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적정용량산정

Search Result 113, Processing Time 0.056 seconds

Comparative Study on Preliminary Design of Detention Basins (저류지 예비설계에 관한 비교연구)

  • Park, Min-Kyu;Yoo, Chul-Sang;Park, Chang-Yeo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383-387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저류지 예비설계를 위해 제안된 다양한 모형의 수문학적 특성을 비교하고, 재해영향평가 실무지침서 등과 같은 국내 설계기준에 의하여 설계된 저류지 용량을 기준으로 저류지 홍수조절용량 결정의 적정성을 검토하였다. SCS 모형 등 총 9가지 모형을 대상으로 비교한 결과 Wycoff and Sing 모형, Baker 모형, Kessler and Diskin 모형과 Currey and Akan 모형 4가지의 적용결과와 국내 방식으로 산정된 저류지 용량의 상관성은 89.7%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홍수조절용량 $15,000m^3$이하에서 특히 상관성이 높게 나타나 상기 모형들을 소규모 저류지 시설을 계획하기 위한 초기 가정치 또는 기존에 설치된 저류지 시설들의 용량 평가목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국내에서 주로 설치되고 있는 저류지의 특성을 반영하여 추가로 적용성이 높은 방법을 도출할 경우 행정계획단계의 사전재해영향성검토나 소규모 개발사업 등에서 저류지의 홍수조절용량의 예비설계 목적으로 활용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 PDF

통영 북만의 굴양식장 적정관리에 관한 연구 IV. 환경용량

  • 정우건;조창환;조상만;최우정
    • Proceedings of the Malacolog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1.11a
    • /
    • pp.37-38
    • /
    • 2001
  • 굴과 같은 이매패 양식장에서의 어장 환경 용량은 생물 서식환경의 질적, 양적 저하 없이 지속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생물의 양이라고 할 수 있다. 즉, 환경용량이란 환경의 악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지속적으로 최대 생산을 얻을수 있는 최대 생산을 오염부하 즉 자정 능력적 의미를 포함한다고 볼 수 있다. 연안 양식장은 대상해역에 따라 해수유동과 같은 물리적 특성, 해역이용 실태, 오염부하량 등 환경특성이 다양함으로 환경용량은 서로 다르다고 볼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통영시에 인접하여 도시하수의 영향으로 인하여 부영양화 되어 있다. 굴 양식이 행하여지는 북만을 대상으로 하여 양식 생물을 수용할 수 있는 환경용량을 생태유체역학 모델(藏本·中田,1991)을 이용하여 산정하고, 최적환경을 유지하기 위한 방안들을 검토하였다.

  • PDF

Optimal Estimation of Water Use for Runoff Simulation in the Large-Scale Basin (대유역 유출모의를 위한 적정 용수량 산정)

  • Ryoo, Kyong-Sik;Hwang, Man-Ha;Yoo, Ya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747-1751
    • /
    • 2007
  • 통상적인 용수량 산정방법은 원단위법과 같은 간접적인 추정방법이 이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산정방법은 유역의 용수수요량 측면만을 고려하여 산정된 것이기 때문에 사실적으로 유역내에서 이용되는 용수량과는 많은 차이를 발생한다. 특히 농업용수 이용량은 증발산량과 같은 기상상황과 침투량과 같은 유역상황을 비롯하여 농업수리시설물의 공급현황 등과 같은 다양한 요인들에 의해 영향을 받기 때문에 기존 산정결과와는 큰 차이를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효율적인 물관리를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유역의 실사용량을 추정하기 위해 기존의 산정방법을 보다 사실적인 결과가 도출될 수 있도록 개선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micro grid reasonable construction plan in island that not connected to power system (경제성을 고려한 계통 미연계 도서지역의 MG 구축 방안)

  • Kim, JJong-Gyu;Soe, In-Yong;Oh, Si-duk;Yoo, Yung-Pil;Kwak, Ho-Young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5.07a
    • /
    • pp.491-492
    • /
    • 2015
  • 계통 미연계 도서지역에 경제적으로 분산전원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총 발전량 대비 적정 신재생에너지 발전 비율을 산정해야한다. 도서지역은 소규모 전력계통으로 이루어져 있어, 신재생에너지 출력의 간헐성은 계통에 미치는 영향이 크기 때문에 ESS(신재생에너지 설비용량 ${\times}$ 4h)를 설치하도록 의무화 하고 있다. ESS의 높은 설치단가는 경제성을 하락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적정용량의 신재생에너지 설비를 구축하는 것이 ESS로 인한 경제성 하락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도서지역의 총 발전량의 30% 이상을 신재생발전으로 공급한다는 조건에서, 경제성을 고려한 신재생에너지 발전 방안을 제시한다.

  • PDF

Analysis on Critical Duration for Uncontrolled Single Detention Pond (자연방류형 단일저류지의 임계지속기간 분석)

  • Park, Jong-Young;Shin, Chang-Dong;Lee, Jung-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b
    • /
    • pp.1413-1416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인접하는 유역과 어떠한 동적인 상호작용없이 유출이 독립적으로 결정되는 자연방류형 단일저류지를 대상으로 기존의 연구에서 임계지속기간 결정에 빈번히 이용되었던 최대첨두유량 발생시간, 최대저류용량 발생시간, 최대 저류비 발생시간을 기준으로 한 임계지속기간을 산정하여 분석하므로써 자연방류형 단일저류지의 임계지속기간의 결정에 있어 합리적인 성과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적용결과, 최대 저류용량을 기준으로 한 경우에는 저류지 규모와 같은 제약조건을 가져오게 되고, 최대 저류비를 기준으로 한 경우에는 강우지속기간에 따라 저류비는 지속적으로 감소하므로 두 기준을 통하여 임계지속기간을 결정하는 것은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허용방류량 고정개념을 통하여 최대 저류비, 최대 저류용량을 통하여 임계지속기간을 산정하였다. 그 결과 자연방류형 단일 저류지에서는 최대 저류용량을 통하여 적정 임계지속기간을 검토할 수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러므로 최대 저류비를 이용하여 자연방류형 저류지에서의 최대 저류비를 발생시키는 시간분포를 정리한 결과 전체적으로 Huff 2분위가 최대 저류비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첨두저류비 변화율을 검토한 결과 매우 제한적인 조건이기는 하지만 허용방류량 고정개념을 이용한 경우에 한하여 지속기간별 최대 첨두유량의 임계지속기간과 자연방류형 단일저류지의 임계지속 기간을 동일하게 간주하는 것이 큰 무리는 아닌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Optimal Quantity of Peak Load Curtailed by DR Programs in Korean Power Market (우리나라 전력시장의 부하관리용량 산정)

  • Shim, Dae-Sub;Kim, Doo-Jung;Lee, Ho-Seong;Choi, Eun-Sil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9.07a
    • /
    • pp.555_556
    • /
    • 2009
  • 우리나라는 수요관리를 위해 '85년도 하계휴가보수, 자율절전 제도를 도입한 후 부하관리 효과를 면밀히 평가하지 않은 채 관습적으로 매년 부하관리 목표량을 상향하며 더 많은 예산을 지속적으로 투입하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심야시간대 낮은 요금체계 등으로 인하여 부하율이 높은 수준으로 부하관리 효과가 저조한 실정이며, 최근 여름철 이상 기온 발생 등으로 부하관리기간 이외에 연중 최대 부하가 발생하는 빈도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의 도 소매시장에서 자발적인 부하관리 인센티브, 현 부하관리제도 등을 분석하고 우리나라 전력계통의 부하지속곡선에서 적정 부하관리용량을 산정하고자 한다.

  • PDF

Optimum Capacity of Retention Basin for Treating Nonpoint Pollutants and Its Removal Efficiency in Industrial Complex Areas (산업단지내 비점오염물질 처리를 위한 적정 저류조 용량 산정 및 처리효율)

  • Kim, Lee-Hyung;Lee, Byung-sik;Kwon, Soo-Youl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7 no.3
    • /
    • pp.75-85
    • /
    • 2005
  • The Construction of industrial complex areas means the increase of imperviousness rate and the increase of nonpoint pollutant emissions during a rainfall. Generally the retention basin can become the alternative for removing and controling these nonpoint pollutants. Recently Ministry of Environment are trying to change the purpose of retention basins from flooding control to nonpoint pollutant control. In order to propel the stormwater management program, administration plan of stormwater management is enacted in Spring, 2005. Hereafter, in a newly developing area, the best management practices should be established to control the nonpoint pollutant. Landuses of the research area are classified to the categories of the 1st manufacturing industry, metal industry, fiber and chemical product manufacturing industry, etc. Therefore, this research was performed to understand washed-off characteristics of stormwater and to suggest the controling method of nonpoint pollutants. The optimum capacity of the retention basin can be determined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s among data of rainfall, runoff, washed-off pollutants from the areas. The rainfall analysis using the data of normal year, recent 2, 5 and 10 years shows that the 80% rainfall frequency was occurred on 10mm accumulated rainfall, but which is not considered the first flush effect. However, by considering the first flush effect, the appropriate treatment capacity of rainfall can be decreased to 4-5mm accumulated rainfall. Using the criteria, the optimum capacity of retention basin is determined to $12,000m^3$ in the research area. The washed-off nonpoint pollutant loading from the areas have beeb calculated to 435ton/yr for TSS, 238ton/yr for COD, 8,518kg/yr for TKN and 1,816kg/yr for TP. The mass of 78.3ton/yr for TSS, 20.4ton/yr for BOD, 128.6ton/yr for COD, 4.6ton/yr for TKN and 980kg/yr for TP can be reduced by constructing the retention basin. The sediment accumulation rate is also calculated by $6.53kg/m^2-hr$.

  • PDF

A study on load shedding considering wind power effect in Che-ju island (제주계통 연계선 고장 시 풍력을 고려한 부하차단 용량 계산에 관한 연구)

  • Hwang, Kyo-Ik;Chun, Yeong-Ha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5.11b
    • /
    • pp.304-306
    • /
    • 2005
  • 풍력 발전에 대한 관심이 증대 되면서 우리나라도 제주도와 강원도를 중심으로 풍력에 대한 계통연계를 시도 하고 있다. 특히 제주도의 경우 풍속이 적절하여 현재 총 15.8MW 설비의 풍력 발전 설비를 갖고 있으며 높은 이용률을 보이고 있다. 2007년 까지 추가 건설 계획 중인 용량은 85MW로 계속적으로 설비를 확대 하고자 한다. 계획 중인 풍력 용량이 완공되면 제주도 전체 설비의 14%에 달하게 된다. 이런 용량의 증가는 풍력 발전기의 불규칙적인 특성상 제주도의 전력 시스템에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제주도는 연평균 전력의 30%정도를 내륙과의 연계 선에 의지하고 있어 현재도 5단계의 부하차단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풍력발전기의 갑작스런 출력 변동 시 계통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증대된 풍력 발전기에 의한 영향을 안정화하기 위한 적정 부하 차단량을 산정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Carrying Capacity of Donggung and Wolji, Gyeongju - Centering around the Physical.Psychological Carrying Capacity - (경주 동궁과 월지의 적정수용력 연구 - 물리적 심리적 수용력을 중심으로 -)

  • Pan, Xiang;Xu, Huan;Kang, Tai-Ho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 /
    • v.30 no.3
    • /
    • pp.21-28
    • /
    • 2012
  •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basic information for structuring the subsequent information monitoring and early warning system and configuring the sustainable programme management of Donggung and wolji, Gyeongju which was much utilized as historic garden with the physical carrying capacity and the psychological carrying capacity according to on-spot observation and survey. The physical carrying capacity can be calculated with landscape node spatial capacity, road spatial capacity and other spatial capacity and the psychological carrying capacity can be calculated with vision, hearing, touch, action feeling and satisfaction. The number of actual tourists was lower than the carrying capacity in daytime, but it was about twice as great as that in the night. And because the tourists were mainly tour groups, the time of environment damaged was short and fixed. The management improvement program was brought forward centre around the results.

Assessment of Water Supply of Pumped-Storage Type Reservoir according to Climate Change (기후변화에 따른 양수저류형 저수지 용수공급능력 평가)

  • Lee, Jaenam;Shin, Hyungjin;Kim, Haedo;Kang, Seokm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224-224
    • /
    • 2018
  • 농업용저수지는 전국에 약 18,000여 개소에 이르며 지역특성에 따라 농업용수를 공급하는 체계가 각각 다르다. 저수지 용수공급체계는 자체유역에서 확보된 용수를 해당 수혜면적에 공급하는 것이 대표적이지만, 유역면적이 작거나 없어 용수확보가 어려운 지역은 양수시설을 통해 간접유역의 하천수나 재이용수 등을 저수지에 저류한다. 양수저류형 저수지의 설계를 위해 다양한 양수조건을 고려한 물수지분석을 수행하고 저수지의 설계용량 및 적정 양수량을 결정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기후변화 등으로 인해 수자원 환경의 변화로 농업용수가 부족해지고 있는 상황 속에서 양수 저류형 저수지에 대한 용수공급능력의 재평가가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에 따른 양수저류형 저수지의 용수공급능력을 재평가하였고, 물 부족을 극복하기 위한 적정 양수량을 산정하였다. 대상저수지는 ${\bigcirc}{\bigcirc}$저수지로 선정하였고 저수지 모의운영을 위한 양수량, 관개 재이용수 비욜 등의 입력정보는 당초 설계에 적용된 값을 사용하였다. 과거 기상자료는 1980-2010년, 미래 기후정보는 2011-2100까지로 RCP 4.5와 RCP 8.5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적용하였다. 과거 및 미래 기후정보를 적용하여 양수저류형 저수지의 모의운영을 수행하고 이수안전도 90%의 만족여부를 검토하였다. 또한 기후변화에 대비하여 안정적 용수공급을 위한 적정 양수량을 산정하고 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물 부족 지역의 농업용수 공급을 위한 양수저류형 저수지 운영에 있어 저수지 물관리의 기초정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