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전기장 강도

Search Result 175,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Maximum Electric Field Strength Prediction of WCDMA Base Station Using Pilot Channel (Pilot 채널을 이용한 WCDMA 기지국의 최대 전기장 강도 예측)

  • Lee, Yeong-Su;Yoon, Hyun-Goo;Jang, Byung-Jun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 /
    • v.22 no.10
    • /
    • pp.1016-1019
    • /
    • 2011
  • In this paper, we predict a maximum electric field strength of WCDMA base station using a pilot channel in a code domain. In order to verify the feasibility of our method, we compare our predicted value on a self-designed test base station with a general electric field strength measurement value at a full-traffic load condition and with a calculated value by a ray-tracing technique. Predicted results show above 90 % agreement with the general measurement and calculation values. We also show that our prediction method can be applied to electric field measurement on a real operating base station. Therefore, it is concluded that our prediction method be an effective method to measure a maximum electric field strength in a base station inspection test.

충돌주파수가 고주파 수평행평판플라즈마의 전기장균일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Gang, Hyeon-Ju;Choe, U-Yeong;Lee, Bo-Ram;Jeong, Jin-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1.08a
    • /
    • pp.347-347
    • /
    • 2011
  • 고주파수평행평판플라즈마소스에서 전기장분포를 맥스웰방정식을 적용하여 해석하였다. 크게 두가지 요인이 전기장분포를 결정하였는데, 변위전류가 우세한 경우는 중심에 전기장이 큰 모양의 분포가 되었고, 전도전류가 주된 경우는 바깥쪽에 전기장이 센 모양을 가졌다. 본 계산에 의하면 전기장분포를 결정하는 또 다른 하나의 요인은 충돌주파수였는데, 충돌주파수에 의해서 전기장분포가 변화되는 것을 확인하였고, 전기장분포를 변화시킬 수 있는 충돌주파수조 건도 본 논문에서 제시할 예정이다.

  • PDF

Sewage Treatment Using Electric Field Pretreatment and Metal Membrane Microfiltration Process (전기장 전처리 및 금속 정밀여과 공정을 이용한 하수처리)

  • Jung, Jongtae;Kim, Jongoh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 /
    • v.8 no.5
    • /
    • pp.15-21
    • /
    • 2007
  •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electric fields application for the reduction of membrane fouling, the inactivation of microorganisms and the enhancement of particle coagulation in microfiltration/coagulation. Cumulative permeate in the case with electric field treatment showed high value compared to the case without electric field. Particularly, the increase of HRT (Hydraulic retention time) showed the increase of cumulative permeate as well as the decrease of total resistance. By electric field treatment, the amount of small particle size less than 100 ${\mu}m$ is increased and the survival fraction is reduced by the increase of electric field intensity. This may be attributed to the cleavage of particle or cytological destruction resulting from the inactivation of microorganism. Coagulant dosage of PAC compared with no electric field application could also be saved about 75% for the 95% of turbidity removal at 10 kV/cm.

  • PDF

An Experimental Investigation on Mechanical Properties of Electro-Rheological Fluids with the Application to Vibration Control (전기유동유체의 역학적 특성 고찰 및 진동 제어 응용)

  • 김기선
    • The Korean Journal of Rheology
    • /
    • v.6 no.1
    • /
    • pp.20-29
    • /
    • 1994
  • 본 논문에서는 실리콘 오일을 용매로 사용하여 조성된 전기유동유체의 전기장 부하 변화에 따른 역학적 특성을 고찰하였으며 그응용성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유체에 가해지는 전기장은 0~0.25kV/mm까지 변화시켰고 외부에서 가해지는 회전력은 0∼500rpm까지의 범위로 설정하였으며 용매의 점성계수 및 각각의 용매에 대한 입자 중량비를 달리하여 자체 조성한 4종류의 전기유동유체에 대하여 특성을 고찰하였고, 전기유동유체의 항복응력도 부 하되는 전기장의 함수로 증가함을 알수 있었다. 또한 부하되는 전기장의 크기 뿐만이 아니 라 입자의 중량비 용매의 점성계수도 전기유동유체의 거동에 많은 영향을 미침을 알수 있었 다. 또한, 전기유동유체를 이용한 응용예로서 지능구조물을 제작하여 전기장에 따른 진동특 성변화를 고찰하였다. 실험결과 부하되는 전기장의 강도가 증가함에 따라 구조물의 고유진 동수가 점차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입자의 중량비가 증가할수록 증가폭이 커 넓은 범위의 제 어영역을 가짐을 알수 있었다. 전기유동유체의 진동제어 이용가능성을 입증하기 위하여 시 간영역에서 구조물의 전기장에 대한 과도 진동제어 응답과 강제진동제어 응답을 실험하였다.

  • PDF

The Electroresponse Properties of Alginate Films under the Electric Field (알지네이트 필름의 전기장 하에서의 응답 특성)

  • 김인중;강휘원;정창남
    • Polymer(Korea)
    • /
    • v.27 no.3
    • /
    • pp.195-200
    • /
    • 2003
  • Alginate is a natural ionic polymer including numerous anionic groups and can be actuated by the ionic group under the electric field. The crosslinked alginate films were fabricated with CaCl$_2$. The thermal, mechanical and electroresponse properties of the films were investigated by thermogravimetric analysis, tensile and bending tests. The initial degradation and tensile strength increas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crosslinking. Also, the swelling ratio of the films increased with decreasing degree of crosslinking and increasing pH due to free volume and electrostatic repulsion. The films actuated by an electric stimulus exhibited gentle and flexible action like a pendulum. In the electric field, the electric stimuli such as the applied voltage, ionic strength and kind of electrolyte solution had an effect on the electroresponse of the films. Alginate films with 5 wt% crosslinking agent showed the highest bending angle and reversible bending behavior. When the ionic strength of NaCl and KCl electrolyte solution was 0.1 M, the films showed the highest electroresponse. The bending behavior of the films increased with the applied voltage.

고주파수 축전 결합 플라즈마에서 플라즈마 변수들이 전기장 분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Gang, Hyeon-Ju;Choe, U-Yeong;Jeong, Jin-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2.02a
    • /
    • pp.493-493
    • /
    • 2012
  • 평행평판 축전 결합 플라즈마는 증착이나 식각 등 많은 공정장비에서 사용된다. 이때 구동주파수를 높여주거나 리액터의 크기를 증가시킬 경우, 플라즈마 밀도가 불균일해진다. 플라즈마 밀도는 플라즈마 내 전기장 분포의 균일도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전기장 분포를 균일하게 만드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전 연구에서는 충돌 주파수(공정 압력)가 전기장의 분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발표하였다 [1]. 본 연구에서는 구동 주파수, 충돌 주파수(공정 압력), 플라즈마 주파수(플라즈마 밀도)가 전기장 분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고, 이들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플라즈마 주파수(플라즈마 밀도)와 충돌 주파수(공정 압력)는 전기장 분포의 균일도에 영향을 주는 변수이지만 이 둘은 반대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두 주파수가 전기장 분포에 미치는 영향이 균형을 이룰 때 균일한 전기장 분포를 얻을 수 있었다. 이 때 구동 주파수가 증가할수록 균일하게 하는 두 주파수의 영역이 줄어들어 높은 구동 주파수에서는 전기장 분포를 균일하게 하기 어려웠다. 이러한 관계를 이용하여 일정한 구동 주파수와 플라즈마 주파수에서 전기장 분포의 균일도를 10% 이내로 하기 위해 충돌 주파수를 결정할 수 있는 방정식을 구하고, 충돌 주파수와 플라즈마 주파수, 그리고 구동 주파수가 전기장 분포를 균일하게 하는 이들의 관계를 살펴 보았다.

  • PDF

In situ Electric-Field-Dependent X-Ray Diffraction Experiments for Ferroelectric Ceramics (강유전 세라믹의 전기장 인가에 따른 in situ X-선 회절 실험)

  • Choi, Jin San;Kim, Tae Heon;Ahn, Chang Wo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 /
    • v.35 no.5
    • /
    • pp.431-438
    • /
    • 2022
  • In functional materials, in situ experimental techniques as a function of external stimulus (e.g., electric field, magnetic field, light, etc.) or changes in ambient environments (e.g., temperature, humidity, pressure, etc.) are highly essential for analyzing how the physical properties of target materials are activated/evolved by the given stimulation. In particular, in situ electric-field-dependent X-ray diffraction (XRD) measurements have been extensively utilized for understanding the underlying mechanisms of the emerging electromechanical responses to external electric field in various ferroelectric, piezoelectric, and electrostrictive materials. This tutorial article briefly introduces basic principles/key concepts of in situ electric-field-dependent XRD analysis using a lab-scale XRD machine. We anticipate that the in situ XRD method provides a practical tool to systematically identify/monitor a structural modification of various electromechanical materials driven by applying an external electric field.

Improved Field Uniformity Characteristics in a Reverberation Chamber with a CRD (CRD를 이용한 전자파 잔향실 내 전기장 균일도 향상)

  • Son, Yong-Ho;Rhee, Joong-Geun;Kim, Jung-Hoon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TC
    • /
    • v.44 no.12
    • /
    • pp.79-84
    • /
    • 2007
  • This paper presents an improved field uniformity in a reverberation chamber, that can be alternatively used for the analysis and the measurement of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and immunity, with a designed CRD(Cubical Residue Diffuser) that have various dimensions. The Schroeder type CRD is designed for $1\sim3$ GHz band and the FDTD(Finite Difference Time Domain) method is used to analyze the field characteristics. At 2 GHz, the standard deviation of test volume in the reverberation chamber is the smallest and has a good field distribution with a CRD of $40\sim80%$ dimension of one side of the reverberation chamber. The Electric field uniformity gets worse when the dimension of a CRD is either below 40 % or above 80 % of the side wall. The result shows that the standard deviation of the test volume in the reverberation chamber with a CRD of 44 % dimension is improved by 1 dB compared with that of the reverberation chamber with a CRD of 100 % dimension.

자성나노입자 이동과 변압기 절연유의 절연특성 변화의 상관관계 고찰

  • Lee, Won-Ho;Lee, Sang-Yeop;Lee, Se-Hui;Lee, Jong-Cheol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2.02a
    • /
    • pp.577-577
    • /
    • 2012
  • 자성나노유체(ferrofluid)는 계면활성제로 코팅된 직경 10 nm인 자성나노입자(magnetic nanoparticle)가 바탕액체(물 또는 오일 등)에 분산하고 있는 액체이다. 최근 연구에 의하면 자성나노 유체가 변압기 절연유로 사용될 경우 열전달 및 절연 특성이 향상된다고 보고되고 있다. 또한 자성나노유체에 포함된 자성나노입자는 영구자석 및 전자석 등에 의한 외부 자기장뿐만 아니라, 두 전극 사이에 인가된 전기장에 의한 유도자기장에 영향을 받는다고 한다. 본 연구에서는 두 전극 사이 전압을 1 kV로 인가한 경우에서 광학현미경을 이용한 자성나노입자의 마이크로 채널(microchannel) 내부 이동특성 관측 및 Maxwell 방정식을 이용한 전자기장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실험 및 해석 결과를 통하여 자성나노유체에 포함된 자성나노입자가 인가된 전기장에 의하여 발생되는 이동특성을 분석하고, 선행연구에서 보고된 절연특성 변화에 관한 상관관계에 대해 고찰하였다. 광학현미경 관측 결과로부터 전기장이 인가되지 않은 경우에 균일하게 분산되어 있는 자성나노입자는 전기장 인가에 따라 발생되는 유도자기장에 의하여 입자 간의 뭉침(agglomeration) 현상과 전극 주위로 이동하려는 성질을 확인하였다. 또한 수치해석 결과로부터 자성나노입자의 존재로 인하여 전극 사이의 전기장 강도와 자속밀도가 증가함을 확인하였으며, 자성나노입자의 이동을 유발하는 유도자기장이 전극 주위에서 큰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자성나노입자가 변압기 절연유에 첨가된 경우우 절연파괴전압이 변화되는 이유를 설명할 수 있는 근거가 된다.

  • PDF

A Permeable Wedge Crack in a Piezoelectric Material Under Antiplane Deformation (면외변형하의 압전재료에 대한 침투 쐐기균열)

  • Choi, Sung Ryul;Park, Jai Hak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A
    • /
    • v.39 no.9
    • /
    • pp.859-869
    • /
    • 2015
  • In this study, we analyze the problem of wedge cracks, which are geometrically unsymmetrical in transversely piezoelectric materials. A single concentrated antiplane mechanical load and inplane electrical load are applied at the point of the wedge surface, while one concentrated antiplane load is applied at the crack surface. The crack surfaces are considered as permeable thin slits, where both the normal component of electric displacement and the electric potential are assumed to be continuous across these slits. Using Mellin transform method, the problem is formulated and the Wiener-Hopf equation is derived. By solving the equation, the solution is obtained in a closed form. The intensity factors of the stress and the electric displacement are obtained for any crack length as well as inclined and wedge angles. Based on the results, the intensity factors are independent of the applied electric loads. The electric displacement intensity factor is always dependent on that of stress intensity factor, while the electric field intensity factor is zero. In addition, the energy release rate is computed. These solutions can be used as fundamental solutions which can be superposed to arbitrary electromechanical loadin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