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적정고도

검색결과 183건 처리시간 0.026초

90년대 석유산업의 좌표와 진로

  • 대한석유협회
    • 석유와에너지
    • /
    • 1호통권107호
    • /
    • pp.40-56
    • /
    • 1990
  • 90년대를 맞아 정유업계는 해결해야 할 많은 과제를 안고 있다. 석유수요의 증가에 따른 안정공급기반의 확충과 석유수요구조의 경질화ㆍ가스화ㆍ저유황화에 따른 시설고도화가 당면과제로 등장하고 있다. 그러나 정유산업 허용이익의 절대규모부족과 적정이윤미현실은 성장발전의 제약요인이 되고 있다. 또 현행유가관리제도도 개선ㆍ보완 내지 폐지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높다. 이에 석유협회에서는 설문을 통해 각계의 의견을 들어본다. <편집자 주>

  • PDF

양봉업의 경영경제상 봉군관리의 이모저모

  • 윤은영
    • 양봉협회회보
    • /
    • 통권238호
    • /
    • pp.8-9
    • /
    • 2000
  • 어느 업종이던 간에 건전한 기반 위에 자리를 잡고 매번 수지를 맞춘다는 것은 참으로 어려운 일이다. 이는 곧 고도 기술의 활용 내지는 각자 두뇌의 발전여하와 쓰임개가 일의 성패의 초점이라 할 것이다. 본래 실천단계에 있어 세기의 흐름 속에서 새로운 묘기, 적정정보의 청취도 불가결하지만 경영주마다 자신의 입지에 맞추어 값싸고 간편하게 소화하여 대응 할 수 있는 아량도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는 것이다.

  • PDF

Photogrammetry를 위한 드론 임무비행 영향인자 고찰 (A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Drone Mission Flight for Photogrammetry)

  • 박동순;김태민;소인호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21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9-12
    • /
    • 2021
  • 드론 Photogrammetry는 높은 기술적 활용가치가 있는 기술로서, 결과물로 생성하는 3D 디지털 공간정보 모델이 시설물의 비육안 안전점검 및 진단에 활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디지털 트윈 구축을 위한 가장 기초적이고 핵심적인 수치 데이터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드론 Photogrammetry의 적정 품질을 구현하기 위한 임무비행의 다양한 영향인자에 대해 고찰하였다. K-water연구원 누수탐사실습장을 대상으로 드론 사진 촬영 시 비행고도, 비행속도, 중첩도, 카메라 Pitch각의 영향에 대해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비행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서 비행고도, 중첩도, 비행속도의 순으로 중요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드론 임무 비행 시 후처리 결과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중첩도로 나타났다. 중첩도 60% 임무비행은 3D 모델의 geometry 왜곡이 큰 편으로 나타났다. 비행 고도는 GSD (Ground Sampling Distance)와 직접 연계되므로 중요하며, 낮은 고도일수록 높은 품질의 모델링이 가능하다. April Tag를 통한 지상기준점 자동 패턴 인식 기능은 후처리 과정에서 시간 절약이 가능하여 유용하였다. 비행속도에 의한 결과물의 품질은 큰 차이가 없었으나, 수직 구조물의 모서리 부분에 다소 차이가 있었다. 짐벌 Pitch각도에 의한 정사영상 품질의 차이는 크지 않았으나 수직구조물과 평면적 구조물에 따라 각기 다른 촬영각도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연구성과는 향후 보다 다양한 환경에서의 데이터 수집을 통해 최적 디지털 현실 모델링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고도처리공법이 적용된 하수처리시설에서의 공법적용의 적정성 평가 (Validity evaluation of wastewater treatment system applying advanced treatment processes)

  • 안준수;박태술;조정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10호
    • /
    • pp.4055-4068
    • /
    • 2010
  • 본 연구는 고도처리공법을 적용하여 수년간 가동 중인 하수처리시설에 대한 운전현황을 측정 분석하여, 고도처리공법 적용의 적정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단위공정별 처리효율은, BOD의 경우 1차침전지 35, 생물반응조 87, 최종방류수 48 %, T-N의 경우 1차침전지 18, 생물반응조 40, 최종방류수 25 %, T-P의 경우 1차침전지 23,, 생물반응조 38, 최종방류수25 % 등으로, 각 단위공정별로 양호한 처리효율을 나타내었다. 생물반응조 내의 미생물 관측 결과, 다양한 종류의 세균과 원생동물 및 후생동물이 관측되었고, 담체의 세균 부착기능이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최종방류수질은 BOD 5.5, COD 9.9, SS 4.6, T-N 11.8, T-P 0.99 mg/L으로 방류수 수질기준보다 낮은 양호한 수질상태를 나타내었다.

지리적환경조건에 따른 수도 보통기 재배시기 추정에 관한 연구 (Geographic Factors and the Modeling of Rice Culture under Normal Season in Korea)

  • 임무상;정근식;조재연;박래경;배성호;함영수;이은웅;최현옥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18-127
    • /
    • 1984
  • 한국 수도작의 재배시기 추정식을 유도하기 위하여1962∼1980년의 지역적응시험성적을 이용하여 몇가지 분석을 한 결과틀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기상, 지리조건 및 재배시기 상호간에는 고도의 상관이 있었고 기상요인 중에서는 최저평균기온이 재배시기에 가장 크게 작용하나 기타요인들도 관여함을알 수 있었다. 지리적 요인 중에서는 위도, 고도 및 경도의 순으로 기상과 경종시기에 관여하였다. 2. 반종부터 적정출수까지의 전생육일수는 Japonica 품종군의 경우가 115일, I/J품종군은 111일 이었고 육묘기간은 각각 44일과 42일 이었다. 3. 위치결정요소인 위도, 경도 및 고도를 이용하여 파종기, 이앙기, 적정출수기 및 안전출수. 한계기 추정식을 유도한 결과 편회귀계수와 중상관계수가 모두 유의성을 보여 재배시기추정식은 합리적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4. 그러나 본 연구분석에 Topology 효과는 고려되지 않아서 특수지역에의 적용은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또한 특수생태형을 가진 품종이나 특이한 재배법에의 적용은 좀더 검토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WRF 기상자료의 밭 토양 물수지 모형 적용 및 효과 분석 (Evaluation for the application of WRF meteorological data on grid-based soil moisture model in upland)

  • 홍민기;이성학;최진용;이승재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5년도 학술발표회
    • /
    • pp.213-213
    • /
    • 2015
  • 밭에서의 점적 관개를 이용한 노지 재배의 경우 적정 관개 계획 수립을 위해서는 작물 및 토양의 수분 정보에 대한 정확한 파악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밭 토양을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를 통해 격자 형태로 분할하여 작물의 증발산량 및 토양의 수분함량을 모의할 수 있는 격자 기반 토양 물수지 모형을 개발하였다. 본 모형을 통해 작물의 소비수량 및 필요 수량을 파악함으로써 작부기간 중 필요한 관개수량을 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고도화 기상자료로는 국가농림기상센터에서 운영 중인 고해상도 WRF(Weather Research and Forecasting) 모형에서 생산된 격자 형태의 복사, 온도, 바람, 강수 자료를 사용하였고 고도화 기상자료의 격자 해상도 별로 모의되는 작물 및 토양의 수분 정보 간 비교 및 분석을 실시하였다. 토양 물수지 모형에 입력되는 격자형태의 자료로는 기상, 토성 및 토지이용 자료가 있으며 기상자료의 경우 가로 및 세로의 크기가 각 270, 810, 2430m로 동일한 3가지 경우로 나누어 적용했으며 토성 및 토지이용 자료의 경우 기상 격자의 최소 크기에 맞춰 가로 및 세로의 크기가 각 270m인 격자로 분할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한 모의 결과 각 격자별 작물 증발산량, 토양수분함량 및 관개수량의 일 연별 시계열 자료를 얻을 수 있으며 동시간대 격자별 수문인자 값을 산정하고 위치에 따른 공간적 상호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고도화 기상자료의 격자 크기에 따른 밭 토양 물수지 분석 결과를 통해 고도화 기상 격자의 규모별 밭 토양 물수지 분석 효용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더불어, 시험 지역(Test Bed) 선정을 통해 토양수분 및 증발산량을 실측하고 본 모형의 모의 결과와 비교함으로써 검정하는 것을 향후 연구 계획으로 한다.

  • PDF

산업용 대공간에 대한 공조계획 (Air-conditioning design for industrial large space)

  • 윤원석
    • 대한설비공학회지:설비저널
    • /
    • 제28권1호
    • /
    • pp.25-30
    • /
    • 1999
  • 최근 고도의 경제성장과 함께 유통구조의 선진화로 대형화, 하역 및 적재, 운반기계의 자동화를 도입하므로써 생산 또는 보관제품의 품질 보존, 작업 인원의 최소화 및 교통체중에 대한 적절한 대응으로 고품격의 물류 서비스를 할 수 있게 되었다. 특히, 생산 또는 보관제품의 품질 보존을 위해서는 물류 창고 내의 물류 특성에 따른 실내 공조환경 즉, 적정한 온 습도 및 기류를 유지하도록 공조설비를 계획하여야 하는데 층고가 높고 바닥면적이 넓은 대형 물류센터 즉, 산업용 대공간에 대한 공조설비는 층고 높이로 적재된 장애물을 극복하고 취출되는 기류가 실내 전체에 골고루 확산 및 순환 될 수 있도록 적정한 공조방식을 선정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계획에서는 주로 N-스포츠사의 이천 물류센터 공조방식의 설계 사례를 들어 산업용 대공간에 대한 공조계획 개선 방안을 소개 하고자 한다.

  • PDF

과학ㆍ기술ㆍ사회 - 21세기의 과학기술, 경제논리 경계해야

  • 김형주
    • 과학과기술
    • /
    • 제32권12호통권367호
    • /
    • pp.18-19
    • /
    • 1999
  • 21세기는 과학혁명이 일어날 것이라고 과학자들은 말하고 있다. 고도로 발달된 과학기술과 그 기술에 의해 빚어진 새로운 생활모습이 나타날 것이다. 그런데 과학기술은 양날의 칼과 같아서 적절히 사용하면 우리 삶을 윤택하게 해주지만 이기적인 욕망에 칼자루를 맡기면 오히려 인류 멸망의 불씨를 제공할 수도 있다. 과학기술이 인류를 위해 쓰여지도록 하기 위해선 그 기술의 경제적 이익과 사회적 비용을 적정하게 가름할 수 있는 윤리의식 확보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 PDF

분리막을 이용한 매립지 침출수 고도처리

  • 한인호;최광호
    • 한국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막학회 1992년도 추계 총회 및 학술발표회
    • /
    • pp.74-75
    • /
    • 1992
  • 침출수를 처리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으나 주로 생물학적 처리방법과 물리화학적 처리 방법으로 구분할수 있다. 특히 침출수는 매립물의 종류에 따라 침출수 수질이 상당히 차이가 나는데 도시쓰레기 매립에 의한 일반폐기물 침출수는 그 처리 및 관리가 용이하나 특정 폐기물 침출수는 염의 농도가 높고 중금속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1차 처리후에도 방류가 곤란하다. 이 경우는 특정 폐기물 매립지인 H매립장의 침출수에 대하여 Pilot Test를 통한 적정 Process 경제성을 검토한 것이다.

  • PDF

경포호 주변의 경관영향요인 분석과 고도기준설정 (An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the Landscape of Gyeong Po Lake and the Establishment of Criteria for Height Control)

  • 김태경;김충식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04-113
    • /
    • 2009
  • 강릉의 경포는 현존하는 12개의 누정(樓亭)이 있을 만큼 예로부터 빼어난 경치를 가진 곳이다. 2007년부터 자연공원법이 일부 개정되면서 경포의 경관을 유지하던 고도규제 정책에 변화가 발생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경포 경관의 특성을 파악하고 변화와 심리적인 영향을 검토함으로써 고도규제제도의 검토와 보완에 대한 자료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경포호 주변에 입지한 누정에서의 가시권을 분석하여 경관관리를 위한 전략적 조망점으로 경포대와 방해정이 선정되었다. 2개의 조망점은 경포호의 주요 조망대상을 대부분 조망할 수 있는 지점이다. 27쌍의 경관형용사를 이용한 선호도 분석결과 '죽도(竹島)'로의 조망이 이루어지는 경포대 조망점에서의 경관이미지가 다소 높게 나타났다. 이는 '죽도'와 주변의 경관관리가 중요함을 보여준다. 경관심리 요인화 결과 '매력성', '쾌적성', '정연성' 등 3개의 요인이 추출되었다. 3개 심리요인이 경관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한 결과 '매력성', '쾌적성', '정연성' 등의 순으로 영향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경포호가 파노라믹한 경관을 형성하고 있어 랜드마크를 도입하거나 개성있는 건물 경관관리가 필요함을 보여준다. 또한 자연경관과 조화를 이루는 스카이라인을 형성하여 '쾌적성'을 높이되, 일괄적 규제에 의한 관리보다 조망을 고려한 조화로운 건물군의 경관관리가 필요함을 보여준다. 건물높이에 대한 심리요인 분석결과, 조망점에 상관없이 건물의 높이가 30m 미만인 경우와 30m 이상인 경우로 선호도의 차이가 발생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경포호와 죽도, 방풍림 등으로 형성되는 자연경관의 훼손이 고도규제가 30m로 형성될 때 경관선호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본 연구는 경포호의 2개 전략적 조망점을 찾아내고 심리요인을 고려한 적정 고도를 찾아냄으로써 경관관리에 필요한 자료를 제시하였다. 그러나 고정된 시점과 일률적 층수변화 등의 변수는 보완되어야 할 것이다. 추후에는 건물 층수와 함께 용도, 건물 배치 등에 대한 다양한 개발 시나리오를 예측하여 정밀한 연구가 보완되어 효율적인 경포호의 경관관리 방안이 도출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