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전기고분자화

Search Result 14,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고분자절연재료의 방전열화

  • 이덕출
    • 전기의세계
    • /
    • v.25 no.6
    • /
    • pp.40-44
    • /
    • 1976
  • 근대산업의 에너지원으로서 전력수요의 급격한 증대에 수반하여 전력계통의 초고전압화, 관련기기의 소형화 및 장기간에 걸친 성능의 안정성, 신뢰성이 절실히 요망 하겠금 되었다. 이로 인하여 전기절욘재료에 요구되는 제성능도 일반적으로 고도화되고 점점 가혹한 조건이 부가되고 있는 실정이라 하겠다. 근년 고분자화학의 급속한 진보와 고분자성형기술의 발달에 의하여 등장한 합성고분자재료는 그 물리, 화학적 성질 특히 전기적 성질에 많은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그 성능이 점점 높이 평가되고 있어 고분자재료의 진출이야말로 전기기기절연의 양상에 일대 변화를 줄것이라 하여도 지나친 표현이 아니겠다. 이와같이 고분자가 전기절연재료로써의 가치는 물가구조로 부터 기대되는 우수한 유전성과 전기절연성이 높이 평가되고 있는 점이라 하겠다.

  • PDF

Application of Parylene Passivation for Top Emission Oragnic Light Emitting Diode (Top emissio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을 위한 Parylene 보호층의 적용)

  • Choi, Sung-Hoon;Lee, Chan-Jae;Moon, Dae-Gyu;Han, Jeong-In;Oh, Myung-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Conference
    • /
    • 2005.05a
    • /
    • pp.160-163
    • /
    • 2005
  • Top emission OLED 소자의 안정성 위하여 Parylene을 보호층으로 적용하였다. 고분자화 방법을 이용하여 증착된 Parylene은 진공공정상온에서 증착가능하기 때문에 열에 의한 OLED 소자의 열화를 방지하며 높은 광투과율과 우수한 투습습성에 의하여 고효율 장수명을 OLED 소자에 적합하다. Parylene 5 ${\mu}m$ 의 광투과율은 90 %이상 측정 되었으며 투습율은 0.4849 $g/m^2day$로 측정되었다. Parylene의 보호층로서의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보호층이 형성된 소자와 보호층이 형성되지 않은 소자를 제작하여 대기중에서 그 특성을 측정 비교하였다. 두 제작된 top emission OLED 소자는 최대 휘도가 1000 $cd/m^2$ 이상 측정되었으며, parylene 보호층 공정에 의한 소자의 구동 특성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대기중에서 초기휘도 200 $cd/m^2$로 측정된 parylene 보호층이 형성된 소자는 수명이 5 이었고, 보호층이 형성되지 않는 소자의 수명에 비하여 2배 이상 증가하였다.

  • PDF

Studies on the Synthesis and Magnetic Properties of Cobalt Nanoparticles in the Polymer Film (코발트 나노 입자가 도입된 초상자성 고분자 박막의 제조 및 자성 연구)

  • Kim, Y.;Yoon, M.;Kim, Y.M.;Volkov, V.;Park, I.W.;Song, H.J.
    • Journal of the Korean Magnetics Society
    • /
    • v.13 no.2
    • /
    • pp.59-63
    • /
    • 2003
  • Superparamagnetic properties of self-aggregated cobalt nanoparticles in the perfluorinated ion-exchange polymeric membrane (MF-4SK) prepared by ion-exchange and recovery methods were investigated by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EM) and superconducting quantum interference device (SQUID) magnetometer at various temperatures. Our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cobalt nanoparticles in MF-4SK for the concentration of $7.8{\times}10^{19}$ atoms per 1 g of polymer membrane exhibit superparamagnetic properties above the average blocking temperature ($T_{B}$), which is determined to be around 185 K at applied field of 500 Oe. The average particle radius of 4.0 nm achieved from Langevin function fit is in good agreement with TEM observations. This experimental evidence suggests that cobalt nanoparticles in polymer film obey a single domain theory. The results are discussed in the light of current theory for the superparamagnetic behavior of magnetic nanoparticles.

The reaction rate of polysilanes prepared by electroreduction with different monomers and additives (여러 가지 모노머와 첨가제를 가지고 전기환원법에 의해 제조된 폴리실란의 반응속도)

  • Zhang, Feng-Jun;Chen, Ming-Liang;Oh, Won-Chun
    • Analytical Science and Technology
    • /
    • v.21 no.5
    • /
    • pp.432-437
    • /
    • 2008
  • In this study, polysilanes were synthesized by electroreduction with different monomers such as $CH_3HSiCl_2$, $PhSiCl_3$, $CH_3SiCl_3$ and $(CH_3)_2SiCl_2$ by Mg electrodes under ultrasonic radiation. The effects of monomers and additives (p-dibromobenzene (DBB), naphthalene (NAPH) and anthracene (ANTH)) on the reaction rate were investigated. Polymerization of $PhSiCl_3$ among the four monomers showed the highest rate. p-dibromobenzene (DBB) was proved the most effective additive. Based on the observations, some possible reaction mechanisms of the polymerization were proposed.

The Functionalization and Preparation Methods of Carbon Nanotube-Polymer Composites: A Review (탄소나노튜브-폴리머 복합체의 기능화와 제조방법)

  • Oh, Won-Chun;Ko, Weon-Bae;Zhang, Feng-Jun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v.45 no.2
    • /
    • pp.80-86
    • /
    • 2010
  • Carbon nanotubes (CNTs) exhibit excellent mechanical, electrical, and magnetic properties as well as nanometer scale diameter and high aspect ratio, which make them an ideal reinforcing agent for high strength polymer composites. The functionalized CNTs are believed to be very promising in the fields such as preparation of functional and composite materials. CNT-Polymer composites are expected to have good processability characteristics of the polymer and excellent functional properties of the CNTs. However, since CNTs usually form stabilized bundles due to Van der Waals interactions, are extremely difficult to disperse and align in a polymer matrix. The biggest issues in the preparation of CNT-reinforced composites reside in efficient dispersion of CNTs into a polymer matrix, and the alignment and control of the CNTs in the matrix. There are several methods for the dispersion of nanotubes in the polymer matrix such as solution mixing, bulk mixing, melt mixing, in-situ polymerization and chemical functionalization of the carbon nanotubes, etc. These methods and preparation of high performance CNT-polymer composites are described in this review.

전자선형 가속기의 제작과 국제적 이용 현황 I

  • 정만영
    • 전기의세계
    • /
    • v.13 no.3
    • /
    • pp.63-69
    • /
    • 1964
  • 한나라의 과학수준이 rocket기술이나 가속기의 출력 energy로서 운운 되었을 때가 있었는데 그때의 기속기는 원자핵 반응을 인공적으로 실험해 보는데 없어서는 안되는 것이기 때문이었다. 2차대전중 원자폭전의 출현을 보게 한 원자로의 발전은 대전후에는 평화적인 이용면에 따르는 응용 분야가 없는 고 energy의 소립자 연구라든지 isotope생산, 고분자화학 및 의료용등에는 대전중에 발전된 잔자기술의 이용으로 더 큰 가속기의 출현이 필요하였다. 특히 이 Electron Accelerator(이하 Linac라고 함)는 높은 고압과 큰 자석을 쓰지 않는 면에서 손쉽게 우리 신변에서 초고압 X선 이상의 효과로 쓸수있게해 주어서 그 이용면은 매우 다급해졌다. 여기서 우리나라의 입장에서 이러한 것을 살펴볼 때 첫째의 radar기술이 충분히 있으면서 이러한 것을 평화적 생산면에서 아직 활용하지 못하고 있으며 한편에서는 외국으로 부터 강력 동위원소를 도입하여 오고 있는데 Linac를 제작하여 여기서 이용하면 이러한 동위원소의 강도 이상의 것을 우리나라 기술로서 제작할 수 있다. 여기서 그 원리와 제작면에 있어서의 문제점 및 국제적인 이용 현황을 소개해 보겠다.

  • PDF

Protein Changes in Soymilk and Whole Soymilk due to Enzymatic Hydrolysis (효소적 가수분해에 따른 두유와 전두유의 단백질 변화)

  • Jang, Se-Young;Sin, Kyung-A;Park, Nan-Young;Bang, Kwang-Woong;Jeong, Yong-Jin
    • Food Science and Preservation
    • /
    • v.15 no.6
    • /
    • pp.903-908
    • /
    • 2008
  • This study investigated protein changes in soymilk and whole soymilk due to enzymatic hydrolysis. The total free amino acid contents of low molecular weight soymilk (LSM) and low molecular weight whole soymilk (LWSM) were higher than soymilk (SM) and whole soymilk (WSM). The essential amino acid content was similar in SM and LSM, but was higher in LWSM than WSM. In SDS-PAGE performed to tendency of becoming low molecules, the soy protein molecular weights were 3372 kDa for SM and WSM, but 17 kDa or less for LSM and LWSM. Also, high molecular weight protein spots were evident in 2-D electrophoresis of SM and LSM, but only low molecular weight protein spots of various sizes were evident in WSM and LWSM. This suggests that the high molecular weight protein in SM and WSM is changed to low molecular weight protein by enzymatic hydrolysis. Further investigations of the separation and qualities of these proteins are required.

표면 프리틸트 제어를 통한 새로운 광시야각 수직 배향 LCD 기술 소개

  • Kim, Seong-Min;Lee, Seung-Hui
    • Information Display
    • /
    • v.10 no.1
    • /
    • pp.15-21
    • /
    • 2009
  • 다중 도메인 수직배향 LCD는 러빙 공정을 필요치 않는 다는 장점에서 출발해 현재 액정 TV 시장에서 주를 이루고 있다. 하지만 현재 사용화 되고 있는 제품들이 투과율, 응답속도, 명암대비율 등 성능부분의 개선이 필요하고 공정 측면에서 돌기를 사용하거나 상판 패턴을 필요로 하는데 이러한 공정을 제거하면서도 성능이 우수한 새로운 형태의 수직배향 LCD가 최근 대두되고 있다. 기 발표된 기술들을 정리해 보면 신기술에서는 액정에 UV curing이 가능한 모노머를 소량 도핑 한 후 적절한 셀 구조를 형성해 전압 인가시 중간에 액정 배열에 충돌이 있더라도 최종적으로 안정한 배열을 갖게 만든 다음 UV조사를 통해 양 기판 표면에 모노머가 고분자화되면서 액정 배향 방향과 프리틸트각을 갖게 하도록 만든다. 이러한 신개념의 수직배향 LCD는 종래 LCD에 비해 전기광학 특성이 우수해지고 제조공정도 단순해져 향후 수직배향 LCD의 주를 이룰 것으로 예상된다. 더불어 수직배향 기술은 해마다 새로운 진화를 하고 있으며 앞으로 더 진화를 할 것으로 예상되어 이 부분에 대한 적극적인 연구 지원이 필요하다.

DNA Selective Immobilization on a Microcantilever with Nano-Interdigitated Electrodes (Nano-IDEs) Using Cyclic Voltammetry (맞물린 나노전극을 가지는 마이크로 캔틸레버의 제작 및 순환전압전류방법을 이용한 DNA의 선택적인 고정화)

  • Lee, Jung-A;Lee, Kwang-Cheol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A
    • /
    • v.32 no.6
    • /
    • pp.459-464
    • /
    • 2008
  • We present a novel microcantilever device with nano-interdigitated electrodes (nano-IDEs) and DNA selective immobilization on the nano-IDEs for biosensing applications. Using the nano-IDEs and cyclic voltammetric methods, we have achieved selective immobilization of DNA with submicrometer spatial resolution on a freestanding microcantilever. $70{\sim}500\;nm$-wide gold (Au) nano-IDEs are fabricated on a low-stress SiNx microcantilever with dimensions of $100{\sim}600\;{\mu}m$ in length, and $15{\sim}60\;{\mu}m$ in width, with a $0.5\;{\mu}m$ thickness using electron beam lithography and bulk micromachining. Streptavidin is selectively deposited on one side of the nano-IDEs using cyclic voltammetry at a scan rate of 0.1 V/s with a range of $-0.2{\sim}0.7\;V$ during $1{\sim}5$ cycles. The selective deposition of dsDNA is confirmed by fluorescence microscopy after labeling with YOYO-1 dye.

Investigation of Top-Contact Organic Field Effect Transistors by the Treatment Using the VDP Process on Dielectric

  • Kim, Young-Kwan;Hyung, Gun-Woo;Park, Il-Houng;Seo, Ji-Hoon;Seo, Ji-Hyun;Kim, Woo-Young
    • Journal of the Korean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 /
    • v.24 no.1
    • /
    • pp.54-60
    • /
    • 2007
  • 이 논문에서는 게이트 절연막 위에 vapor deposition polymerization(VDP)방법을 사용하여 성막한 유기 점착층을 진공 열증착하여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OTFTs)소자를 제작할 수 있음을 증명하였다. 우리가 제작한 Staggered-inverted top-contact 구조를 사용한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는 전기적 output 특성이 포화 영역안에서는 포화곡선을, triode 영역에서는 비선형적인 subthreshold를 확실히 볼 수 있음을 발견했다. $0.2{\mu}m$ 두께를 가진 게이트 절연막위에 유기 점착층을 사용한 OTFTs의 장 효과 정공의 이동도와 문턱전압, 그리고 절멸비는 각각, 약 0.4cm2/Vs, -0.8V, 106 이 측정되었다. 게이트 절연막의 점착층으로써 폴리이미드의 성막을 위해, 스핀코팅 방법 대신 VDP 방법을 도입하였다. 폴리이미드 고분자막은 2,2bis(3,4-dicarboxyphenyl)hexafluoropropane dianhydride(6FDA)와 4,4'-oxydianiline(ODA)을 고진공에서 동시에 열 증착 시킨 후, 그리고 $150^{\circ}C$에서 1시간, 다시 $200^{\circ}C$에서 1시간 열처리하여 고분자화된 막을 형성하였다. 그리고 점착층이 OTFTs의 전기적 특성에 주는 영향을 설명하기 위해 비교 연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