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적응알고리듬

Search Result 405,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Convergence Speed Improvement of Subband Block Adaptive Filter (부밴드 블록 적응 필터의 수렴 속도 향상)

  • 박봉수;이대영;강석종;류근택;배현덕
    • Proceedings of the IEEK Conference
    • /
    • 2000.09a
    • /
    • pp.69-72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부밴드에서의 수렴 성능 향상을 위하여 새로운 블록 LMS 알고리듬과 부밴드 각 적응필터에 가변 적응이득을 사용하는 가변 적응이득 블록 LMS 알고리듬을 제안한다. 이들 알고리듬들을 유도하기 위해 새로운 비용함수를 제안하며, 유도된 비용함수는 적응 필터 계수에 대해 2차 형식인 특징을 가진다. 제안한 알고리듬의 수렴 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부밴드 LMS 알고리듬과 가변 적응이득 알고리듬을 컴퓨터 모의 실험을 통해 비교함으로서 성능의 우수성을 입증하였다.

  • PDF

Adaptive Equalizer Generating Input Data to Compensate Nonlinear Channel Distortion (비선형 채널 왜곡 보상을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키는 적응등화기)

  • 박동진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1998.11a
    • /
    • pp.398-402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유ㆍ무선 통신 채널을 통한 데이터 전송시 발생하는 비선형 왜곡을 적응 필터를 이용하여 보상하였다. 특히 통신채널에서는 심볼간 간섭(ISI)이 발생하는데 이러한 간섭을 비선형 필터를 이용하여 제거하였다. 비선형 채널을 모델링하는 방법에는 볼테라급수를 이용하는 방법과 쌍선형 방법이 있다. 쌍선형 방법은 볼테라 방법에 비하여 계산량이 적은 장점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쌍선형 필터에 적응 알고리듬을 적용하여 신호의 왜곡을 보상하였다. 적응 알고리듬에는 LMS 계열과 LS 계열 알고리듬이 있으나 통신 채널에서는 알고리듬의 안정도가 중요하므로 LMS 계열 알고리듬을 적용하였다. 또한 적응 알고리듬은 입력 데이터의 상관성과 데이터 수에 의존하여 수렴속도와 안정도가 결정된다. 알고리듬의 수렴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입력신호를 신호파형으로부터 다량의 데이터를 검출하는 방법을 적용하였다. 이러한 방법을 입증하기 위하여 입력신호는 2진 랜덤 가우시안 데이터를 이용하였고, 통신채널에서 채널간 간섭을 발생시켰으며 화이트 가우시안 잡음을 부가 시켰다. 이러한 신호를 수신한 수신기에 적응 등화기를 설계하여 대량의 데이터를 생성시키고, 적응 알고리듬을 적용하여 채널의 왜곡을 빠른 속도로 보상하였다.

  • PDF

A Noble Decoding Algorithm Using MLLR Adaptation for Speaker Verification (MLLR 화자적응 기법을 이용한 새로운 화자확인 디코딩 알고리듬)

  • 김강열;김지운;정재호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21 no.2
    • /
    • pp.190-198
    • /
    • 2002
  • In general, we have used the Viterbi algorithm of Speech recognition for decoding. But a decoder in speaker verification has to recognize same word of every speaker differently. In this paper, we propose a noble decoding algorithm that could replace the typical Viterbi algorithm for the speaker verification system. We utilize for the proposed algorithm the speaker adaptation algorithms that transform feature vectors into the region of the client' characteristics in the speech recognition. There are many adaptation algorithms, but we take MLLR (Maximum Likelihood Linear Regression) and MAP (Maximum A-Posterior) adaptation algorithms for proposed algorithm. We could achieve improvement of performance about 30% of EER (Equal Error Rate) using proposed algorithm instead of the typical Viterbi algorithm.

A Study on the Applicability of Adaptive Bang-Bang Control Algorithm for the Vibration Control of Multi-DOF Structure under Unexpected Large Earthquakes (과도한 기진력을 받는 다자유도계 구조물의 진동 제어를 위한 적응형 뱅뱅 제어 알고리듬의 유용성에 관한 연구)

  • 임채욱;정태영;문석준
    • Journal of the Earthquake Engineering Society of Korea
    • /
    • v.5 no.1
    • /
    • pp.53-61
    • /
    • 2001
  • 구조물이 과동한 기진력을 받을 때에 구조물의 진동 제어를 위하여 적응형 뱅뱅 제어 알고리듬이 저자들에 의해서 제안된 바 있으며, 이 제어 알고리듬을 1자유도계의 시험 구조물에 적용하여 제어 성능을 실험적으로 확인하였다. 본 논문은 이의 연장으로서 제안된 적응형 뱅뱅 제어 알고리듬을 최상층에 유압식 농동질량 감쇠기가 설치된 다자유도계의 시험 구조물에 적용하여 이의 유용성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하여 제안된 적응형 뱅뱅 제어 알고리듬은 제어 및 전체 구조계의 안전성이 보장되는 가운데 과도항 외부의 기진력을 받는 다자유도계의 구조물의 진동을 제어함에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Frequency-domain Partially Adaptive Array Algorithm Using CFAR Detection Technique with adaptive false alarm rate (적응 오경보율을 가지는 CFAR 검파기법을 이용한 변환 영역 부분적응 어레이 알고리듬)

  • 문성훈;한동석;조명제
    • Proceedings of the IEEK Conference
    • /
    • 2000.09a
    • /
    • pp.549-552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주파수 영역 배열안테나의 계산량을 감소시키기 위한 센서링 부분적응 알고리듬을 제안한다. 제안한 알고리듬은 입력신호를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한 후 CFAR(constant false alarm rate) 검파기법을 이용하여 간섭신호가 존재하는 주파수 대역을 찾아내고 이에 해당하는 가중치에 대해서만 적응 신호처리를 수행한다. 이때 CFAR 검파기의 오경보율은 출력신호의 전력 변화량을 이용하여 환경에 맞게 적응적으로 변화시켜서 최적 값으로 설정한다.

  • PDF

Frequency Domain Partially Adaptive Array Algorithm Combined with CFAR Technique (CFAR 검파기법을 이용한 주파수 영역 부분적응 어레이 알고리듬)

  • Mun, Seong-Hun;Han, Dong-Seok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SP
    • /
    • v.38 no.2
    • /
    • pp.227-236
    • /
    • 2001
  • This paper proposes a frequency-domain partially adaptive algorithm, called a censoring algorithm, to reduce the computational complexity of the frequency domain adaptive array. The proposed censoring algorithm determines the existence of interferences in the frequency-domain at each frequency bin using a constant false alarm rate (CFAR) processor. The censoring algorithm adapts only those parts of the weights that correspond to the frequency bins expected to contain interferences. The censoring algorithm is also expanded to overcome the signal cancellation phenomenon caused by smart jammers. Accordingly, a censoring spatial smoothing, which combines the censoring algorithm with spatial smoothing, is proposed.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algorithms are effective in removing interferences with only part of the computational complexity of conventional algorithms yet with the same level of performance.

  • PDF

An Acoustic Noise Cancellation Using Subband Block Conjugate Gradient Algorithm (부밴드 블록 공액 경사 알고리듬을 이용한 음향잡음 제거)

  • 김대성;배현덕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20 no.3
    • /
    • pp.8-14
    • /
    • 2001
  • In this paper, we present a new cost function for subband block adaptive algorithm and block conjugate gradient algorithm for noise cancellation of acoustic signal. For the cost function, we process the subband signals with data blocks for each subbands and recombine it a whole data block. After these process, the cost function has a quadratic form in adaptive filter coefficients, it guarantees the convergence of the suggested block conjugate gradient algorithm. And the block conjugate gradient algorithm which minimizes the suggested cost function has better performance than the case of full-band block conjugate gradient algorithm, the computer simulation results of noise cancellation show the efficiency of the suggested algorithm.

  • PDF

Acoustic Echo Cancellation using Wavelet Transform (웨이블렛 변환을 이용한 음향 반향 제거)

  • 백웅용;변을출;윤진남;백홍기
    • Proceedings of the IEEK Conference
    • /
    • 2001.09a
    • /
    • pp.927-930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웨이블렛 변환 알고리듬을 이용 한 음향반향 제거 기법을 제안하였다. 일반적으로 LMS 알고리듬은 간단하지만 그 수렴특성이 고유치 분포율과 탭 수에 의해 결정되는 단점이 있고 MDF (multidelay filter)를 이용한 적응 알고리듬은 블록단위로 수행되는 LMS를 수렴속도 측면에서 보완해주지만 긴 차수일때는 FFT에 비례하여 연산량이 늘어나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은 웨이블렛의 직교성을 이용한 변환 적응 알고리듬을 음향반향 제거기에 도입하여 그 성능을 비교·평가하였다. 모의실험을 통해 시간영역 LMS, MDF 알고리듬과 비교하여 제안한 알고리듬의 수렴성능이 우수함을 보였다.

  • PDF

Improvements in Speaker Adaptation Using Weighted Training (가중 훈련을 이용한 화자 적응 시스템의 향상)

  • 장규철;우수영;진민호;박용규;유창동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22 no.3
    • /
    • pp.188-193
    • /
    • 2003
  • Regardless of the distribution of the adaptation data in the testing environment, model-based adaptation methods that have so far been reported in various literature incorporates the adaptation data undiscriminatingly in reducing the mismatch between the training and testing environments. When the amount of data is small and the parameter tying is extensive, adaptation based on outlier data can be detrimental to the performance of the recognizer. The distribution of the adaptation data plays a critical role on the adaptation performance. In order to maximally improve the recognition rate in the testing environment using only a small number of adaptation data, supervised weighted training is applied to the structural maximum a posterior (SMAP) algorithm. We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weighted SMAP (WSMAP) and SMAP on TIDIGITS corpus. The proposed WSMAP has been found to perform better for a small amount of data. The general idea of incorporating the distribution of the adaptation data is applicable to other adaptation algorithms.

Adaptive search range adjustment with one bit transform (적응적 탐색 범위 조정을 고려한 1비트 변환 알고리듬)

  • Kim, Ilseung;Yoo, Ho-Sun;Jeong, Je-Cha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1.11a
    • /
    • pp.222-224
    • /
    • 2011
  • 본 논문은 1 비트 변환(1-bit transform: 1BT) 알고리듬에 적응적 탐색 지점 조정을 추가적으로 적용한 알고리듬이다. 1BT는 정합 오차 기준을 Sum of Absolute(SAD)를 대신 하여 Number of Non-matching Point(NNMP)를 사용하여 속도를 향상시키고, 하드웨어 구현을 용이하게 했다. 하지만 정합 오차 기준만 바뀌었을 뿐, 전역 탐색(FS: Full Search)알고리듬을 사용한다. 본 논문에서는 1BT방법에 적응적 탐색 지점 조정을 적용함으로써 추가적으로 속도 향상하는 알고리듬을 제안하였다. 실험 결과에서는 기존의 1BT와 제안하는 알고리듬을 비교하여 PSNR과 시간 측면에서의 뛰어난 성능을 보여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