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전기구동시스템

Search Result 865,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BLDC Drive Control System for Electric Bicycle (전기자전거의 BLDC 구동제어시스템 설계 및 구현)

  • Cho, Sung-Nam;Son, Young-Dae;Kim, Cherl-Ji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8.10c
    • /
    • pp.136-138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전기자전거에 응용할 수 있는 BLDC 전동기의 구동제어시스템을 설계하였으며, 시뮬링크를 이용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BLDC 전동기와 그 구동제어시스템의 특성파악을 수행 하였다, 모터 컨트롤 전용 16비트 마이크로컨트롤러인 dsPIC30F3010을 탑제하여 시스템을 설계하였으며, 2상 여자 제어법을 적용하여 6-스텝 인버터를 구동하고, PID 연산을 수행, 속도제어 방법을 통하여 전기자전거에 사용할 수 있는 BLDC 전동기의 구동제어시스템을 구현 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the wheel motor drive system integrated into low-floor axle for the electric bus (전기버스용 초저상 액슬 일체형 휠모터 구동시스템 개발)

  • Cho, Sang-Joon;Yoon, Young-Deuk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1.11a
    • /
    • pp.241-242
    • /
    • 2011
  • 교통 약자 승객의 편의성 증대, 도심의 매연 감소 및 온실가스 저감 등 대중 교통 선진화를 위해 친환경 초저상 전기버스의 개발이 필요하다. 초저상 전기버스는 초저상 액슬 일체형 휠모터 구동시스템을 탑재한 형태로 구현이 가능하며, 초저상 액슬 일체형 휠모터 구동시스템은 구동 모터를 액슬 허브에 일체화 시킴으로써 기존 구동시스템 대비 무게 및 사이즈가 대폭 줄어들고, 동력 전달 매커니즘을 획기적으로 개선하여 효율 향상 및 차량 연비 개선이 가능하다. 특히 바퀴 중심과 액슬 출력 중심에 단차를 둠으로써 차량의 전방 바닥 뿐만 아니라 후방바닥을 평평하게 유지할 수 있어 실내 공간이 획기적으로 개선되어 교통 약자를 포함한 승객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액슬 일체형 휠모터 구동시스템은 각 휠의 분산 구동이 가능하므로 동특성 및 구동제어성이 뛰어나고, ESP(Electronic Stability Program), VDC(Vehicle Dynamic Control) 등과 연계하여 통합적인 지능형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액슬 일체형 휠모터 구동시스템은 휠모터와 감속기 및 휠모터제어기 등으로 구성되며, 본 논문에서는 초저상 액슬 일체형 구동시스템용 120kW급 휠모터 및 휠모터제어기의 개발 및 다이나모 환경에서 T-N 특성 및 최대 출력 시험, 효율 시험을 통해 전기버스 등 대형 차량(Heavy Duty Vehicle)에 적용 가능한 전기동력시스템의 성능을 확인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EV traction-motor & motorized-system (전기자동차용 구동모터 및 Motorized-System기술개발)

  • Jung, Jay;Choi, Hae-Ryong;Lim, Sung-Yup;Kim, Ki-Nam;Kim, Ho-Gi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3.10b
    • /
    • pp.27-29
    • /
    • 2003
  • 최근 자동차시스템의 고품위화에 대한 요구가 지속적으로 증대되어 자동차의 전기시스템화가 급속히 진행되고 있다. 향후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및 연료전지자동차 그리고 차세대 파워트레인의 구동모터에 이르기까지 전기구동모터의 영역은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으며 이러한 움직임은 자동차 전기시스템의 구조자체에 대한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최근 자동차분야에서의 모터구동시스템의 주요연구 분야에 대해 기술하며 기술발전에 있어서의 문제점 및 극복해야 할 과제에 대해서 논의한다. 차량관점에서의 개선목표를 제시하며 이를 달성하기 위한 핵심기술 및 세부요소기술에 대한 동향을 함께 제시한다. 이를 통하여 모터구동시스템 자체만의 독립적인 기술이 아닌 차량을 고려한 모터 구동시스템의 기술발전에 대한 필요성에 대해 강조한다.

  • PDF

Characteristic Research of Electromechanical Actuation System for Launch Vehicle Thrust Vector Control (발사체 추력벡터제어용 전기-기계식 구동장치시스템 특성 연구)

  • Min, Byeong-Joo;Choi, Hyung-Don;Kang, E-Sok
    • Aerospac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6 no.2
    • /
    • pp.164-170
    • /
    • 2007
  • In this paper, the development results of electromechanical TVC actuation system is described in the aspect of design, analysis, manufacturing and test. The kinds of prime power for TVC actuation system is classified by the variety of propulsion system of launch vehicle. The electric power by battery is the sole candidate for prime power of TVC actuation system at the view point of feasible domestic infra technologies for the present. The characteristic analysis study is performed between electromechanical and electrohydraulic actuation system with respect to power efficiency, performance and weight efficiency. The electromechanical actuation system has superiority of power and weight efficiency according to less opportunity of power conversion process.

  • PDF

전기자동차 구동 시스템의 개발동향

  • Lee, Sang-Taek;Jo, Ju-Hui;Kim, Dae-Gyeong
    • KIPE Magazine
    • /
    • v.16 no.2
    • /
    • pp.32-37
    • /
    • 2011
  • 전 세계적으로 강화되고 있는 환경규제와 고유가에 대응하기 위해 자동차 산업은 내연기관 자동차에서 에서 전기자동차로 기술의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다. 본 고에서는 전기자동차 구동 시스템의 핵심부분인 구동모터, 인버터, 동력전달 부품, 그 외 전장부품의 연구방향과 세부 기술을 설명하고 전기구동 시스템의 적용사례, 향후전망 및 연구방향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생산공장에 있어서의 마이크로컴퓨터의 응용(6)-전동기 구동 시스템에의 응용-

  • 대한전기협회
    • JOURNAL OF ELECTRICAL WORLD
    • /
    • no.5 s.89
    • /
    • pp.76-84
    • /
    • 1984
  • 마이크로 프로세서가 1971년에 발명된 이래, 산업이 모든 분야에서 디지털 제품이 실용에 공여되고 있으나, 전동기 구동 시스템의 전디지털화는 실용화가 늦어져 겨우 1981년께부터 실용에 쓰이게 되었다. 여기서는 제철소에 있어서의 전동기의 가변속 구동 시스템에 대해서 그 변천, 기술적진보 전디지털화의 현장등에 대해 기술한다.

  • PDF

산업용 전동기 구동시스템의 동향

  • 설승기
    • 전기의세계
    • /
    • v.44 no.3
    • /
    • pp.23-26
    • /
    • 1995
  • 최근 영구자석의 발전으로 인하여 영구자석을 이용하는 특수한 형태의 전동기가 개발되어 정밀기계의 구동원으로 이용되고 있으나 산업용 구동력으로는 아직 폭넓게 이용되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20세기 중반부터 혁명적이라 할 만큼 빠른 발전을 보이고 있는 전자 공학은 전동기 구동의 분야에도 큰 영향을 주고 있으며, 특히 전력전자공학으로 불리는 전력제어기술과 전자회로기술의 결합은 산업용 전동기 구동 시스템에 새로운 지평을 열고 있으며 그 성능이 나날이 발전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전력전자공학을 이용한 산업용 전동기 구동시스템의 최근의 발전추세와 문제점을 전망하고자 한다.

  • PDF

전기자동차의 구동제어기술

  • 대한전기협회
    • JOURNAL OF ELECTRICAL WORLD
    • /
    • s.241
    • /
    • pp.81-86
    • /
    • 1997
  • 자동차의 배출가스가 가져오는 대기오염문제로 배출하지 않는 장점이 있는 전기자동차의 도입이 계획되고 있는 한편, 세계의 자동차관련메이커들은 꾸준히 개발$\cdot$개량을 추진하고 있다. 그 기술은 착실하게 진전되어 근거리역내에서의 교통수단으로서는 실용역에 이르고 있으며 앞으로 실용화를 위한 시험이 본격화될 것으로 보인다. 삼릉전기(주)에서는 보다 고성능의 전기자동차의 실용화를 위하여 유도전동기와 선진 구동제어 기술의 연구$\cdot$개발에 진력하여 유도전동기와 선진 구동제어기술을 조합한 구동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유도전동기는 고속화, 냉각의 수냉화, 스테이터절연의 고내열화, 저손실코어재의 적용 등으로 소형$\cdot$경량화를 기하였다. 컨트롤러는 인버터의 파워소자에 구동$\cdot$보호회로를 내장한 IPM(Intelligent Power Module)을 채용하고 유도모터의 고효율화와 토크제어의 고응답$\cdot$고정도화를 양립시킨 고효율$\cdot$고응답벡터제어를 적용하였다. 또한 속도센서의 생략으로 코스트저감과 신뢰성의 향상을 위한 속도센서레스제어의 적용을 검토하고 있다. 이상으로 소형$\cdot$경량$\cdot$고효율$\cdot$저코스트를 조화시킨 고성능의 전기자동차구동시스템을 실현하였다.

  • PDF

Robust Control of Hysteresis for Piezo Actuator (압전 구동기의 히스테리시스를 고려한 견실제어)

  • Yang, Chang-Kwan;Kwak, Jae-Hyuk;Lim, Joon-Hong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4.07d
    • /
    • pp.2658-2661
    • /
    • 2004
  • 압전 구동기는 전기적 에너지를 직접 동역학적 에너지로 변환하는 세라믹 구동기이다. 특히 압전 구동기의 개방 회로 시스템은 분자 구조 특성에 의해 비선형적인 히스테리시스 특성과 크리프 특성을 가진다. 이러한 비선형적 시스템을 작은 분해능으로 제어하는 경우 이에 따른 외란, 모델링의 불확실성 둥의 오차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현재 이러한 비선형적 오차를 기존의 PID 및 최적제어를 사용하여 보상하는 방법에 대해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압전 구동기 위치 결정 시스템 전체에 대해 LQG 제어 및 $H_{\infty}$ 제어를 적용하여 시뮬레이션을 실시하였다. 또한 본 논문은 시뮬레이션 결과를 바탕으로 실제 압전 구동기 위치 결정 시스템에 $H_{\infty}$ 제어를 적용하여 제안된 $H_{\infty}$ 제어기가 시스템 성능에 영향을 주는 외란, 모델링의 불확실성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함을 보여준다.

  • PDF

브러시리스 직류모터 방식 EMDP의 구동을 위한 제어시스템 설계

  • Lee, Hee-Joong;Park, Moon-Su;Min, Byeong-Joo;Choi, Hyung-Don
    • Aerospac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4 no.1
    • /
    • pp.162-170
    • /
    • 2005
  • In KSLV-I, actuation system for thrust vector control of kick motor was configured as electro-hydraulic servo actuation system and consisted of actuators, hydraulic power supply system, hydraulic power distribution system and control system. In case of hydraulic power supply system, we use EMDP(Electric Motor Driven Pump) to supply hydraulic power. Generally, we use brushed DC motor for EMDP but it is not easy to operate EMDP using brushed DC motor at a high altitude. Hence, we are developing EMDP using brushless DC motor to use at a high altitude. In this study, we will explain control system for BLDC motor to drive hydraulic pump.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