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적응수행

Search Result 2,268,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Performance Improvement of Parallel Processing System through Runtime Adaptation (실행시간 적응에 의한 병렬처리시스템의 성능개선)

  • Park, Dae-Yeon;Han, Jae-Seon
    • Journal of KIISE:Computer Systems and Theory
    • /
    • v.26 no.7
    • /
    • pp.752-765
    • /
    • 1999
  • 대부분 병렬처리 시스템에서 성능 파라미터는 복잡하고 프로그램의 수행 시 예견할 수 없게 변하기 때문에 컴파일러가 프로그램 수행에 대한 최적의 성능 파라미터들을 컴파일 시에 결정하기가 힘들다. 본 논문은 병렬 처리 시스템의 프로그램 수행 시, 변화하는 시스템 성능 상태에 따라 전체 성능이 최적화로 적응하는 적응 수행 방식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 적응 수행 방식 중에 적응 프로그램 수행을 위한 이론적인 방법론 및 구현 방법에 대해 제안하고 적응 제어 수행을 위해 프로그램의 데이타 공유 단위에 대한 적응방식(적응 입도 방식)을 사용한다. 적응 프로그램 수행 방식은 프로그램 수행 시 하드웨어와 컴파일러의 도움으로 프로그램 자신이 최적의 성능을 얻을 수 있도록 적응하는 방식이다. 적응 제어 수행을 위해 수행 시에 병렬 분산 공유 메모리 시스템에서 프로세서 간 공유될 수 있은 데이타의 공유 상태에 따라 공유 데이타의 크기를 변화시키는 적응 입도 방식을 적용했다. 적응 입도 방식은 기존의 공유 메모리 시스템의 공유 데이타 단위의 통신 방식에 대단위 데이타의 전송 방식을 사용자의 입장에 투명하게 통합한 방식이다. 시뮬레이션 결과에 의하면 적응 입도 방식에 의해서 하드웨어 분산 공유 메모리 시스템보다 43%까지 성능이 개선되었다. Abstract On parallel machines, in which performance parameters change dynamically in complex and unpredictable ways, it is difficult for compilers to predict the optimal values of the parameters at compile time. Furthermore, these optimal values may change as the program executes. This paper addresses this problem by proposing adaptive execution that makes the program or control execution adapt in response to changes in machine conditions. Adaptive program execution makes it possible for programs to adapt themselves through the collaboration of the hardware and the compiler. For adaptive control execution, we applied the adaptive scheme to the granularity of sharing adaptive granularity. Adaptive granularity is a communication scheme that effectively and transparently integrates bulk transfer into the shared memory paradigm, with a varying granularity depending on the sharing behavior.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adaptive granularity improves performance up to 43% over the hardware implementation of distributed shared memory systems.

Verification of Self-Adaptation Strategy for Unmanned Weapon Systems (자가 적응 무인 시스템의 임무수행 전략 검증)

  • Kim Sang-Soo;Chae Joung-Wook;In Hoh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11b
    • /
    • pp.349-351
    • /
    • 2005
  • 자가 적응 시스템을 무인 시스템(UWS: Unmanned Weapon Systems)에 적용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자가 적응 시스템은 임무중인 시스템이 다양한 주변 환경 및 시스템의 변화에 따라 능동적으로 시스템 또는 임무수행을 위한 전략을 주정해 항상 최상의 성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능력을 갖춘 시스템을 말한다. 자가 적응 시스템에서 능동적으로 변화시킨 시스템의 아키텍처나 임무수행 전략이 유효한 것인지에 관한 검증을 수행한 후 시스템에 적용해야 한다. 기존의 대부분의 자가 적응 시스템에 대한 연구결과에서는 능동적으로 변화된 시스템이 임무수행에 적합한지에 대한 검증 방법을 제시해 주고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UWS의 자가 적응 시스템이 임무수행 중 변화 되었을 때 미래의 발생할 사건에 대해 적절하게 적용 가능한지를 검증하기 위하여 시간적인 사건의 완전성을 검증하기에 적합한 Computation Tree Logic(CTL) 모델체킹(Model Checking)을 적용하여 자가 적응 시스템의 적응결과를 검증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 PDF

Effects of Person-environment Fit on the Job Performance of Public Officials (공무원의 환경 적합성이 직무수행에 미치는 영향)

  • Kim, Hyunjae;Kim, Sung-Jo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0 no.8
    • /
    • pp.559-571
    • /
    • 202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effects of person-environment fit on the job performance in the National Assembly legislative support organization. Job performance was classified into task performance, contextual performance, and adaptive performance. Impacts of each factors on the job performance were identified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 From the results of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supplementary fit of officials of legislative support organization of the National Assembly had a positive effect on task performance, contextual performance, and adaptive performance. However, complementary-fit does not directly affect task performance, contextual performance, and adaptive performance. Rather complementary-fit affects job performance by the mediating role of variable self-efficacy.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confirm that it is important to match between organization members and jobs in order to improve the job performance of civil servants in the legislative support organization. The necessity of introducing self-efficacy enhancement program into the education and training process of the legislative support organization was propos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Learning Agility, Employee Engagement, Career Satisfaction, and Adaptive Performance of Employees Corporate Organizations (조직구성원의 학습민첩성, 직원몰입, 경력만족, 적응수행의 구조적 관계)

  • Hyeji Jeon;Woocheol Kim
    • Journal of Practical Engineering Education
    • /
    • v.16 no.1_spc
    • /
    • pp.79-97
    • /
    • 2024
  • This study confirmed the mediating effects of employee commitment and career satisfa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agility and adaptive performance.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online targeting employees of domestic companies and used for the final analysis of 329 pieces of data. Structural equations were us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between variables. According the results of it was confirmed that learning agility had a statistically positive effect on employee commitment and adaptation performance, employee commitment had a positive effect on career satisfaction, and career satisfac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adaptation performance. Additionally, employee commitment and career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agility and adaptive performance. Based on these results, the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for HRD are presented.

Speaker Adaptation Algorithm Based on a Maximization of the Observation Probability (관찰 확률 최대화에 의한 화자 적응 알고리즘)

  • 양태영;신원호;전원석;김지성;김지성;김원구;이충용;윤대희;차일환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17 no.6
    • /
    • pp.37-42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SCHMM에 적용된 관찰 확률 최대화에 의한 화자 적응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SCHMM의 관찰 확률 밀도들이 새로운 화자의 음성 특징을 잘 표현하지 못하는 경우 인식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적응 데이터의 각 특징 벡터들이 최대의 관찰 확률을 가질 수 있도록 관찰 확률 밀도를 결정하는 평균 벡터 μ와 분산 행렬 Σ를 기울기 탐색(gradient search) 알고리즘에 의해 반복적으로 적응시켜 주는 방법이다. SCHMM의 상태 천이 확률 A와 혼합 밀도 계수 C는 관찰 확률 밀도 적응 과정 을 거친 후, 적응 데이터로부터 구한 확률과 기존 확률의 가중 평균을 취하는 과정을 반복 하여 적응시켜 주었다. 제안된 화자 적응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단독음 인식 실험을 수행한 결과, 화자 적응을 수행하지 않았을 때와 비교하여 화자 독립 시스템에서는 평균 9.8%, 남 성 화자 종속 시스템에서는 평균 46.0%, 여성 화자 종속 시스템에서는 평균 52.7%의 인식 률 향상을 보였다.

  • PDF

The Multisignal Improvement of Adaptive Receiver using Adaptive Back-Propagation Algorithm (적응 역전파 알고리즘을 이용한 적응 수신기의 다중 신호 개선)

  • Kim, Chul-Young;Jang, Hyuk;Suk, Kyung-Hyu;Na, Sand-D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0.05a
    • /
    • pp.188-194
    • /
    • 2000
  • 이동 통신에서 제한된 대역폭 채널에 내부 심볼 간섭을 감소시키기 위해, 등화기 기법을 필요로한다. 채널간의 비선형 왜곡을 효율적으로 다루는 대안을 가진 신경망을 사용하여 새로운 활성 함수로 구성된 적응 역전파 알고리즘을 연구한다. 신경망은 적응 역전파 알고리즘을 통해 신호를 복조하도록 학습한다. 특히 수정된 적응 역전파 알고리즘이 근접된 최적 수행성을 갖는 단일 및 다중 사용자 검출을 위한 샘플링 기법은 다중 사용자 환경에서 필요한 수신기들의 수행성을 평가하기 위한 시뮬레이션을 위하여 사용이 된다. 채널간의 비선형 왜곡에 효율적으로 다루기 위한 대안을 가진 신경망을 적용하여 본 논문에서 는 새로운 활성 함수로 구성된 적응 역전파 알고리즘을 제안하고, 컴퓨터 시뮬레이션에 의해서 분석된다. 반복적 최소 평균 자승(RLS) 알고리즘을 적용한 기존 수신기 및 적응 역전파 신경망과 비교하여, 채널 왜곡이 비선형 일 때에 비트 에러율(BER)이 현저하게 개선됨을 나타낸다. 적응 역전파 알고리즘 기법을 통해 기존 수신기와 신경망을 사용한 수신기의 수행을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비교 분석하여 제안된 신경망 수신기의 성능이 우수함을 인증한다.

  • PDF

Simulation and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 Self-Adaptive Light Control System (자가-적응 조명 제어 소프트웨어의 시뮬레이션 및 성능 평가)

  • Lee, Junhyi;Lee, Euijong;Baik, Doo-Kwon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 /
    • v.25 no.2
    • /
    • pp.63-74
    • /
    • 2016
  • This research aims to perform the simulation of self-adaptive lighting control software, and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implemented system. In this text, Self-adaptive software means what detects unexpected changes in surrounding environment by self-monitoring during its run-time, and satisfies demanded condition by adjusting its operation. This is a research about the lighting control system which is operating with the fundamental of self-adaptation concept in IoT(Internet of Things) environment. The system, which is proposed in this text, operates adaptation onto the request of a defined user as recognizing the changes of surrounding environment. This text introduces a relating simulation scenario, system architecture, architecture valuation basis,, and executed evaluation of performance by processing simulations.

Realization of visual Media Adaptation System for Active Media (능동적 미디어를 통한 시각 미디어 적응 변환 시스템 구현)

  • ;;Truong Cong Thang
    • Proceedings of the IEEK Conference
    • /
    • 2003.07d
    • /
    • pp.1423-1426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가 언제 어디서든지 컨텐츠에 접근하고 소비 할 수 있는 포괄적인 솔루션을 갖는 시각 미디어의 능동적인 적응 변환 시스템 구현 방안에 대해서 제안한다. 능동적 미디어는 PDA, PC, Mobile phone, HDTV둥과 같은 다양한 기기들과 사용자 특성을 포함하는 다양한 환경에 따라 미디어가 능동적으로 적응변환 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본 논문에서는 제안된 능동적 미디어 적응변환 시스템을 평가하기 위해 미디어 양식 변환(Modality Conversion), 시각 정보 적응변환, 그리고 세션정보를 이용한 적응변환과 같은 주요한 특징을 갖는 실험을 수행했다. 실험결과를 통해 이러한 주요한 특징들이 제안된 적응변환 시스템 프레임워크 내에서 잘 수행되는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제안된 시스템은 다른 여러 적응변환 서비스를 위해서도 활용될 수 있다.

  • PDF

An Optimal Design of Neuro-Fuzzy Logic Controller Using Lamarckian Co-adaptation (라마키안 상호 적응에 의한 뉴로-퍼지 제어기의 최적 설계)

  • 이한별;김대진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1998.10a
    • /
    • pp.384-389
    • /
    • 1998
  • 본 논문은 특정 응용에 적합한 퍼지 제어기의 최적 설계 파라메터(퍼지 규칙과 소속 함수)를 찾는데 역전파 학습 과정과 유전 알고리즘을 결합한 Lamarckian 상호적응 기법을 이용한 뉴로-퍼지 제어기의 새로운 설계 방법을 제안한다. 설계 파라메타들은 진화에 의한 전역적 탐색을 통해 높은 포함값과 유용한 퍼지 규칙들을 갖는 규칙 베이스와 작은 근사화 오차와 좋은 제어 성능을 갖는 소속 함수들을 얻도록 제어기간 파라메타 조절을 수행하며, 학습에 의한 국부적 탐색을 통해 각 퍼지 제어기가 원하는 제어 결과를 나타내도록 제어기내 파라메타 조절을 수행한다. 제안한 상호적응 설계 방법은 유전 알고리즘의 모든 세대에서 역전파 학습이 이루어지므로 보다 좋은 근사화 능력을 나타나고, 사용한 무게 중심 비퍼지화기가 정확한 비퍼지화값을 계산하므로 보다 좋은 제어 성능을 가지며, 퍼지 규칙 베이스와 소속 함수들의 최적화 탐색 과정이 입출력 공간의 같은 퍼지 분할 상에서 통합된 적응 함수에 의하여 동시에 수행되므로 탐색을 위한 작업 공간이 아주 작아지는 장점이 있다. 시뮬레이션 결과는 Lamarckian 상호 적응에 의해 얻어진 FLC가 퍼지 규\ulcorner 수, 근사화 능력, 제어 성능등 모든면에서 다른 방법에 의해 얻어진 FLC보다 가장 우수함을 보여준다.

  • PDF

Prediction of Efficient Adaptive Perceptual Filter Iterate Coefficient through Analysis of Noisy Signal (잡음에 열화된 오디오 신호의 분석을 통한 효율적인 적응지각필터 반복 수행 계수의 예측)

  • Ryu, Il-Hyun;Cha, Hyung-Tai;Koo, Kyo-Sik;Seo, Bo-Koo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Convergence Signal Processing
    • /
    • 2005.11a
    • /
    • pp.238-241
    • /
    • 2005
  • 디지털 미디어 기술의 발전은 코딩 분야를 비롯하여 다양하게 발전하고 있다. 특히 오디오 신호 처리 분야에서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의 생성, 압축, 복원의 단계가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고 있다. 오디오 신호 처리에서 인간의 청각 기관을 모델링한 심리음향 기법은 이용하여 압축뿐만 아니라 잡음 신호의 개선에서도 효과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심리음향모델을 기반으로 하여 구성된 적응지각필터는 지각필터를 이용하여 적응적으로 잡음에 열화된 신호를 개선한다. 이때, 적응지각필터 반복 수행 계수의 효과적인 결절은 오디오 신호의 청각적 손실을 줄이는 동시에 정확한 잡음 제거를 수행한다. 성능을 확인하기 위해서 SNR 및 NMR 비교를 수행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