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적응적스트리밍

검색결과 201건 처리시간 0.024초

HTTP 적응적 스트리밍에서 UHD 콘텐츠의 효율적인 대역폭 활용을 위한 세그먼트 전송 기법 (Segment Scheduling Scheme for Efficient Bandwidth Utilization of UHD Contents Streaming in HTTP Adaptive Streaming)

  • 김희광;정광수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18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340-342
    • /
    • 2018
  • 최근 네트워크 기술과 스마트 단말의 보급으로 인해 비디오 스트리밍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게 되었다. 네트워크를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비디오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적응적으로 전송률을 조절하는 HTTP (HyperText Transfer Protocol) 적응적 스트리밍 서비스가 주목 받게 되었다. UHD (Ultra High Definition) 콘텐츠는 HD (High Definition) 콘텐츠에 비해 적어도 4 배 이상의 크기를 갖기 때문에 끊김 없는 UHD 콘텐츠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많은 가용 대역폭이 필요하다. 기존의 HTTP 적응적 스트리밍 방식은 정상 상태 (Steady State)에서 가용 대역폭보다 낮은 품질의 비디오 세그먼트를 일정 시간마다 주기적으로 요청하여 다운로드 받는다. 정상 상태에서는 가용 대역폭과 콘텐츠의 인코딩 율에 차이에 따라 On-Off 구간의 패턴이 반복되어 발생하고, 빈번한 Off 구간에 의해서 대역폭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HTTP 적응적 스트리밍에서 UHD 콘텐츠의 효율적인 대역폭 활용을 위한 세그먼트 전송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법은 Off 구간의 빈도수를 줄이기 위한 집단 세그먼트 전송 방식과 대역폭 낭비를 최소화 하기 위한 세그먼트 품질 조절기법으로 구성되어 있다.

  • PDF

높은 지연을 갖는 네트워크에서 HTTP 적응적 스트리밍을 위한 버퍼 기반의 비디오 품질 조절 기법 (A Buffer-based Video Quality Control Scheme for HTTP Adaptive Streaming in Long-Delay Networks)

  • 박지우;김동칠;정광수
    • 정보과학회 논문지
    • /
    • 제41권10호
    • /
    • pp.824-831
    • /
    • 2014
  • HTTP (Hypertext Transfer Protocol) 적응적 스트리밍은 네트워크 변화에 적응적으로 비디오 품질을 조절한다. HTTP 적응적 스트리밍은 TC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를 기반으로 비디오를 전송하기 때문에 높은 지연을 갖는 네트워크에서 가용대역폭을 부정확하게 측정하여 불필요하게 비디오 품질을 조절한다. 본 논문에서는 HTTP 적응적 스트리밍 서비스의 품질 향상과 부드러운 재생을 위해 버퍼 기반의 비디오 품질 조절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법은 지연을 고려한 스트리밍 모델을 통한 정확한 가용대역폭 측정, 불필요한 품질 조절을 방지하기 위한 비디오 품질의 유지 가능성 계산, 버퍼상태에 적응적으로 비디오를 요청할 시간을 결정함으로써 비디오 품질을 조절한다. 시뮬레이션을 통해 제안한 기법이 높은 지연을 갖는 네트워크에서 HTTP 적응적 스트리밍 서비스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부드럽게 비디오 품질을 조절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SVC/MVC의 효율적인 적응 HTTP 스트리밍을 위한 MPEG-2 TS 헤더의 확장 (MPEG-2 TS Header Extension for Efficient Adaptive HTTP Streaming of SVC/MVC)

  • 장의덕;김재곤;이진영;배성준;강정원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2010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11-113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SVC(Scalable Video Coding) 및 MVC(Multiview Video Coding) 등의 다계층 비디오의 효율적인 적응 HTTP 스트리밍을 위한 MPEG-2 TS(Transport Stream) 헤더의 확장을 제안한다. 먼저 TS로 다중화한 SVC/MVC를 HTTP를 통하여 스트리밍 할 경우 계층별 적응 스트리밍을 지원하기 위한 기존 TS의 한계점을 분석하고, TS 헤더의 확장을 통하여 TS 레벨에서 효율적인 적응을 제공하는 시그널링 기법을 제시한다. 본 논문의 제안 기법은 TS 헤더의 private_data를 추가적으로 정의하여 스케일러빌리티 및 뷰 정보를 기술함으로써 TS 단위로 스케일러블 계층 및 뷰 간 적응 스트리밍을 제공한다.

  • PDF

HTTP 적응적 스트리밍을 위한 TCP 인지형 세그먼트 스케줄링 기법 (TCP-aware Segment Scheduling Method for HTTP Adaptive Streaming)

  • 박지우;정광수
    • 정보과학회 논문지
    • /
    • 제43권7호
    • /
    • pp.827-833
    • /
    • 2016
  • HTTP 적응적 스트리밍은 네트워크 상태에 따라 비디오의 품질을 조절하여 사용자 체감 품질을 향상시키는 비디오 스트리밍 서비스이다. HTTP 적응적 스트리밍 서비스에서 비디오 콘텐츠는 여러 품질과 일정 길이를 가지는 비디오 세그먼트로 나누어지며, 클라이언트는 적절한 품질의 세그먼트를 요청한다. 그러나 기존의 세그먼트 스케줄러는 TCP에 대한 고려 없이 일정 간격으로 세그먼트를 요청하므로 TCP 연결이 초기화되어 Slow-start를 다시 수행해 비디오 전송률이 감소한다. 본 논문에서는 HTTP 적응적 스트리밍 서비스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TCP 인지형 세그먼트 스케줄링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법은 TCP 연결이 초기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비디오 세그먼트의 요청 시간을 조절하며, 세그먼트를 요청하는 시점을 고려하여 안정적인 비디오 스트리밍을 수행한다. 시뮬레이션을 통해 제안하는 기법이 끊김 현상 없이 HTTP 적응적 스트리밍 서비스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SNR을 이용한 대역폭 조절과 계층화 비디오 전송을 통한 효율적인 비디오 스트리밍 프록시의 설계 (A Composition of Video Proxy for Adaptive Streaming using SNR-based Rate Control and Scalable Video)

  • 박경모;이형수
    • 한국정보통신설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설비학회 2004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353-357
    • /
    • 2004
  • 무선 인터넷을 통한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급격한 증가와 이를 바탕으로 한 복합적인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기본적인 스트리밍 기숙을 넘어서 다양한 네트워크 환경에 적응적인 서비스가 가능한 지능적인 단말기 등으로 변화하고 있고 이러한 서비스를 위한 시스템의 구성 및 효율적인 모델, 그리고 차세대 복합적인 네트워크 망과의 연동을 위한 다양한 장비와 기술들이 연구되고 발전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무선 환경에서의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시스템의 QoS (Quality of Service)를 보장하기 위해 단말에 대한 신호 대 잡음비 (Signal to Noise Ratio SNR) 기반의 패킷 스케줄링과 이에 따른 계층화 비디오 기법을 적용하여 시스템을 구성하였다. 이를 위해 프록시가 네트워크 및 단말의 환경에 적응적인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프레임워크 모델을 제시하고, 빈번한 손실과 지연이 발생하는 무선 환경에 보다 적응적으로 극복할 수 있는 스트리밍 기법을 제안하여 적용함으로써 기존의 시스템에 비해 효율적인 멀티미디어 스트리밍이 가능하도록 설계하고 실험하였다.

  • PDF

버퍼 기반 에너지 통신모드 기회적 제어를 통한 동적 적응 비디오 스트리밍 (Dynamic Adaptive Streaming over HTTP with Buffer Based Opportunistic Control of Energy Communication Mode)

  • 김서향;오하영;김종권
    •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 /
    • 제21권7호
    • /
    • pp.458-463
    • /
    • 2015
  • 최근 스트리밍 이용자는 자신이 처한 채널 상황에 따라 적응적으로 가장 적당한 비디오율(video rate)을 선택적으로 요청하여 서비스 받는 ABR(Adaptive Bitrate) 기법을 주로 이용하고 있다. 결과, 대부분의 ABR 비디오율 적응 기법 관련 연구는 채널 상황에 따른 실시간 비트율 적응에만 초점을 맞춘 나머지 모바일 기기의 배터리 의존성에 따른 에너지 제한적 특성을 놓치고 있다. 이는 모바일 장치의 중요한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것으로, 이에 따른 많은 에너지 소모는 궁극적으로 스트리밍 서비스 불만족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ABR 적응 기법의 최신 연구인 버퍼 기반 비트율 적응 방법에 모바일 장치의 배터리 제한적 특성을 고려하여, 기존의 최신 연구와 동일한 성능을 내면서도 불필요하게 소모 되는 에너지를 절약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에너지 소비를 줄이기 위해 버퍼에 스트리밍이 충분히 있으면 에너지 전원을 끄고 (off), 버퍼에 스트리밍이 충분히 있지 않은 경우 에너지 효율적 Prefetching통해 동적 적응 비디오 스트리밍을 서비스한다. 성능평가 결과, 세계 평균 모바일 다운로드 속도에서 기존 기법에 비해 에너지 소비율이 60%절약됨을 보였다.

360 영상의 타일 기반 적응적 스트리밍을 위한 인트라 프레임 공유(IFS) 알고리즘 (Tile-based 360 Video Adaptive Streaming using IFS(Intra Frame Sharing) method)

  • 이시원;하호진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1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30-232
    • /
    • 2019
  • 최근 360 미디어 콘텐츠의 수요가 높아지면서 360 영상을 효율적으로 전송하기 위한 다양한 압축 및 전송 기법들이 연구되고 있다. 360 영상의 스트리밍 기법 중 하나인 타일 기반 적응적 스트리밍 기법은 360 비디오를 타일 그리드로 나누어 부호화 하고, 뷰포트(Viewport)에 해당하는 타일만 스트리밍 할 수 있도록 한다. 기존의 타일 기반 스트리밍 기법은 뷰포트가 전환될 때 서버에 새로운 인트라 프레임을 요구하고, 지연 시간을 줄이기 위해 빈번한 RAP(Random Access Point)가 요구된다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은 기존의 타일 기반 스트리밍 방법에서 인트라 프레임의 공유를 통해 비트율의 효율을 높이는 IFS(Intra Frame Sharing)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된 IFS 방법은 낮은 화질의 인트라 프레임을 높은 화질의 인트라 프레임 부호화 시 공유하여, 뷰포트 스위칭 시점에서 다른 화질 간의 뷰포트 전환 작업이 필요 없어 비트율의 증가를 최소화한다. 실험에서, IFS 방법은 기존의 MCTS 기반의 적응적 스트리밍 방식과 비교했을 때 BD-rate(%)가 약 13% 절감되었다.

  • PDF

DASH를 위한 무선 스마트 에이전트의 적응적 비디오 품질 조절 방법 (An adaptive control scheme of streaming video in smart agent AP for DASH)

  • 오규태;이유녕;이형근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2014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15-117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MPEG 표준인 DASH 서비스를 DASH 표준이 나오기 이전에 출시된 기존 단말들에게 무선 랜 환경에서 DASH를 위한 비디오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해 주기 위한 무선 스마트 에이전트의 적응적 비디오 품질 조절 방법을 제안한다. 기존 연구는 스마트 에이전트가 클라이언트의 네트워크 상황을 파악하기 위해 전송 계층의 정보를 이용하기 때문에 무선 랜 환경에서 페이딩이나 간섭 등과 같은 이유로 적합하지 않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방법은 802.11 MAC 부계층에서 얻을 수 있는 정보를 이용하여 급격히 변하는 각 클라이언트의 상황을 빠르게 파악하여 무선 채널의 상태를 적응적으로 비디오 스트리밍하여 전달하도록 한다. 제안하는 방법의 실험을 통하여 DASH 표준 서비스를 제공 받는 클라이언트처럼 네트워크 상황에 적응적으로 비디오 스트리밍 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클라이언트의 이동성과 무선 채널의 에러를 추가함으로써 급격히 변하는 네트워크의 상황에도 적응적으로 클라이언트에게 비디오 스트리밍을 제공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HTTP 적응적 스트리밍에서 끊김 없는 대화형 멀티미디어 스트리밍을 위한 전송 기법 (A Seamless Adaptive Streaming Scheme for Interactive Multimedia Service in HTTP Adaptive Streaming)

  • 김희광;정광수
    • 정보과학회 논문지
    • /
    • 제44권5호
    • /
    • pp.545-552
    • /
    • 2017
  • 최근 네트워크 기술과 모바일 기기의 발달로 인해 네트워크를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비디오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HTTP 적응적 스트리밍 서비스가 주목 받게 되었다. 사용자 중심 방송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대화형 멀티미디어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대화형 멀티미디어 서비스는 사용자가 선택하는 시나리오에 따라 영상을 재생하는 방식이다. 기존의 HTTP 적응적 스트리밍 방식으로 대화형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면 사용자가 시나리오를 선택하는 시점에 따라 시나리오 변환에 의한 지연 및 버퍼 언더플로우를 유발하여 사용자 체감 품질을 저하시킨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끊김 없는 대화형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HTTP 적응적 스트리밍 기반의 대화형 멀티미디어 전송 기술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법은 대화형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비스를 위한 시스템 구조와 프리패칭 기법이다.

콘텐트 중심 네트워크에서의 적응적 비디오 스트리밍

  • 최낙중;황재현
    • 정보와 통신
    • /
    • 제30권3호
    • /
    • pp.73-79
    • /
    • 2013
  • 최근 인터넷 트래픽 폭증 문제가 대두되면서 네트워크 자원의 효율적인 활용을 통한 데이터 전달이 중요한 이슈로 부각되고 있다. 이런 관점에서, 대표적인 핵심 미래인터넷 구조인 콘텐트 중심 네트워크에서의 핵심 응용인 적응적 비디오 스트리밍 기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본 고에서는 현재 인터넷에서 사용되고 있는 적응적 비디오 스트리밍 기법이 콘텐트 중심 네트워크 환경에서 동작할 경우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점들을 실험을 통해 살펴보고, 향후 연구 주제를 논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