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저항 운동

검색결과 473건 처리시간 0.037초

12주간 복합트레이닝이 비만과 골다공증 지적장애인의 신체조성, 건강체력,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사례연구 (The Effect of 12 Weeks of Combined Training on Body Composition, Health-Related Physical Fitness, and Bone Mineral Density of Obese and Osteoporotic Intellectual Disabilities-Case study)

  • 한동기;양한나;서진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2호
    • /
    • pp.375-383
    • /
    • 2018
  • 본 연구는 유산소와 저항성 운동이 접목된 복합트레이닝을 비만과 골다공증 진단을 받은 지적장애인 성인에게 12주간 적용한 후 운동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신체구성검사, 건강관련체력 그리고 골다공증의 변화를 검증하였다. 연구대상들의 운동은 12주간 주2회 유산소운동과 근력 운동을 구성된 복합트레이닝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유산소운동은 저강도에서 시작하여 점증부하원리를 적용하였고, 저항성 운동은 15회를 반복할 수 있는 강도로 설정하였다. 신체조성과 골밀도는 운동전, 6주, 12주 세 차례 측정하였고, 건강체력평가는 운동전과 운동 후 측정하였다. 체중, 체지방은 운동전에 비해 운동 후 감소하였고, 골밀도는 운동전에 비해 운동 후 증가하였다. 체력요인으로 근력과 근지구력, 유연성이 운동전에 비해 운동 후 개선되었다. 본 연구결과로 12주의 복합트레이닝은 하지근력을 증가시켜 걷기, 달리기 등의 기능을 향상시키고, 건강체력의 향상과 골밀도의 증가를 일으키는 운동임을 확인하였다.

저항성 운동과 고단백식 혼합처치가 sarcopenic obese 쥐의 골격근 내 단백질 합성요인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esistance Exercise Training and High Protein Diet on Anabolic Factors of Skeletal Muscle in Sarcopenic Obese Rats)

  • 정수련;김기진
    • 한국체육학회지인문사회과학편
    • /
    • 제54권2호
    • /
    • pp.431-439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sarcopenic obese 흰쥐를 대상으로 사다리 등반 운동 또는 고단백식이 처치가 골격근의 단백질 합성과 인슐린 저항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50주령 SD계 수컷 흰쥐를 이용하여 6주간 고지방식이로 sarcopenic obese 쥐를 유도한 다음 4집단(Chow, HP, Ex, HPEx)으로 무선 배정하였다. 연구결과 8주간의 사다리 등반 운동은 sarcopenic obese 흰쥐의 인슐린 저항성과 체지방량을 감소시키고, mTOR 활성도를 유의하게 증가시켰다. 그러나 하지 근육양은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고, 고지방식과 운동을 병행 처치한 경우 체지방과 인슐린 저항성이 개선되지 않았으며, 오히려 운동의 효과가 저해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노화에 따른 sarcopenic obesity 개선을 위한 고단백식이는 그 양과 조성에 있어서 보다 면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극초고속 수중운동체의 저항감소기법 연구 (Study on Drag Reduction of Hyper-speed Underwater Vehicles)

  • 안병권;이창섭;김형태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10년도 제34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443-449
    • /
    • 2010
  • 최근 초월공동 어뢰와 같이 극초고속으로 이동하는 수중운동체의 저항감소기법에 대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중 운동체 주위의 초월공동 동을 해석할 수 있는 수치기법을 개발하고, 다양한 형상을 가지는 축대칭 운동체에서 발생되는 초월공동을 추정하였다. 또한 충남대학교 캐비테이션터널에서 실험을 수행하여 발생되는 초월공동을 관찰하고 개발된 수치기법의 결과와 비교, 검증하였다.

  • PDF

변위가 발생한 매립부 지반에 대한 연구

  • 김성욱;이현재;원지훈;서동주;이종출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2년도 총회 및 춘계학술발표회
    • /
    • pp.303-306
    • /
    • 2002
  • 변위가 발생한 해안도로 옹벽에 대한 원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기반암과 매립부 지반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지역에서 지질구조선의 발달은 관찰되지 않고 지표에서 기반암의 거동은 낙석의 형태로 나타난다. 기반암은 생교란작용의 유무에 따라 상, 하부지층이 구분되며 하부 지층은 신선한 상태로 이완된 불연속면은 나타나지 않는다. 변위는 옹벽의 이음부에 집중되며 옹벽의 운동방향은 우향이동과 좌향이동이 반복되며 최초 변위 발생지점 (시 점부)에서 멀어짐에 따라 장력에 의한 확장 (벌어짐)이 우세하며 종점부에서 회전운동이 수반된다. 이음부의 확장과 회전은 최초 발생 지점에서 응력이 전달되는 과정에서 나타난 것으로 해석된다. 매립부 지반의 전기비저항탐사에서 상부의 매립층은 높은 전기비저항을 가지는 것에 반해 하부는 매우 낮은 전기비저항 값을 보여준다. 이는 매립부의 하부지반이 해수면 이하에 위치하여 해수와 같은 유체의 영향을 받으나, 상부는 유체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 것으로 추정된다. 반면 최초 변위가 발생한 지점의 매립부 지반은 하부와 같이 낮은 전기비저항 값을 보여준다. GPR 탐사에서 최초 변위 발생 지점에서 매질의 이완 내지 공동으로 추정되는 구조가 관찰된다.

  • PDF

마찰계수에 관하여

  • 신효철
    • 한국윤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윤활학회 1986년도 제4회 학술강연회초록집
    • /
    • pp.29-41
    • /
    • 1986
  • 마찰계수는 서로 접촉하여 운동하는 두 물체간의 특성으로 간주되며 일반적으로 상대속도나 작용하중에 별로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화학적으로나 물리적으로 오염되지 않은 깨끗한 금속간의 마찰실험의 경우, 이 실험이 불활성 가스나 진공내에서 행해질 경우 상당히 큰 마찰저항을 경험하게 되나, 공기중에서의 실험에서는 작은 마찰저항이 기록되어 산화막이나 다른 오염물에 의해 형성된 막이 마찰저항을 감소시킨다고 보고 있다.

  • PDF

운동 강도 차이가 고지방식이 Sprague-Dawley Rat의 골격근 내 PGC-1α, PPAR-γ 및 인슐린 저항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xercise Intensity on PGC-1α, PPAR-γ, and Insulin Resistance in Skeletal Muscle of High Fat Diet-fed Sprague-Dawley Rats)

  • 정현령;강호율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7호
    • /
    • pp.963-971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4주간의 고지방식이와 지구성 운동이 골격근의 PGC-$1{\alpha}$, PPAR-${\gamma}$ 및 인슐린 저항성(glucose uptake, GLUT-4)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인슐린 민감도 지표인 혈당내성검사에서는 일반식이와 비교하여 고지방식이에서 포도당 투여 후 30분과 60분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운동집단에서는 일반식이와 고지방식이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한 것을 알 수 있었다. 골격근의 포도당 운반률, PGC-$1{\alpha}$, GLUT-4, PPAR-${\gamma}$의 결과에서는 일반식이에 비해 고지방식이집단에서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운동집단(저/중/고강도운동)에서는 일반/고지방식이집단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운동집단의 운동강도 차이에서 GLUT-4와 PPAR-${\gamma}$는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골격근의 포도당 운반률과 PGC-$1{\alpha}$ 단백질 발현은 저/중강도 운동과 비교하여 고강도 운동이 유의하게 증가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4주간의 고지방식이는 whole body의 인슐린 저항성을 발생시켰으나 근육 내 인슐린 저항에는 영향을 미치는 못한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므로 추후 고지방식이의 함량, 섭취 기간 등을 고려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4주간의 지속적인 지구성 운동이 고지방식이로 인해 발생된 골격근 인슐린 저항성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인으로 나타났으나 운동 강도에 따른 골격근의 포도당 운반률, PGC-$1{\alpha}$, GLUT-4, PPAR-${\gamma}$의 변화가 인슐린 저항성이 개선시켰다고 설명하기는 부족한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므로 추후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운동 형태(운동 기간, 운동강도)에 따른 골격근의 PGC-$1{\alpha}$와 insulin signalling pathway에 대한 세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유산소 운동이 폐경 후 비만여성의 혈청지질, 렙틴, 그렐린 및 인슐린저항성지수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erobic Exercise on Serum Blood Lipids, Leptin, Ghrelin, and HOMA-IR Factors in Postmenopausal Obese Women)

  • 이정아;김지현;김종원;김도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549-558
    • /
    • 2017
  • 본 연구는 체지방률이 32% 이상인 폐경 후 비만여성 36명을 대상으로 유산소운동이 혈청지질, 렙틴, 그렐린 및 인슐린저항성지수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운동집단(18명)과 통제집단(18명)으로 나누어 유산소운동인 라인댄스를 16주간 실시한 후 체조성, 혈청지질, 렙틴, 그렐린 및 인슐린저항성지수를 운동전과 후로 측정하여 비교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운동 후에 운동집단에서 체중, 체지방률(%BF), 체질량지수(BMI), 내장지방면적(VFA), 렙틴(Leptin), 인슐린(Insulin), 글루코스(Glucose), 인슐린저항성지수(HOMA-IR), 총콜레스테롤(TC), 중성지방(TG), 아포리포프로틴(Apolipoprotein) B, 저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LDL-C) 및 수축기혈압(SBP)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또한 아포리포프로틴(Apolipoprotein) A-1, 그렐린(Ghrelin) 및 고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HDL-C)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유산소운동집단의 내장지방면적에 영향을 미치는 에너지대사조절인자의 회귀분석결과에서 주요요인으로 그렐린, 인슐린, 글루코스 및 HOMA-IR 나타났다. 따라서 규칙적이고 지속적인 유산소운동이 폐경 후 비만여성의 체조성, 내장지방, 혈청지질, 렙틴, 그렐린 및 HOMA-IR을 개선시키는 데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사회운동조직의 사회복지제도화와 미시저항 -지역자활센터의 사례를 중심으로- (The History of Conflicts between Social Movements and Social Welfare -A Case Study of Self-Sufficiency Promotion Centers in South Korea-)

  • 김수영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5권2호
    • /
    • pp.255-285
    • /
    • 2013
  • 본 논문은 자활사업을 주요사례로 정부의 사회복지사업에 민간파트너로 참여하고 있는 사회운동조직이 어떻게 전문 사회복지기관과의 역학관계 속에서 자신의 자발적 정체성을 방어해나가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군부독재가 막을 내리고 민주화와 진전되면서 과거 정부와 대립하던 사회운동단체들이 복지정책의 주요파트너로 부상했다. 저소득층의 일자리 지원사업인 자활사업도 빈민 실업운동진영과의 협력으로 도입된 복지제도이다. 그러나 사회운동에 대한 기존연구들은 사회운동조직이 제도화되면서 자발성이 훼손되고 사회복지 전문가와 기관들에게 헤게모니를 내놓게 된다고 지적해왔다. 이에 본 연구는 자활사업 관련 역사문헌, 심층면접, 참여관찰 자료에 대한 역사적 담론 분석을 통해, 자활사업의 도입시기부터 현재까지 사회운동조직의 자활사업 내 입지변화와 운동조직이 일선현장에서 사회복지진영으로부터 자신을 구별하기 위해 각 국면마다 구사해온 담론과 전략들이 있는지 추적했다. 본 논문은 사회운동과 사회복지의 갈등의 역사 속에서 사회운동진영의 생존전략들을 살펴봄으로써, 사회운동의 사회복지제도화와 전문화를 단지 사회운동의 지배체계로의 편입, 흡수, 종속으로 설명할 수 없고, 그 이면에 사회운동조직의 미시저항이 존재함을 드러내고자 했다.

  • PDF

Thera-Band를 이용한 단축성 & 신장성 수축 저항 훈련 프로그램이 어깨의 최대 토크와 최대 파워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mbined Resistance Training Program of Concentric and Eccentric Contraction Using Theraband on Shoulder Rotation Torque Max and Peak Power)

  • 한동욱;안이레;이나정;이은주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39-148
    • /
    • 2009
  • 본 연구는 Thera-Band를 이용해 단축성 수축과 신장성 수축이 혼합된 저항운동을 실시하는 것이 단축성 수축 저항 운동만을 실시하는 것보다 근력증진에 더 효과적인지를 알아보고자 하는 논문이다. 연구대상자는 부산광역시 소재 S 대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30명 이었으며, 30명을 무작위로 단축성 수축과 신장성 수축 운동군, 단축성 수축 운동군, 무운동군으로 나누어 4주 동안 운동을 실시하였다. 근력 측정은 등속성 운동기기인 CON-TERX를 이용하였으며, 각속도는 $60^{\circ}$/sec, $120^{\circ}$/sec이었다. 4주 운동 후, 단축성 수축과 신장성 수축 운동군의 경우 각속도 $60^{\circ}$/sec에서 단축성과 신장성 최대 토크와 최대 파워, 각속도 $120^{\circ}$/sec에서 단축성 최대 파워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반면 단축성 수축 운동군은 각속도는 $60^{\circ}$/sec와 $120^{\circ}$/sec의 최대 파워에서만 유의한 증가가 있었다. 반면 무운동군은 변화가 없었다. 따라서 Thera-Band를 이용해 단축성 수축과 신장성 수축이 혼합된 운동을 실시하는 것이 단축성 수축 운동만을 실시하는 것보다 근력증진에 더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