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동궁과 월지의 적정수용력 연구 - 물리적 심리적 수용력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arrying Capacity of Donggung and Wolji, Gyeongju - Centering around the Physical.Psychological Carrying Capacity -

  • 반상 (동국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 서환 (동국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 강태호 (동국대학교 조경학과)
  • Pan, Xiang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Dongguk University) ;
  • Xu, Hua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Dongguk University) ;
  • Kang, Tai-Ho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Dongguk University)
  • 발행 : 2012.09.30

초록

본 연구는 최근 역사정원 관광공간으로 이용이 증가하고 있는 경주 동궁과 월지의 물리적 수용력과 심리적 수용력을 중심으로 경주 동궁과 월지의 적정수용력을 측정하여 향후 정보 모니터링 조기경보시스템의 구축과 지속가능한 관리방안을 설정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현장관측과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물리적 수용력은 경관 결절점 공간용량과 도로 공간용량, 기타 공간용량을 나눠서 산정하였으며, 심리적 수용력은 관광객의 시각, 청각, 촉각, 행동 느낌과 만족도 측면에서의 접근을 통하여 추정하였다. 실제 이용관광객 수와 적정 수용력을 비교해 보면 주간에는 이용관광객 수가 적합한 반면, 야간에는 적정 수용력의 두 배 이상 초과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야간 방문객은 단체관광객이 주류를 이루어서 짧고 정해진 시간대에 집중되어 유적지의 경관과 식생 환경을 훼손시켰다. 이러한 결과를 중심으로 경주 동궁과 월지의 관리에 대한 정책적 관리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basic information for structuring the subsequent information monitoring and early warning system and configuring the sustainable programme management of Donggung and wolji, Gyeongju which was much utilized as historic garden with the physical carrying capacity and the psychological carrying capacity according to on-spot observation and survey. The physical carrying capacity can be calculated with landscape node spatial capacity, road spatial capacity and other spatial capacity and the psychological carrying capacity can be calculated with vision, hearing, touch, action feeling and satisfaction. The number of actual tourists was lower than the carrying capacity in daytime, but it was about twice as great as that in the night. And because the tourists were mainly tour groups, the time of environment damaged was short and fixed. The management improvement program was brought forward centre around the results.

키워드

참고문헌

  1. 국립공원관리공단(2000). 국립공원별 특성에 따른 공원관리방안 연구.
  2. 김남조, 정철, 박상현, 김진선(2000). 사회적 수용력의 혼잡기대, 혼잡 지각, 만족의 관계에 관한 연구. 관광학연구.24(1):243-257.
  3. 김남조(2005).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한 관광지 수용력 적용모형 개발. 관광학연구. 29(2):13-32.
  4. 김선희(2005). 관광지의 적정수용력 산정과 관리방안 연구:광릉지역을 사례로. 대한지리학회지. 40(3):321-334.
  5. 김진선,정성태(2003). 공간 집약적 관광지에서 사회적 수용력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31(2):28-35.
  6. 박석희(1994). 신관광자원론. 일신사. p.206.
  7. 이명진(1996). 관광위락수용력 연구의 체계적 접근방법에 관한 이론적 고찰. 관광레져연구. 8(2):125-143.
  8. 이창환(1991). 관광지 개발에 있어 이용객 추정을 위한 적정규모의 산정(1). 환경과 조경. 42:124-129.
  9. 이훈(2000). 비수기 해변 관광객 혼잡지각의 형성과 영향에 관한 인과 구조분석. 관광학연구. 23(2):47-67.
  10. 지봉구(1997). 국립공원의 사회심리적 수용력에 관한 사례연구. 호텔경영연구논총. (5):145-167.
  11. 王曉燕,王晨(2007). 北京頣和園旅游环境容量分析. 河北師范大學學報 (自然科學版). 31(3):403-408.
  12. 胡炳清(1995). 旅游环境容量計算方法[J]. 环境科學研究. 8(3).
  13. 油井正昭,岡本昌光(1989). 自然公園の施設-利用據點の整備計劃/木材 を活用した公園施設, 國立公園協會.
  14. Bury, R.(1976). Recreation carrying capacity-hypothesis or reality. Parks and Recreation. 11:22-25.
  15. Butler, R. W.(1994). Alternative Tourism:The Thin End of the Wedge in Smith. V. L. and Eadington, W.R.(eds.).
  16. Eagles, Paul F.J. and Stephen F. McCool(2002). Tourism in National Parks and Protected Areas- Planning and Management.CABI Publishing.
  17. Godschalk, D. R. and Parker, F. H.(1975). Carrying capacity: A key to environmental planning. Journal of Soil and Water Conservation. 30(4):160-165.
  18. Manning, R.(2001). Visitor experience and resource protection: A framework for managing the carrying capacity of national parks. Journal of Park and Reation Admirstration 19(1):93-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