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적수

Search Result 144,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Analysis of occurrence of red water or turbid water in real water distribution system (실제 상수관망의 적수/탁수발생 위험인자 도출 및 위험관 분석)

  • Han, Jin Woo;Kim, Hyeong Gi;Kwon, Hyuk J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391-391
    • /
    • 2022
  • 상수도관은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노후화가 진행되고 탁수 및 적수문제를 일으킬 가능성이 높아진다. 현재 우리나라는 전체 상수도관 중 경과년수를 초과한 노후 상수도관이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개선이 시급한 실정이다. 하지만 전체 상수도관을 교체하는 것은 막대한 예산이 필요하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어려운 문제이므로 상수도관의 적수 및 탁수 위험도 분석을 통하여 상수도관의 교체 또는 개량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개선사업을 실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적수 및 탁수발생을 일으키는 인자들을 도출하였다. 먼저, 박리위험도와 퇴적위험도로 분류하여 적수와 탁수의 발생 위험도를 분석하였다. 퇴적위험도의 인자에는 평균유속지수, 정체지수, 관경지수, 경과년지수, 그리고 관길이지수를 적용하였고 박리위험도의 인자에는 유속차이지수, 유향변화지수, 영향범위지수, 관길이지수, 그리고 수충격지수를 적용하여 위험도분석을 수행하였다. 적용 지역은 인구 85만명의 중도시이며 4개동에 걸쳐서 위험도분석을 진행하였고 퇴적위험도가 높은 관과 박리위험도가 높은 관을 선정할 수 있었다. 또한 결과분석을 통해 박리위험도와 퇴적위험도 모두 높은 관을 선정할 수 있었다. 박리위험도와 퇴적위험도의 인자들 중에서 유속 관련지수의 경우 박리위험도에서는 유속이 빠를수록 위험도가 높고 퇴적위험도에서는 느릴수록 위험도가 높기 때문에 박리와 퇴적위험도가 모두 높다는 것은 수질문제를 일으킬 가능성이 매우 높은 관으로 판단할 수 있다. 같은 지역(동)에서 박리위험도와 퇴적위험도를 분석한 결과, 최근 개발된 경관년수가 오래되지 않은 지역의 경우는 박리위험도와 퇴적위험도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이가 3배 정도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경과년수가 오래된 지역의 경우는 박리위험도의 경우, 가장 높은 관의 박리위험도가 가장 낮은 위험도와 7배 이상이 차이가 났고 퇴적위험도의 경우 약 10배 이상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경과년수에 의한 차이뿐만 아니라 인구감소나 인구고령화로 인해 낮 시간 수도사용량이 매주 적어서 발생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본 연구결과를 적용하여 상수도의 적수 및 탁수 발생 위험도가 높은 관로를 선정하고 이에 대한 집중적인 관리감독을 진행한다면 상수도 수질문제로 인한 민원을 대폭 줄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참전복, Haliotis discus hannai Ino 종묘의 온도와 광조건에 따른 대사율의 변화

  • Lee, Jung-A;Jin, Pyung;Kim, Kyung-S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1.10a
    • /
    • pp.325-326
    • /
    • 2001
  • 참전복은 그동안의 연구에서 그 적수온이 2$0^{\circ}C$에서 23$^{\circ}C$ 사이로 알려져왔다. 그러나, 이 종이 무척추 연체동물로서 개체의 순화 수온과 서식 환경에 따라서 그 적수온이 다소 차이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실제 전 실험의 결과 참전복 치패가 온도에 대한 높은 내성을 가지는 것으로 미루어 보아, 알려진 적수온보다 다소 높은 온도에서도 성장이 원활할 것으로 기대된다. (중략)

  • PDF

Neural Network Applications to Determining Suitable Tree Species for Site-Specific Conditions (적지적수(適地適樹) 판정(判定)을 위한 Neural Network 기법(技法)의 응용(應用))

  • Kim, Hyungho;Chung, Joosa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90 no.4
    • /
    • pp.437-444
    • /
    • 2001
  • This paper discusses applications of neural network to forest stand field data processing and determining suitable tree species for site-specific stand characteristics. For site-specific species selection, considered were 5 major coniferous species : P. densiflora for. erecta, L. leptolepis, P. koraiensis, P. densiflora, P. thunbergii. Among 1,320 sample plot data sets, 200 data sets with the highest site index (40 data sets for each species) were chosen as the test sets for investigation. Each data set includes 13 factors describing the site characteristics of the corresponding sample plot. The results of this investigation indicate high performance of neural network in data processing procedures for extracting data sets or measurement parameters without any recognizable pattern. These data sets or measurement parameters are those which have rare effect on site-specific species suitability or disturb pattern classification procedures of neural network because of unrecognizable patterns involved. Also the results have shown high potential of neural network in determining the best-suitable tree species for site characteristics. The % accuracy of the neural network model in determining the best-suitable tree species for site characteristics ranges from 77.6% to 91.8% associated with the combination of Site factors.

  • PDF

Historical Documents on Proper Tree Selection System during the Periods of Chosun Dynasty and under the Japanese Rule (조선 및 일제시대의 적지적수 사료 발굴)

  • Kang, Young-Ho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v.26 no.6
    • /
    • pp.341-347
    • /
    • 2003
  • Historical Documents on Proper Tree Selection System of Korea were collected in Japan and introduced in this review. Products of some pine species and fruit were used for laying a tribute to Kings in the Chosun dynasty. In this review, some case studies and implementation of proper tree selection system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rule, the atlas of climatically favourable regions for the species of trees and bamboos in Korean peninsular, and the test results on regional afforestation, tree selection and proper tree selection of fast growing trees were introduced. Of these documents, especially, the atlas of climatically favourable regions of trees and bamboos growing in Korean peninsular is considered as a valuable document. It tis expected that these historical documents on proper tree selection system might be use as references for the researches on indigenous forest, forest resources development, afforestation of fire damaged areas, and the restoration project of North Korea by the time of reunification of Korea.

Identification of the Age of Fresh Ginseng Root According to Number of Stem Vestiges in Rhizome (경흔적 수에 의한 수삼의 연근판별)

  • Lee, Jang-Ho;Ahn, In-Ok;Kim, Young-Chang;Bang, Kyong-Hwan;Hyun, Dong-Yun;Lee, Sung-Sik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v.31 no.3
    • /
    • pp.142-146
    • /
    • 2007
  •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find identification of ginseng root's age using the number of stem vestiges in rhizome. The number of stem vestiges in rhizome is a useful key to confirm the age of ginseng root as follow : 4-year-old root has two, 5-year-old root has three, 6-year-old root has four. The distribution of stem vestiges in rhizome each year root are as follow : 2 stem vestiges in 4-year-old root is 89.5%, 3 stem vestiges in 5-year-old root is 79.7%, 4 stem vestiges in 6-year-old root is 46.3%. However, the limiting factors of identification of ginseng root's age using the number of stem vestiges in rhizome is appearance of multi-stem per plant and appearance of destroyed stem vestige in rhizome. The ratio of appearance of multi-stem per plant and destroyed stem vestige in rhizome are increased according to root 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