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저항용접

Search Result 416, Processing Time 0.041 seconds

Spot Welding of Thermocouple using Servo Micro Spot Welder (서보가압식 마이크로 스폿 용접기를 이용한 열전대 용접)

  • 권효철;박승규;장희석
    • Proceedings of the KWS Conference
    • /
    • 2004.05a
    • /
    • pp.333-335
    • /
    • 2004
  • 현재 저항 점 용접 공정에서 기존의 공기 가압 장치에서 서보모터를 이용한 서보 가압 장치로 변화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마이크로 접합부의 경우 그 대상부가 미소ㆍ미세하기 때문에 접합부의 두께, 변형량, 접합후 전기 저항의 크기 둥이 크게 문제가 될 수 있다. (중략)

  • PDF

Optimization of Welding Parameter for GA Steel in Inverter Resistance Spot Welding (자동차용 강판에 대한 인버터 저항 점 용접조건 최적화에 관한 연구)

  • 전정상;박현성;김태형;이세헌
    • Proceedings of the KWS Conference
    • /
    • 2004.05a
    • /
    • pp.209-211
    • /
    • 2004
  • 자동차 차체의 조립공정에서 주로 사이리스터 방식의 저항 점 용접기를 이용해 용접을 하고 있으나, 최근에는 인버터방식을 이용하려는 시도가 진행되고 있다. (중략)

  • PDF

Effect of Si contents on Tensile-Shear Peak Load and Nugget Diameter in the Resistance Spot Welded of Dual Phase Steel for Automotive Body Applications (자동차 차체용 냉연 DP강 저항점용접부의 너깃경과 인장전단강도에 미치는 Si 함유량의 영향)

  • Kong, Jong-Pan;Park, Tae-Jun;Han, Tae-Kyo;Chin, Kwang-Geun;Kang, Chung-Yun
    • Proceedings of the KWS Conference
    • /
    • 2009.11a
    • /
    • pp.45-45
    • /
    • 2009
  • 원가 측면에서 유리한 저항점용접(Resistance Spot Welding)이 차체 용접에 80%이상으로 가장 많이 적용되고 있다. 첨단고강도강(Advanced High Strength Steel)의 저항점용접성 및 용접부 특성에 미치는 공정 변수의 영향에 대한 연구결과는 많으나, 합금원소의 영향에 대해서는 전무하다. 특히, Si는 DP(Dual Phase)강에 첨가 시 균일한 마르텐사이트의 분포를 촉진하는 원소로 저항 점용접성 및 용접부 특성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며, 이에 대한 연구는 보고된바 없다. 본 연구에서는 냉연 DP강의 저항 점용접시 중요한 인자 중 하나인 너깃경과 전단인장강도에 미치는 Si함유량의 영향을 검토하였다. 사용된 강재 및 용접기는 1.2mm 두께의 Si함유량(0, 0.5, 1.0, 1.5wt%)이 다른 인장강도 780~1000MPa급 냉연 DP강과 단상 AC용접기를 사용하였다. 용접조건은 ISO 18278-2규격에 따라 가압력 4kA, 초기가압시간 40cycle, 유지시간 17cycle로 고정하고, 용접전류만 변화하여 용접을 실시하였다. 너깃경은 용접부 단면을 컷팅 후 폴리싱 하여, 광학현미경과 Image Pro plus를 이용하여 측정했으며, 인장시편규격은 JIS Z 3137를 이용하였다. Si함유량이 증가에 따라 스패터 발생 전류는 감소했고, 너깃경은 직선적으로 증가했다. Si함유량 증가에 따른 너깃경 증가 이유는 저항(R) 측정결과, Si함유량 증가에 따라 모재의 저항이 높아져, 따라서 입열량($Q=I^2Rt$)이 많아지기 때문으로 판단되었다. 인정전단강도는 Si함유량 증가에 따라 직선적으로 증가했다. 이러한 이유는 Si함유량 증가에 따라 너깃경이 증가되기 때문으로 판단되었고, 너깃경과 인장전단강도 사이에 직선적 관계(PL(kN)=$3.2N_{dia.}$-0.81, $R^2$=0.93)를 가지고 있었다. 파단양상은 Si함유량에 상관없이 5.4kA이하에서는 계면파단이 일어났고, 6.0kA이상에서는 풀 아웃 파단이 일어났다. 계면파단주원인은 용접부 가장자리에 지름이 약 $5{\mu}m$이하의 예리한 노치가 존재하여 노치응력집중과 HAZ계면 근처에 미접합부가 존재하기 때문으로 판단되었다. 6.0kA이상에서는 예리한 노치가 없었고, HAZ부가 완전히 접합되어 있기 때문에 풀 아웃 파단이 일어난 것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Si함유량 증가에 따라 적정용접전류 구간은 감소했고, 너깃경은 직선적으로 증가했다. 또한, Si함유량 증가에 따라 인장전간강도는 증가 했으며, 너깃경과 인장전단강도 사이에 직선적 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파단 양상은 Si함유량에 상관없이 5.2kA이하에서는 계면파단이, 6.0kA이상에서는 풀 아웃 파단이 일어났다.

  • PDF

Welding Quality Improvement of Inverter Spot Welder by Electrode Movement Control (전극분리 제어에 의한 인버터 스폿용접기의 용접품질 향상)

  • 김재문;김종덕;원충연;최규하;김규식;목형수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Power Electronics
    • /
    • v.5 no.3
    • /
    • pp.276-284
    • /
    • 2000
  • 저항 스폿용접기에서 용접품질의 보증은 오래 계속 되어온 문제이었다. 본 논문에서는 용접품질과 전극분리와의 관계를 조사하였으며 전극분리가 하나의 제어변수로써 사용될 수 있음을 실험적으로 입증하였다. 피드백신호로서 전극분리를 이용한 퍼지제어에 기초를 둔 용접품질개선을 제시하였다. 저항 스폿용접기의 용접품질은 인장전단강도시험과 같은 파괴적인 검사에 의해 증명되었다. 시험결과는 퍼지 제어기를 이용한 전극분리 제어의 성능이 종래의 정전류 제어와 비교하여 훨씬 더 우수하였다.

  • PDF

Analysis of Weld Characteristic for Lap Joint of Dissimilar 3 Sheet in Resistance Spot Welding Using Simulation Method (시뮬레이션 기법을 이용한 이종 삼겹 저항 점 용접의 용접특성 분석)

  • Park, Young-Whan
    • Proceedings of the KWS Conference
    • /
    • 2010.05a
    • /
    • pp.99-99
    • /
    • 2010
  • 최근 자동차 산업은 고효율 및 친환경이라는 전세계적인 이슈에 따라 고연비의 자동차 개발에 총력을 다하고 있다. 그러므로 다양한 고강도 강 및 경량 금속이 자동차의 차체에 적용되고 있다. 특히 철강재료에 있어서 기존의 저 탄소강에서 다양한 기능을 갖은 고강도 강으로 그 종류가 다양화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저항 점용접을 이용한 차체의 접합은 점점 이종의 강판을 접합하는 비율이 점차로 늘어나고 있다. 이와 같이 강판의 종류가 다양해짐에 따라 수많은 이종 강판에 대한 조합이 생기고 있으며, 이를 모두 실험을 통해 최적 용접조건을 찾기에는 많은 시간과 노력이 투자되어야 된다. 그러나 시뮬레이션 기법으로 이종 접합의 초기 용접조건에 대한 정보를 얻는다면, 최소의 실험을 통해 좀 더 손쉽게 최적의 용접조건을 도출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실제 자동차에 많이 쓰이는 강판인 EDDQ급 도금강판 0.7t와 440R 급 1.2t 및 DP 590 1.0t의 3종류의 이종 강판에 대한 점 용접특성을 저항 점용접 전문 소프트웨어인 SORPAS를 이용하여 시뮬레이션하고 분석하였다. 시뮬레이션은 겹치기 순서에 따라 용접 전류, 가압력, 용접 시간을 변수로 하여 각각의 겹침 순서에 대한 2개의 용접 점에 대한 너겟의 크기를 분석하였으며 로브 곡선을 얻을 수 있었다. 이를 통해 3겹의 겹치기 순서에 따른 용접 특성을 비교할 수 있었으며, 이것을 실제 생산라인의 자동차 차체의 조립 순서 결정에 있어서 응용함으로써 용접 특성을 고려한 차체 조립에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Development of Welding Automation Technique for Energy-saying Condenser type Welders (절전형 컨덴서 용접 자동화 기술개발)

  • Kim Jin-Woo;Lee Young-Nam;Kim Dong-Uk;Kim Gyu-Sik;Won Chung-Yuen;Choi Se-Wan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02.07a
    • /
    • pp.146-149
    • /
    • 2002
  • 컨덴서식 저항 용접기는 용접에 필요한 에너지를 전해컨덴서에 축척 시킨 후 이것을 순시에 용접변압기로 방전하여 큰 용접전류를 흘리게 된다. 아날로그 제어방식에 의한 기존 컨덴서 용접 시스템은 용접 세팅이 어려웠으며, 시스템의 소손 가능성이 높았고, 크기면에서도 비대해질 우려가 있었다. 이에 비해 디지털제어방식의 중앙집중식 자동화시스템은 사용자가 세팅을 쉽게 할 수 있으며, 전원을 제어함에 따라서 전력소비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이용한 디지털제어방식의 중앙 집중식 컨덴서식 저항용접 시스템을 제안한다.

  • PDF

Design of DC current waveform for expulsion reduction in resistance spot welding (저항 점 용접에서 날림발생 저감을 위한 DC 펄스전류 파형설계에 관한연구)

  • Hwang, In-Sung;Yeun, Hyun-Joon;Kim, Dong-Cheol;Kang, Mun-Jin
    • Proceedings of the KWS Conference
    • /
    • 2010.05a
    • /
    • pp.39-39
    • /
    • 2010
  • 최근 자동차 산업에서는 차체의 무게를 감소시켜 연비향상과 배기가스의 양을 줄이려는 목적으로 고강도 강재의 차체 적용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다른 여러 산업에서도 두께 감소를 통한 경량화를 위해 고강도 강재가 사용되고 있다. 고강도 강재를 자동차 차체에 적용하면서 용접성에 대한 새로운 문제가 제기 되고 있으며 그 중 자동차 생산라인에서 차체의 조립공정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저항 점 용접에 대한 연구가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다. 이러한 고강도 강재의 저항 점 용접의 문제점으로는 잦은 날림발생을 들 수 있다. 이는 강도의 증가에 따른 비저항 증가와 필요 가압력의 증가로 인해 입열에 의한 가압부의 소성변형이 쉽게 발생하기 때문이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현재 다단가압, 다단전류제어 등의 기법들이 시도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저항 점 용접의 펄스전류 파형설계를 통해 고강도강 용접의 날림발생을 저감하고자 하였다. 실험소재로는 Al-Si 도금의 1.5GPa 급 강재를 사용하였고 실험조건으로는 기존 로브곡선에서 날림이 발생하는 용접조건을 사용하였다. On/Off 방식의 펄스전류를 이용하여 On/Off 시간에 따른 용접성을 평가하여 이를 기존 용접성과 비교하였다. 또한 펄스전류 파형에 따른 입열과 냉각의 변화와 날림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 PDF

Comparison of Inverter DC Spot Weldability with PI Controller Design (PI제어기 설계에 따른 인버터 DC 저항 점 용접의 용접성 비교)

  • Hwang, In-Sung;Yeun, Hyun-Joon;Eun, Jong-Mok;Kim, Dong-Cheol;Kang, Mun-Jin
    • Proceedings of the KWS Conference
    • /
    • 2009.11a
    • /
    • pp.117-117
    • /
    • 2009
  • 저항 점 용접 시스템은 SCR 방식과 Inverter 방식으로 나뉘어지는데 현재 공급전원의 안정화 및 고속의 제어가 가능한 Inverter 방식으로 점차 변해가는 추세이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기존 SCR 방식에서는 구현하기 힘들었던 고속의 전류제어가 요구되고 있으며 여러 제어 알고리즘들이 적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전류를 제어하기 위해 PI제어 알고리즘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PI제어보다 좀더 반응이 빠르고 정밀한 제어 알고리즘의 적용이 시도되고 있지만 실질적으로 현장에 적용하여 활용하기에 어려움이 있어 PI제어가 많이 선호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용접전류의 제어는 일정한 전류를 공급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주요하지만 저항 점 용접 시스템에서는 일정한 전류의 공급 이외에 목표 전류까지 도달하는 응답시간 또한 주요한 사항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는 짧은 통전시간으로 인해 응답성에 따라 입열량의 차이가 나타나기 때문이다. 응답시간이 느릴수록 그만큼 전류의 공급이 적어지고 이로 인해 입열량이 감소하게 된다. 국내의 Inverter 방식의 경우 응답시간이 15ms 이상이지만, 해외 선진 제품의 경우 10ms 이하의 응답시간을 가져 크게는 1cycle(16.6ms)의 차이가 나고 같은 용접전류 조건에서도 용접성의 차이가 나타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응답시간에 따른 용접성의 변화와 응답시간 제어의 필요성을 확인하기 위해 PI제어기를 응답시간에 따라 설계하고 이를 자체 제작한 Inverter DC 저항 점 용접기에 적용하여 용접실험을 실행하였다. 용접소재로는 현 자동차용 강판 소재인 SPFC590, 1mmt를 사용하였고 인장 및 단면시험을 통해 용접성을 비교하였다. 또한 각각의 로브곡선을 도출하고 비교하여 응답시간에 따른 용접성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