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전기강판

검색결과 189건 처리시간 0.04초

전기기기의 자계 해석에 대한 전기강판의 벡터 자기특성의 영향 (Influence of Vector Magnetic Property of Electrical Steel Sheet on Magnetic Field Analysis of Electrical Machine)

  • 윤희성;고창섭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11년도 제42회 하계학술대회
    • /
    • pp.852-853
    • /
    • 2011
  • 통상적으로 전기기기에 사용되는 전기강판의 자기특성은 B-H 자기특성 곡선을 이용하여 표현되어졌고, 이를 이용하여 전기기기의 자계 분포 해석 및 특성 해석이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실제로 전기기기의 전기강판은 인가 자계의 방향에 따라 자기특성이 다르게 나타나고, 자속밀도와 자계세기의 방향이 다르게 나타나는 벡터 자기특성을 가지기 때문에, B-H 곡선과 같은 스칼라 자기 특성으로 전기강판의 자기 특성을 정확히 표현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전기기기의 정확한 자계 해석 및 특성 해석을 위해서는 전기강판의 벡터 자기특성이 반드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전기강판의 벡터 자기특성이 전기기기의 자계 분포 해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며, 전기강판의 벡터 자기특성의 고려를 위해 ($B_m,\theta_B$)법을 이용하였으며 간단한 형태의 단상 변압기 모델에 유한요소 해석을 적용하였다.

  • PDF

분체도장용 내지문 CGI 강판 개발 (Development of Anti-Finger Printed CGI Steel Sheet for Powder Coating)

  • 김봉진;문만빈;나상묵
    • 한국표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표면공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발표회 초록집
    • /
    • pp.29-30
    • /
    • 2007
  • 내지문 강판은 가전재 내외판으로 사용되며 주로 전기아연도금강판을 이용한다. 그러나 최근 일부 가전사에서는 전기아연도금강판 대신 용융아연도금강판으로 일부 대체가 되고 있으며 특히 분체도장을 하는 외판에서 용융아연도금강판의 수요가 늘어나게 되었다. 이에 본고에서는 내지문 용융도금강판 개발을 위해 분체도장물성이 우수한 내지문 수지를 사용하여 기존 전기도금강판과 비교 테스트를 하였다.

  • PDF

이방성 전기강판의 인가자계 방향에 따른 자계특성 측정 (Measurement of the magnetic characteristics along arbitrary directions of grai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s)

  • 김홍정;고창섭;홍선기;신판석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5년도 제36회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B
    • /
    • pp.1023-1025
    • /
    • 2005
  • 이방성 전기강판으로 제작되어진 전기기기의 보다 정확한 수치적인 해석을 위해서는 이방성 전기강판의 인가자계방향에 따른 정확한 자계특성 측정이 필요하다. 이 논문에서는 개발되어진 2방향 자계인가 형 싱글시트 테스터를 이용하여 이방성 전기강판의 인가자계방향에 따른 자계특성을 측정하였다. 실험을 통하여 방향성 전기강판의 rolling direction과 transverse direction에 대하여 각각 1.8[T]와 1.3[T]까지 측정할 수 있었다.

  • PDF

경량전철 추진용 영구자석 동기전동기의 고정자 철손 저감 연구 (A study on the Reduction of the Stator iron loss on Permanent Magnet Synchronous Motor for Light Railway Transit Propulsion System)

  • 박찬배;이형우;이병송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5권4호
    • /
    • pp.376-380
    • /
    • 2012
  • IPMSM의 구동 중에 발생되는 철손은 코어 재료 특성에 의해 크게 좌우되며, 일반적으로 회전형 전동기에서는 모든 자속의 흐름 방향으로 자기적 특성이 동일한 무방향성 전기강판이 코어 재료로 사용된다. 무방향성 전기강판과 비교하여 방향성 전기강판은 자속의 흐름 방향으로의 자기적 특성이 우수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IPMSM의 철손을 저감시키기 위하여 코어 재료로써 무방향성 전기강판과 방향성 전기강판을 동시에 사용하는 구조를 제안하였다. IPMSM의 고정자에 자속 흐름의 방향으로 가공된 방향성 전기강판을 이용한 분할 티스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기존의 110kW급 IPMSM과 비교하여 거의 40% 정도의 철손 저감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SST를 이용한 전기강판의 회전자계 특성 측정 (Measurement of Rotating magnetic fields characteristics of Electrical Sheet)

  • 음영환;고창섭;김홍정;홍선기;신판석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6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전기기기 및 에너지변환시스템부문
    • /
    • pp.133-136
    • /
    • 2006
  • 전기강판으로 제작된 전기기기의 보다 정확한 수치적인 해석을 위해서는 회전자계(Rotating m-agnetic flux)에 따른 전기강판의 정확한 자계특성 측정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개발된 2방향 자계인가 형 Single sheet tester를 이용하여 회전자계에 따른 전기강판의 자계특성을 측정하였다. 실험을 통하여 등방성 시료와 이방성 시료에 대하여 각각 회전자계 및 교번, 회전자계의 혼합형 자계를 인가하여 1.6[T]와 1.2[T]까지 측정할 수 있었으며, 일반적인 철손(Alternating Iron Loss)외에 회전자계 인가 시에 B와 H의 위상차이에 의해 발생하는 회전자계 손실을 측정하였다.

  • PDF

회전자계에 따른 전기강판의 자계특성 측정 (Measurement of the magnetic properties under rotating magnetic flux of electrical steel sheets)

  • 김홍정;고창섭;홍선기;신판석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5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전기기기 및 에너지변환시스템부문
    • /
    • pp.101-103
    • /
    • 2005
  • 전기강판으로 제작되어진 전기기기의 보다 정확한 수치적인 해석을 위해서는 회전자계(Rotating magnetic flux)에 따른 전기강판의 정화한 자계특성 측정이 필요하다. 이 논문에서는 개발되어진 2방향 자계인가 형 Single sheet tester를 이용하여 회전자계에 따른 전기강판의 자계특성을 측정하였다. 실험을 통하여 등방성 시료와 방향성 시료에 대하여 각각 1.6[T] 와 1.2[T]까지 측정할 수 있었다.

  • PDF

마그네슘 첨가 합금도금강판을 이용한 칼라도장강판의 내식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rrosion resistance of color coated steel sheet using Magnesium-adopted alloy plated steel sheet)

  • 이경황;양지훈;정재인
    • 한국표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표면공학회 2018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44-44
    • /
    • 2018
  • 칼라도장강판은 금속 제품의 제품화 공정 중에 도장 공정을 생략함으로 경제적이며, 제조공정 중 발생할 수 있는 VOCs(Volatile Organic Compounds)의 배출 염려가 없어 건축 및 가전 산업에 다용되고 있다. 칼라도장강판은 용융아연도금강판(GI), 전기아연도금강판(EGI), 용융알루미늄아연합금도금강판 등이 기재로 적용되고 있으며, 최근 마그네슘 성분이 첨가되는 고내식 도금강판 개발과 함께 고내식 도금강판을 이용한 칼라도장강판의 개발 및 수요 발굴을 위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 중에 있다. 칼라강판의 구성은 일반적으로 도막 밀착성 확보를 위한 화성처리층, 기재와 도막간의 밀착성과 내식성 개선을 위한 하도층(primer layer), 가공성, 내오염성, 의장성 등의 기능성 부여를 위한 상도층(top layer)의 구조로 도장되어 있다. 도료는 가공성, 내오염성, 경도 등의 기능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수지계가 가장 폭넓게 사용되고 경화제로는 멜라민 화합물과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칼라도장 강판은 1970년대 이후 본격적으로 보급되어 사용되기 시작하였으며, 화성처리층은 밀착성과 내식성이 우수한 크로메이트처리가 널리 사용되고, 하도층은 방청성이 우수한 크로메이트계 방청 안료를 함유시킨 도료가 일반적이다. 그러나, 전기전자 제품에 적용되는 칼라도장강판은 2006년에 RoHS 규제의 시행과 더불어 6가 크롬 사용 제한의 영향으로 크롬프리 화성처리가 일반화되어 적용되고 있으며, 그 동안 6가 크롬 제안이 유보적이었던 건축용 칼라도장강판 또한 크롬프리 화성처리층 및 크로메이트계 방청 안료의 하도층 적용을 회피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고내식 합금도금강판을 기재로 사용하고 기존의 화성처리층과 하도층에 크롬프리 수지를 적용하는 연구개발이 활발하게 진행 중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마그네슘이 첨가된 고내식 합금도금강판으로 Al-Mg-S i강판과 용융 Zn-Al-Mg 합금도금강판에 기존의 상용화 공정에서 사용되는 크롬계 및 크로프리 화성처리 적용 칼라도장강판에 대한 내식성 등 칼라도장강판의 특성에 대해 발표한다.

  • PDF

가역식 냉간 압연기에서 전기강판의 에지 파단에 관한 유한요소해석 (Finite Element Analysis of Edge Fracture of Electrical Steel Strip in Reversible Cold Rolling Mill)

  • 변상민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6권12호
    • /
    • pp.1619-1625
    • /
    • 2012
  • 전기강판은 모든 형태의 변압기나 모터의 코어 소재로 사용되고 냉간압연 공정에 의해 생산된다. 본 논문에서는 냉간압연 중에 발생하는 전기강판 에지에서의 파단을 예측할 수 있는 손상역학에 기초한 접근법을 제시할 것이다. 손상개시 판단조건으로 수직 인장응력 조건을 도입하였고 손상진전 기법으로 손상 에너지법을 채용하였다. 전기강판 에지의 초기 노치로부터 크랙 발생과 전파 모사를 위해 유한요소법을 이용하였다. 유한요소해석에서 요구되는 물성치는 일반적인 판형 시편과 노치가 있는 판형 시편을 이용하여 인장 테스트를 통해서 확보하였다. 에지 크랙은 롤 바이트의 입측에서 시작되고 롤 바이트 출측에서 급격하게 진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기 노치의 길이와 강판의 전방 텐션릴 하중이 커짐에 따라 에지 크랙의 성장길이는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기아연 도금강판에서 단상 AC와 인버터 DC 용접기의저항 점용접 연속타점 수명 평가 (Effects of Chemical Compositions on Cold Cracking of Steel Weldments)

  • 손종우;박영도;강문진;김동철
    • 대한용접접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용접접합학회 2009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18-118
    • /
    • 2009
  • 자동차의 경량화, 안전성 그리고 내식성 향상을 위하여 고강도 강판 및 도금 강판의 적용이 증가하면서 자동차 산업의 많은 부분에서 적용되는 저항 점용접에서도 고강도 강판과 도금강판의 적용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고강도 강판과 도금 강판의 낮은 용접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기존의 단상 AC 용접기에서 전류 파형의 형태를 개선한 인버터 DC 용접기가 차체 조립라인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강도 강판의 저항 점용접의 연속타점 시 단상 AC용접기와 인버터 DC용접기의 전극의 연속타점 수명의 차이를 비교하고 분석하기 위해 590MPa 급 전기아연도금강판을 이용하여 AWS 규격에 연속타점실험을 기준으로 단상 AC 와 인버터 DC 용접기의 연속타점 실험을 실시하였다. 연속타점실험 중에 전극의 형상관찰을 위해 100타점 간격으로 carbon paper를 이용해 전극 직경 변화를 관찰 하였으며, 100 타점간격으로 동저항을 측정하고 인장 전단 시편과 Peel test 시편을 제작하여 연속타점 시 단상 AC와 인버터 DC 용접기의 저항 점용접 연속타점 수명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리고 연속타점 실험 후 사용된 전극의 표면과 단면 형상을 각각 OM, SEM, EDX로 분석하여 전극 표면의 Zn과 합금화 된 전극의 합금층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590MPa급 전기아연도금강판의 저항 점용점 연속타점 수명평가에서 인버터 DC 용접기가 단상 AC 용접기보다 200타점 더 우수한 연속타점 수명을 보유하였다. 특히 인장강도 기준 측면에서는 인버터 DC 용접기의 전극 연속타점수명은 매우 우수하다.

  • PDF

냉간가공도가 극박 3% 규소강판의 유도자화 특성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Cold Rolling Reduction on Magnetic Induction of Thin-Gauged 3% Si-Fe Strip)

  • 정진성;김두수;신재호;허남희
    • 한국에너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에너지공학회 1998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53-158
    • /
    • 1998
  • 현재 변압기 철심 재료는 주로 방향성 전기 강판이 사용되고 있으며, 우수한 자기유도 특성과 낮은 철손이 중요한 요건이다. 방향성 전기강판은 약 3%Si을 함유하며 2차 재결정에 의해 {100}<001> Gross texture로 배향된다. 극박 3%Si-Fe의 2차 재결정에 미치는 냉간 압연율의 효과에 대한 연구결과 보고는 거의 없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단 냉간압연에 의해 제조되는 박판 3%Si-Fe strip의 자기유도에 미치는 최종 냉간 압연율의 효과를 밝히는 것이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