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the Landscape of Gyeong Po Lake and the Establishment of Criteria for Height Control

경포호 주변의 경관영향요인 분석과 고도기준설정

  • Kim, Tae-Kyung (Dept. of Environmental Landscape Architecture, Kangnung-Wonju National University) ;
  • Kim, Choong-Sik (Dept. of Environmental Landscape Architecture, Kangnung-Wonju National University)
  • 김태경 (강릉원주대학교 환경조경학과) ;
  • 김충식 (강릉원주대학교 환경조경학과)
  • Published : 2009.06.30

Abstract

Gyeong Po in Gangneung is highly recognized as a scenic area that is home to twelve traditional pavilions which are still in existence today. Since the modification of the Natural Park Act in 2007, there has been serious concern about the regulation of the heights of buildings surrounding Gyeong Po. In light of this, the present study aims to provide some guidelines for the regulation of building height in the modified Natural Park Act on the basis of investigations of landscape characteristics of Gyeong Po and the psychological influences of changing building heights. The analysis of the view from the pavilions located around Gyeong Po Lake indicated that the strategic landscape control points were Gyeong Po Dae and Bang Hae pavilions in terms of landscape management. These two landscape control points were considered as points from which people could view the greatest part of the landscape surrounding Gyeong Po Lake. The results of a preference analysis revealed that the views from Gyeong Po Dae to Juk Do were of relatively higher preference than the view from Bang Hae pavilion. This finding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landscape management in Juk Do and its surroundings. A factor analysis resulted in three factors including attractiveness, tranquility, and orderliness. A comparison of the magnitude of influence of these three factors showed that the order of influence to preference was: attractiveness>tranquility>orderliness. These results highlight the need to introduce landmarks or unique buildings into the areas because the panoramic views of Gyeong Po Lake are relatively flat as lake views go. There should also be a variety of skylines harmonizing with the natural landscapes and landscape management for building groups, rather than individual building control, to enhance tranquility. Analysis of the psychological effects of building height suggests that, regardless of view points, preference was split at a 30 meter building height. This was indicative that viewer preference would drop when building heights are controlled to allow heights over 30 meters. The present study was not able to take varying view points and story heights into account. A more detailed study considering building types, the arrangement of buildings and the number of building stories is needed for effective landscape management in the Gyeong Po Dae area.

강릉의 경포는 현존하는 12개의 누정(樓亭)이 있을 만큼 예로부터 빼어난 경치를 가진 곳이다. 2007년부터 자연공원법이 일부 개정되면서 경포의 경관을 유지하던 고도규제 정책에 변화가 발생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경포 경관의 특성을 파악하고 변화와 심리적인 영향을 검토함으로써 고도규제제도의 검토와 보완에 대한 자료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경포호 주변에 입지한 누정에서의 가시권을 분석하여 경관관리를 위한 전략적 조망점으로 경포대와 방해정이 선정되었다. 2개의 조망점은 경포호의 주요 조망대상을 대부분 조망할 수 있는 지점이다. 27쌍의 경관형용사를 이용한 선호도 분석결과 '죽도(竹島)'로의 조망이 이루어지는 경포대 조망점에서의 경관이미지가 다소 높게 나타났다. 이는 '죽도'와 주변의 경관관리가 중요함을 보여준다. 경관심리 요인화 결과 '매력성', '쾌적성', '정연성' 등 3개의 요인이 추출되었다. 3개 심리요인이 경관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한 결과 '매력성', '쾌적성', '정연성' 등의 순으로 영향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경포호가 파노라믹한 경관을 형성하고 있어 랜드마크를 도입하거나 개성있는 건물 경관관리가 필요함을 보여준다. 또한 자연경관과 조화를 이루는 스카이라인을 형성하여 '쾌적성'을 높이되, 일괄적 규제에 의한 관리보다 조망을 고려한 조화로운 건물군의 경관관리가 필요함을 보여준다. 건물높이에 대한 심리요인 분석결과, 조망점에 상관없이 건물의 높이가 30m 미만인 경우와 30m 이상인 경우로 선호도의 차이가 발생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경포호와 죽도, 방풍림 등으로 형성되는 자연경관의 훼손이 고도규제가 30m로 형성될 때 경관선호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본 연구는 경포호의 2개 전략적 조망점을 찾아내고 심리요인을 고려한 적정 고도를 찾아냄으로써 경관관리에 필요한 자료를 제시하였다. 그러나 고정된 시점과 일률적 층수변화 등의 변수는 보완되어야 할 것이다. 추후에는 건물 층수와 함께 용도, 건물 배치 등에 대한 다양한 개발 시나리오를 예측하여 정밀한 연구가 보완되어 효율적인 경포호의 경관관리 방안이 도출되어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구(2008) 사회과학 계량분석의 활용, 비앤앰북스
  2. 김세천, 노재현, 박재철, 허준(1996) 마이산 도립공원의 조망경관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24(2):74-85
  3. 김충식과 이인성(1999) 컴퓨터 애니메이션을 이용한 가로경관의 평가기법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26(4):1-13
  4. 김태경(2004) 경포호의 옛모습 추정. 한국조경학회지 32(4):83-93
  5. 목정훈(2005) 한국 도시의 조망경관 관리를 위한 미국 도시 조망경관관리기법 사례연구. 한국조경학회지 33(1):58-70
  6. 방재성 등(2008) 조망점의 선정과 경향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36(1):70-79
  7. 이정형(1998) 미국에서의 조망경관시책의 유형과 운용수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4(8):197-204
  8. 임승빈(2001) 도시 조망권 확보를 위한 경관관리 대책. 대한지방행정공제회. 도시문제
  9. 정순오와 한표환(1996) 도시경관보전을 위한 토지이용규제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개발학회지 8(3):17-34
  10. 정철모(1997) 도시경관조성을 위한 고도제한의 문제점과 도시경관보전제도의 개선방안. 한국지역개발학회지 9(2):71-83
  11. 조우현(2001) 문화재주변의 경관지구 설정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 최종현(2000) 안축의 승경관에 관한 연구. 한국정원학회지18(2): 49-62
  13. 허대영(1999) 전통사찰 주변 고층건물 고도규제 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생태조경학과 석사학위논문
  14. Feimer, N. R.(1979) Personality and Environment Perception: Alternative Predictive Systems and Implications for Evaluative Judgements. Ph. D. Dissert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