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저탄소 콘크리트

검색결과 30건 처리시간 0.022초

폐콘크리트 미분말을 사용한 저탄소형 시멘트의 조직 및 상분석 (Image and Phase Analysis of Low Carbon Type Recycled Cement Using Waste Concrete Powder)

  • 송훈;신현욱;이종규;추용식;박동천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2권4호
    • /
    • pp.314-320
    • /
    • 2014
  • 시멘트산업은 건설산업에의 기초소재를 공급하는 중추이지만 시멘트 제조시 고온의 소성이 필요하고 소성시의 원료 및 연료로부터 발생하는 $CO_2$와 구조물 해체시 발생하는 건설폐기물은 새로운 환경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는 폐콘크리트 미분말의 리사이클을 통해 시멘트로서 활용하기 위한 것이다. 기존의 불활성 충전재로서의 활용에서 벗어나 화학적 특성을 기반으로 배합조건을 조절하여 클링커 및 시멘트를 제조하고 미세조직 및 상분석을 실시하여 저탄소형 시멘트 개발 가능성을 타진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폐콘크리트 미분말을 활용한 저탄소형 시멘트 제조가 가능하며 유효활용을 위한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목표 탄소배출량 저감을 고려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설계 절차 (Design Approach of Concrete Structures Considering the Targeted CO2 Reduction)

  • 정연백;양근혁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권2호
    • /
    • pp.115-121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CO_2$ 배출 저감을 위한 저탄소 콘크리트 구조물 설계 절차를 제시하였다. 전과정 $CO_2$ 평가에 기반한 저탄소 콘크리트 구조물 설계 절차는 ISO 13315-2에서 요구하는 시스템 경계를 이용하였으며 구조물의 전과정 평가를 수행하기 위한 전과정 목록(life-cycle inventory, LCI)은 기본적으로 국가에서 구축한 LCI 데이터베이스 정보망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절차에 따라 전단벽 콘크리트 구조물을 대상으로 전과정 $CO_2$ 평가에 대한 사례분석을 수행하였다. 기둥부재의 경우 GGBS 25% 치환 시 재료단계, 해체 및 파쇄단계, 운송단계에서 $CO_2$ 발생량 및 탄산화에 의한 $CO_2$ 포집량은 모두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OPC 대비 약 26%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둥, 벽체, 보 및 슬래브 전체의 경우 GGBS 25% 치환에 따라 전과정 $CO_2$ 발생량이 약 22% 저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천연모래 치환율에 기반한 저탄소 경량골재 콘크리트 배합설계 모델 (Mixture Proportioning Approach for Low-CO2 Lightweight Aggregate Concrete based on the Replacement Level of Natural Sand)

  • 정연백;양근혁;태성호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8권4호
    • /
    • pp.427-434
    • /
    • 2016
  • 이 연구의 목적은 인공경량골재 콘크리트의 생산에서 $CO_2$ 배출량을 저감시킬 수 있는 천연모래 치환 기반의 배합설계 절차를 제시하는 것이다. 379개의 경량골재 콘크리트 배합 데이터를 사용하여 $CO_2$ 배출량과 콘크리트의 압축강도에 대한 천연모래의 치환율의 영향을 평가하였다. Yang et al.이 제시한 배합설계절차 및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비선형 회귀 분석에 기반하여 목표 성능(압축강도, 초기 슬럼프, 공기량 및 $CO_2$ 저감률)을 만족하기 위한 천연모래의 치환율 및 콘크리트 배합설계를 결정할 수 있는 간단한 모델식을 제시하였다. 뿐만 아니라, 제안된 모델식은 주어진 경량골재 콘크리트 배합표에서 $CO_2$ 배출량을 직접 계산하는데 효율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폐콘크리트 미분말을 이용하여 제조한 저탄소형 클링커의 XRD 및 영상분석 (XRD and Image Analyis of Low Carbon Type Recycled Cement Using Waste Concrete Powder)

  • 신현욱;송훈;추용식;이종규;박동천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4년도 춘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252-253
    • /
    • 2014
  • This study is to XRD and image analysis of low carbon type recycled cement from waste concrete powder and cement raw materials. Waste concrete powder possible to low carbon type recycled cement in small part of additive materials. Also, low carbon type recycled cement using waste concrete powder is suitable for ordinary portland cement.

  • PDF

개량형 3성분계 결합재를 사용한 조강형 저탄소 콘크리트의 기초적 특성 (A Engineering Properties of High Early Strength Low Carbon Concrete Using Modified Ternary Blended Cement)

  • 최현규;한상윤;김경민;박상준;한민철;한천구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1년도 추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55-56
    • /
    • 2011
  •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ngineering properties of low heat concrete incorporating improved ternary blended cement by combining OPC(original portland cement), blast furnace slag and fly ash.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ing ; For ITB(Improved Ternary Blend)mixture was that setting time proved to be accelerated, and adiabatic temperature rises were low. The use of ITB resulted in an increase of initial compressive strength.

  • PDF

저심도 철도시스템 구축을 위한 저탄소 친환경 PC 박스용 콘크리트의 성능 평가 (A Performance Evaluation of Concrete for Low-carbon Eco-friendly PC Box for Near-surface Transit System)

  • 고태훈;하민국;정호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3587-3595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저비용의 저심도 도시철도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하여 산업부산물인 고로슬래그 미분말, 플라이애시 및 급냉 전기로 산화슬래그를 사용하여 개발된 저탄소 친환경 PC 박스용 콘크리트의 역학적 성능 및 내구성을 평가 하였다. 역학적 특성을 평가한 결과, 재령 1일 압축강도는 모든 조건에서 설계기준강도($f_{ck}$) 35MPa의 90% 이상 강도 발현 하는 것으로 나타나 공기단축 가능으로 건설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소요의 물성 및 설계기준강도($f_{ck}$) 35MPa를 만족하는 범위에서 시멘트 단독 사용 조건보다 염소이온침투성 및 확산계수가 낮게 나타나 내염성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동결융해 저항성 및 화학저항성의 경우에도 내구성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저탄소 친환경 PC 박스용 콘크리트를 사용할 경우, 시멘트 제조 시 발생되는 이산화탄소 및 환경부하를 저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