코드(VFF)에서의 단락흔 외형 특성에 관한 비교연구)

  • Kim, Youn-Hoi
    • Congress of the korean instutite of fire investigation
    • /
    • 2010.12a
    • /
    • pp.80-90
    • /
    • 2010
  • 대부분의 전기화재는 전기제품의 전원코드나 확장형 콘센트 등 저압 배선에서 주로 발생한다. 최초발화에 기인한 단락흔(1차 단락흔)의 외형적 판단기준을 제시하고자 발화원인이 규명된 전기화재의 감정사례로부터 비닐평형코드에 형성된 단락흔의 형태학적 비교분석결과 단락흔 자체 형태만으로 1차단락으로 판정하기는 용이하지 않지만 1차 단락흔은 2차 단락흔과 달리 용융방울이 미세하게 형성되고, 흑색으로 착색되는 경향이 있으며, 특히 절연피복의 손상을 줄 수 있는 선행된 원인이 있는 곳에서 만 특징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Smart IoT parking lot for minimize EV fire damage (전기차 화재 피해 최소화를 위한 스마트 IoT 주차장)

  • So-Hyeon Park;Seo-young An;Kyung-June Le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3.11a
    • /
    • pp.770-771
    • /
    • 2023
  • '환경친화적 자동차의 개발 및 보급 촉진에 관한 법률'에 따라 주거지역 내의 전기차 충전기 설치 및 보급이 빠르게 확산 중이다. 전기 자동차는 충전 중 화재 시 리튬이온 배터리 열폭주(thermal runaway) 현상 때문에 쉽게 진압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이에 따라 지하 주차장에서의 전기 자동차 충전 중 화재 시 피해 최소화를 위한 스마트 IoT 주차장을 기획하고 개발하였다.

Development of Battery Temperature Monitoring and Simulation System for Aging Method of Lithium-ion Battery for Electric Vehicles (전기차 리튬이온 배터리의 에이징 공법을 위한 배터리 온도 모니터링 및 시뮬레이션 시스템 개발)

  • Jeong, He-min;Hong, Seong-W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07a
    • /
    • pp.149-152
    • /
    • 2022
  • 최근 전기차의 기술 발전이 급속도로 증가함에 따라 이차전지의 수요가 증가하게 되었다. 그로인해 다량의 고품질 전지를 생산하기 위해 제조 공장이 가동되고 있지만 생산된 전지의 품질의 핵심이 되는 화성공정의 에이징 과정 진행 중 온도 관리에 실패할 경우, 전지의 폭발 및 화재의 위험이 있다. 본 논문은 이차전지를 생산하는 에이징 공정의 효율적인 온도 관리를 위해 목업 모형을 만들어 온도 센서를 통한 온도 수집 및 모니터링 시스템을 개발하고, 공조기 바람을 통해 전지의 온도가 변화하는 속도를 계산하고, 이상온도에 도달해 고온의 상태가 되었을 경우 주변 전지로 전달되는 열을 시뮬레이션 통한 효율적인 공조 대책을 제시하여 이차전지 생산의 품질 향상과 화재 예방을 통해 전기차 생산에 따른 리튬이온 전지의 수요 해결에 기여한다.

  • PDF

안전관리 - 용접공사의 화재.폭발 등 안전사고 예방대책(2)

  • 대한설비건설협회
    • 월간 기계설비
    • /
    • s.267
    • /
    • pp.65-71
    • /
    • 2012
  • 지난 8월 13일 서울 종로구 소격동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공사현장에서 화재 발생으로 4명이 숨지고 18명이 중경상을 입는 등 많은 인명피해를 냈다. 이처럼 인명피해가 컸던 것은 우레탄 공사를 하던 밀폐공간에서 불이 나면서 발생한 유독가스 때문에 사람들이 제대로 대피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사고발생 원인으로 '용접공사' 여부를 놓고 공방을 벌였으나 경찰은 '전기합선'이라는 잠정 결론을 내렸다. 지난 2008년 1월에 발생한 경기도 이천 냉동창고 화재는 40명의 목숨을 앗아갔다. 화재 원인은 냉동배관을 설치하면서 전기 용접을 하기 위해 불을 붙였다가 공기 중에 차 있던 유증기(기름증기)와 만나면서 폭발이 일어난 것이었다. 인화성 액체(유기용제)를 취급하는 건설현장에서는 다량의 유증기가 발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건조한 조건일 경우 정전기에 의한 화재 폭발 누출사고의 발생 위험이 높다. 기계설비공사에서 화재, 폭발 위험성이 가장 큰 공사는 용접공사이기에 용접공사를 할 때 화재, 감전의 위험성을 배제한 후 공사에 들어간다. 용접으로 인한 사망사고의 유형으로는 용접 중 추락사고와 더불어 용접 불꽃이 가연성 물질에 옮겨 붙어 화재 발생으로 인한 질식사, 용접작업 중 절연체가 파손된 용접기 홀더 충전부의 접촉으로 인한 감전사 등이 있다. 본지는 용접으로 인한 화재 감전 등의 사고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안전작업 수칙 및 안전수칙 체크리스트, 재해사례를 지난호부터 시리즈로 연재하고 있다.

  • PDF

안전관리 - 용접공사 중 화재.폭발 등 안전사고 예방대책(1)

  • 대한설비건설협회
    • 월간 기계설비
    • /
    • s.266
    • /
    • pp.49-57
    • /
    • 2012
  • 지난 8월 13일 서울 종로구 소격동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공사현장에서 화재 발생으로 4명이 숨지고 18명이 중경상을 입는 등 많은 인명피해를 냈다. 이처럼 인명피해가 컸던 것은 우레탄 공사를 하던 밀폐공간에서 불이 나면서 발생한 유독가스 때문에 사람들이 제대로 대피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사고발생 원인으로 '용접공사' 여부를 놓고 공방을 벌였으나 경찰은 '전기합선'이라는 잠정 결론을 내렸다. 지난 2008년 1월에 발생한 경기도 이천 냉동창고 화재는 40명의 목숨을 앗아갔다. 화재 원인은 냉동배관을 설치하면서 전기 용접을 하기 위해 불을 붙였다가 이것이 공기 중에 차 있던 유증기(기름증기)와 만나면서 폭발이 일어난 것이었다. 올 여름처럼 기온이 높고 건조한 날이 지속되면서 인화성 액체(유기용제)를 취급하는 건설현장에서는 다량의 유증기가 발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건조한 조건에서 정전기에 의한 화재 폭발 누출사고의 발생 위험이 높아지고 있다. 기계설비공사에서 화재, 폭발 위험성이 가장 큰 공사는 용접공사이기에 용접공사를 할 때 화재, 감전의 위험성을 배제한 후 공사에 들어간다. 용접으로 인한 사망사고의 유형으로는 용접 중 추락사고와 더불어 용접 불꽃이 가연성 물질에 옮겨 붙어 화재 발생으로 인한 질식사, 용접작업 중 절연체가 파손된 용접기 홀더 충전부의 접촉으로 인한 감전사 등이 있다. 본지는 용접으로 인한 화재 감전 등의 사고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안전작업 수칙 및 안전수칙 체크리스트, 재해사례를 시리즈로 연재한다.

  • PDF

도장부스의 발화에 관한 연구

  • Guk, Jung-Gyun;O, Eun-Cheol;Heo, Seong-Gu;Park, Yeong-Geun
    • Congress of the korean instutite of fire investigation
    • /
    • 2010.12a
    • /
    • pp.147-171
    • /
    • 2010
  • 도장작업은 기계 기구, 금속, 자동차, 전기 전자, 선박, 가구제조업 등 각종 사업장에서 많이 취급되고 있는 작업으로서 취급물질이 대부분 합성수지 유기용매 등 인화성 또는 가연성 액체이거나 가연성 분체로서 용매 또는 분진으로 인한 폭발 화재의 위험성이 아주 높은 실정이다. 보통 4류 위험물의 유증기는 공기보다 무겁다 라는 생각으로 발생된 모든 유증기는 위험물 인근에 체류할 것이라는 생각을 하지만 상온에서 증발한 유증기 대부분은 인근의 대기와의 밀도차에 의해 주변으로 흩어지거나 연소하고 중량(重量)의 유증기만이 남아 화재조사에서 중요한 단서로 역할을 한다. 대부분분의 페인트 제품이 가열과 동시에 끊기 시작해서 비등점 측정이 어려웠고 발화점이 비슷한 다른 페인트에 비해 중량(重量)유증기 발생이 단시간 동안 낮은 온도에서 많이 발생한 것은 페인트의 안료가 유증기 발생을 방해해서 시너의 유증기 발생량과 동일한 양의 페인트 유증기 발생시간이 더 걸린 것 같다. 대부분의 유증기는 집진시설을 통해 A/C타워의 활성탄에 흡착되어 제거된다. 하지만 슬러지에 남아있는 희석제는 A/C타워를 정지하고 집진시설등의 배관에 있는 슬러지 청소 과정에서 주위 열원에 의해 많은 유증기를 발생하여 화재의 위험성이 존재함으로 작업자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 PDF

Analysis on the Voltage, Current and Temperature Signals for Free and Locked Operation of Three Speed Electric Fan (3단 스피드 선풍기 모터의 정상 및 고정 운전에 대한 전압, 전류 및 온도 신호 분석)

  • Kim, Yoon Bok;Kim, Doo Hyun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28 no.3
    • /
    • pp.87-91
    • /
    • 2014
  • This paper is aimed to find electrical fire danger for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temperature, current and voltage signals for motor on electric fan. In order to attain this purpose, detected were the temperature, current and voltage signals on electric wire with free (normal state) and locked (abnormal state) motor. For voltage and current signals, voltage signal is no big difference with normal and abnormal states and current signal is higher in abnormal state (highest 309 mA) than the normal state (highest 203 mA). In the case of Temperature signal,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of the motor as a whole is different. It is difference in the case of the normal state $4^{\circ}C$ and the abnormal state $18^{\circ}C$. In particular, most of the electric wiring to the motor of the fan is attached to the fixture of motor back. Considering at allowable temperature ($60^{\circ}C$) of the electric wire could be accelerated to insulation deterior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effectively used in analyzing for electric fire and developing the preventive devices of electric f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