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적화

Search Result 479, Processing Time 0.043 seconds

A Study on the cell characteristics for upsizing Dye-sensitized Solar Cell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대면적화에 따른 셀 특성 연구)

  • Choi Jinyoung;Lee Imgeun;Jeong Jongjin;Park Sungjune;Lee Dongyoon;Kim Heeje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06a
    • /
    • pp.189-191
    • /
    • 2005
  • 태양전지 분야에서 최근 크게 주목받고 있는 염료감응형 태양전지(DSC)의 효율 및 대면적화에 대한 연구는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대면적화로 인한 셀 내부의 전자 흐름에 관한 셀 특성의 고찰은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대면적화에 앞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대면적화에 따른 셀 특성을 알아보았다. 본 실험에서는 대면적화의 하나의 변수로서 셀의 가로 폭을 선택하였고, 가로 폭의 변화에 따른 각 샘플 셀의 전기특성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셀의 폭이 증가할수록 표면저항이 커져 염료에서 발생된 광전자가 표면저항으로 인해 포집이 잘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전자의 흐름이 원활하지 않게 됨을 알 수 있었다. 궁극적으로 셀의 대면적화는 표면저항의 증가로 이어져 셀 특성에 나쁜 영향을 미치게 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 PDF

Fruit Quality of Rabbiteye Blueberry as Affected by Manual Floral Buds Thinning (블루베리 인력적화 시기와 방법이 과실특성에 미치는 영향)

  • Kim, Hong Lim;Chae, Won-Byoung;Kim, Jin-Gook;Lee, Mock-hee;Rhee, Han-Cheol;Kim, Seung-Hui;Kwack, Yong-Bum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 /
    • v.38 no.3
    • /
    • pp.166-172
    • /
    • 2019
  • BACKGROUND: Increase in the ratio of small berries in blueberry production decreases the farmers' profits due to weakening market competitiveness and lowering harvest efficiency. One of the reasons for increased small berries is over fruit-load. For improving productivity and competitiveness of blueberry in Korea, hand-thinning can be applied to increase fruit quality before the developing adequate chemical thinning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roper timing and methods for floral buds thinning in rabbiteye blueberry. METHODS AND RESULTS: Eight years old bushes of rabbiteye bluberries 'Brightwell' as a primary cultivar and 'Powderblue' as a pollinizer were used for this study. Fruit size distribution by leaf-to-fruit ratio was investigated by counting the number of leaves and fruits in canes of 127 'Brightwell' plants whose fruit set varied. Fifty percent of flowers/floral buds were removed in four different floral buds stages such as bud swell, late pink bud, full bloom, and petal fall, and the consumed time for thinning and fruit characteristics were recorded to investigate the effect and proper timing of floral buds thinning. Fruit weight and soluble solids content tended to increase in proportion to leaf-to-fruit ratio and the production of the number of fruits less than 13 mm in diameter decreased when leaf-to-fruit ratio was more than 2.5. Manual floral buds thinning by hands was fastest in full bloom stage and slowest in bud swelling stage. In all cultivars, fruit size was significantly smaller in non-thinning treatment than thinning, and there was,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otal fruit yield. The number of fruits less than 13 mm in diameter increased in both cultivars as floral buds thinning was delayed. Consumed time for picking 90% berries out of total berries per bush was shortest in full bloom stage thinning in 'Brightwell' and bud swelling, full bloom thinning in 'Powderblue'. These were 25 and 20 days faster than no thinning, respectively. CONCLUSION: Although the effect of floral buds thinning varied depending on the cultivars, our results confirmed that floral buds thinning was effective for the early intensive harvesting and the increase of the large fruit ratio and the harvesting productivity. Also, in order to increase thinning efficiency, it is recommended to remove the flower buds before the full bloom stage.

A study on the large scaling of Dye-Sensitized Solar Cell for commercialization (염료 감응형 태양전지의 상용화를 위한 실용적 대면적화에 대한 연구)

  • Kim, Mi-Jeong;Seo, Hyun-Woong;Hong, Ji-Tae;Kim, Hee-Je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7.07a
    • /
    • pp.1297-1298
    • /
    • 2007
  • 염료 감응형 태양전지(DSSC)의 개발 이후 많은 연구와 실험이 상용화를 위한 대면적화에 중점을 두고 진행되고 있다. 대면적화에 대한 대부분의 연구에서 그리드 전극을 넣고 내부적으로 직, 병렬 구조를 조합해 확장 시키는 방법을 채택하고 있지만, 그리드 전극을 넣음으로써 발생하는 손실, 즉 실링 공정의 어려움으로 발생하는 전자의 손실과 제작 공정상에 있어서의 복잡한 절차 및 그에 따라 소요되는 시간 등을 감안할 때 이는 그리 효과적이지 못하다고 할 수 있다. 면적이 작은 여러 셀을 외부에서 연결시켜 대면적화 시켰을 때 그 효과에 대해서 알아보고, 동일한 면적의 대면적화 된 단일 셀과 비교, 그 결과를 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 우리는 동일한 면적을 가지고 있는 대면적의 단일 셀보다 여러 셀의 병렬 조합으로 이루어진 것이 더 좋은 결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유효면적 $8cm^2$을 가지는 셀을 외부적으로 연결시켜 대면적화 시켰을 때 그 효과에 대해서 알아보고 실험하였다. 하나의 모듈을 만들기 위해 직 병렬의 다양한 조합을 시도하여 직렬 연결이 많이 된 모듈일수록 이를 다시 병렬로 연결했을 때 전류의 손실을 많이 줄일 수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 PDF

Effects of Cluster and Flower Thinning on Yield and Fruit Quality in Highbush 'Jersey' Blueberry (적방.적화 처리가 하이부쉬 'Jersey' 블루베리 과실의 수량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

  • Kim, Jin-Gook;Ryou, Myung-Sang;Jung, Sung-Min;Hwang, Yong-Soo
    •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 /
    • v.19 no.4
    • /
    • pp.392-396
    • /
    • 2010
  • This research focused on determining the effectiveness of cluster and/or flower thinning in highbush 'Jersey' blueberry on the yield and fruit quality. The total yield and quality of fruit were compared between thinning methods of control (no thinning), 1/3 cluster thinning, 1/3 cluster thinning + 1/2 flower thinning, 2/3 cluster thinning, and 2/3 cluster thinning + 1/2 flower thinning per each bearing shoot, respectively. Thinning strength significantly affected the yield of bearing shoot and, thus, total yield of control and 1/3 cluster thinning was higher than others. Both cluster and flower thinning, however, significantly affected the fruit growth resulting in the increase of fruit weight, length and width. Even total yield was similar between control and 1/3 cluster thinning, more larger fruit (> 1.6 g) were produced by 1/3 cluster thinning treatment, indicating that flower and/or cluster thinning contributed to the increase of individual fruit growth. Unlike fruit growth, fruit quality was less affected except total soluble solid contents. Total soluble solid level significantly increased in treatments (2/3 cluster thinning, 2/3 cluster thinning + 1/2 flower thinning) with yield decreas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levels of acidity and firmness of fruit was found. Results indicated that fruit growth and total yield of highbush blueberry was more influenced by the thinning strength regardless of cluster or flower than internal quality of fruit such as solid and acid levels.

Comparison of Flower Thinning Efficiency of Lime-sulfur on Korean Major Pear (Pyrus pyrifolia Nakai) Cultivars (석회유황합제 처리에 의한 국내 주요 배 품종별 적화 반응 비교)

  • Byeong Hyeon Yun;Ji Hae Jun;Il-Sheob Shin;Hyun Ran Kim;Kang Hee Cho;Jae Hoon Jeong;Se Hee Kim;Sang-Yun Cho;Sewon Oh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 /
    • v.37 no.1
    • /
    • pp.62-70
    • /
    • 2024
  • Fruit thinning rate and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for three years on seven promising pear (Pyrus pyrifolia Nakai) cultivars, which were treated by lime-sulfur as an eco-chemical thinning substance. Lime-sulfur was treated twice at the second and third days after full bloom by cultivar. Most of pear cultivars were significantly thinned by lime-sulfur compounds. Especially 'Whangkeumbae', 'Supergold' and 'Hanareum' exhibited high flower thinning rates, 41.5%, 40.1% and 39.9%, respectively. As weather conditions at the lime-sulfur treatment, insolation and cloud amount were correlated with flower thinning rate but not significant (r = 0.49 and r = -0.45, resp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lime-sulfur is suitable for reducing labor force for flower thinning of Korean pears but flower thinning effects of lime-sulfur can vary depending on other factors such as environmental conditions. This information will provide useful data for low labor force cultivation of Korean pear cultivars.

초대면적 플라즈마의 공간균일도 평가를 위한 방출광 진단계 개발

  • Park, Sang-Hu;Kim, Gi-Jung;Choe, Won-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4.02a
    • /
    • pp.256.1-256.1
    • /
    • 2014
  • 21세기 정보화 시대의 도래와 함께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분야는 고부가가치산업으로 급격히 성장하였고, 현재까지도 미래의 지속적인 시장 창출을 위하여 기술개발과 투자로 초미세화, 고효율, 대면적화에 대한 원천기술 확보가 중요시되고 있다.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의 대면적화가 진행됨에 따라 플라즈마 공정장비의 대면적화도 활발히 기술개발이 진행되고 있으며, 대면적화에 있어 플라즈마의 공간균일도는 생산수율 및 공정균일화를 위해 기본적으로 평가되어야 하는 중요한 지표가 되었다. 하지만 종래의 진단법들은 대면적 플라즈마 진단에 매우 제한적이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대면적 플라즈마의 공간균일도 평가를 위해 플라즈마의 방출광 측정을 기초로 하는 진단계를 개발하였다. 플라즈마 방출광을 이용한 진단은 플라즈마에 섭동을 주지 않고 전자온도의 변화 및 공간균일도를 평가할 수 있다. 이 진단법은 두 마주보는 한쪽 면이 평평한 볼록렌즈(plano-convex lens)로 이루어진 수광시스템과 역변환 알고리즘을 통해 선 적분된 방출광으로부터 플라즈마 방출광의 국지적 정보를 측정하는 것이다. 플라즈마와 같이 크기가 큰 광원의 경우 렌즈 광학계에서 필연적으로 수반되는 선적분된(chord-integrated) 방출광을 제거하기 위해 구조에 따른 시스템 함수를 이용한 푸리에 변환 알고리즘을 개발하였고, 이를 통해 렌즈 초점거리의 정확한 방출광 세기만 재구성하였다. 이러한 재구성 방법을 이용하여 렌즈의 거리를 움직이며 대면적 플라즈마의 방출광 분포측정을 수행하였고, 이에 대한 결과를 발표하고자 한다.

  • PDF

Technical Trends of Photonic Integrated Circuits for High Speed, High Capacity Optical Communication (초고속 대용량 광통신을 위한 광집적 소자 기술 동향)

  • Baek, Y.S.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4 no.6
    • /
    • pp.52-60
    • /
    • 2009
  • 인터넷의 보급과 더불어 폭발적으로 늘어나기 시작한 데이터 통신은 FTTH의 보급과 IPTV, VoD 등 본격적인 멀티미디어 수요의 증가에 따라 매 18개월마다 통신량이 2배씩 증가하는 "광 무어의 법칙"이 성립되고 있다. 지속적인 대역폭의 증가를 수용하기 위해서는 핵심 광부품의 소형화 및 저가화가 반드시 필요하며 이러한 요구사항 수용을 위한 핵심요소는 광집적화 기술 개발을 통한 광소자의 고집적화 및 고속화 달성이다. 광집적화 기술은 크게 두 가지 분류로 나눌 수 있는데 이종 물질간의 하이브리드결합에 의한 구현과 단일 혹은 유사 물질에 의한 모놀리식 집적에 의한 방법이다. 본 고에서는 하이브리드 집적 및 모놀리식 집적 기술의 핵심 요소 및 기술발전 현황에 대해 살펴본다.

Efficient Uplink Resource Allocation for Power Saving in IEEE 802.16 OFDMA Systems (파워 절약을 위한 IEEE 802.16 OFDMA 시스템의 효율적 상향링크 자원 할당 알고리즘)

  • Yoon, Jong-Pil;Kim, Woo-Jae;Baek, Joo-Young;Suh, Young-J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7.10d
    • /
    • pp.407-412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IEEE 802.16 OFDMA 시스템에서 단말들의 에너지 절약을 위한 효율적인 상향 링크 자원 할당 알고리즘을 제시한다. 기지국은 각각의 단말들이 상향링크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상향링크 부프레임에 연속적인 형태의 자원을 할당해 줘야 한다. 이렇게 각 단말들의 에너지 소비를 고려하여 효율적으로 자원을 할당하는 방식은 최적화 문제의 형태로 접근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전체 에너지소비가 최소가 되는 자원 할당 문제를 Multiple Choice Knapsack 문제로 정의하고, 이를 효율적으로 풀 수 있는 준최적화 알고리즘을 제시한다. 준최적화 알고리즘은 전체 에너지 소비가 최소가 되는 각 단말들의 최적의 변조로 부호화 기법을 찾는다. 그리고 성능평가를 통해 준최적화 알고리즘이 채널 상태만을 고려하여 변조로 부호화 레벨을 결정하는 기법에 비해 최대 53%의 성능 이득을 보이는 것을 제시한다.

  • PDF

비진공 코팅 방식에 의한 CIGS 박막 태양전지 개발

  • An, Se-J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0.08a
    • /
    • pp.28-28
    • /
    • 2010
  • 칼코파라이트 구조의CuInSe2 (CIS) 계 화합물은 직접천이형 반도체로서 높은 광흡수 계수($1{\times}10^5\;cm^{-1}$)와 밴드갭 조절의 용이성 및 열적 안정성 등으로 인해 고효율 박막 태양전지용 광흡수층 재료로 많은 관심을 끌고 있다. CIS 계 물질에 속하는 $Cu(InGa)Se_2$ (CIGS) 태양전지의 경우 박막 태양전지 중 세계 최고 효율인 20%를 달성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우수한 성능에도 불구하고 CIS 계 박막 증착시 동시증발장치나 진공 스퍼터링 장치와 같은 고가 진공장비를 사용해야 한다는 점이 CIS 박막 태양전지 상용화의 걸림돌이 되고 있는데, 이는 장비 특성 상공정단가가 높고 대면적화가 어렵기 때문이다. 따라서 기술개발 이후의 상용화 단계를 고려할 때 CIS 박막 제조 공정단가를 획기적으로 낮추면서도 대면적화가 용이한 신공정 개발이 필수적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용액 및 나노 입자 전구체를 비진공 방식으로 코팅하여 CIS 광흡수층을 제조하는 기술이 CIS 태양전지의 저가화 및 대면적화를 가능케 하는 차세대 기술로 인식되고 있다. 본 세미나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용액 또는 입자 전구체를 이용한 CIS 광흡수층 제조 기술개발 현황 및 각 기술별 특징을 소개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