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저층

Search Result 997,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속초연안 해양환경의 시공간적 변동특성

  • Park, Seung-Yun;Park, Jin-Il;Sim, Jeong-Min;Kim, Yeong-Suk;Jin, Hyeon-Guk;Hwang, Un-Gi;Kim, Gwi-Yeong;Jeong, Chang-Su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6.05a
    • /
    • pp.280-281
    • /
    • 2006
  • 속초연안의 수온은 18개년 평균 표층수 $14.10\pm0.34^{\circ}C$, 저층수 $12.56\pm0.28^{\circ}C$, 염분은 표층수 $31.66\pm0.18$, 저층수 $32.68\pm0.10$, pH은 표층수 $8.05\pm0.01$, 저층수 $8.02\pm0.01$, BO는 표층수 $8.48\pm0.11mg/L$, 저층수 $8.16\pm0.12mg/L$, COD는 표층수 $1.54\pm0.07mg/L$, 저층수 $1.33\pm0.06mg/L$, SS는 표층수 $13.75\pm0.80mg/L$, $PO_4$-P는 표층수 $0.74\pm0.05{\mu}M$, 저층수 $0.61\pm0.04{\mu}M$, $NH_4$-N는 표층수 $2.49\pm0.18{\mu}M$, 저층수 $2.01\pm0.15{\mu}M$, $NO_2$-N는 표층수 $0.72\pm0.05{\mu}M$, 저층수 $0.58\pm0.04{\mu}M$, $NO_3$-N는 표층수 $4.39\pm0.24{\mu}M$, 저층수 $3.63\pm0.20{\mu}M$, DIN는 표층수 $7.64\pm0.38{\mu}M$, 저층수 $6.22\pm0.29{\mu}M$, DIN/DIP비 표층수 $23.91\pm3.42$, 저층수 $23.43\pm3.38$이었으며, 전반적으로 해역별 수질기준 I등급 내지는 II등급을 유지하고 있었고, 공간적으로는 외해측으로 갈수록 외해수와 혼합 확산되어 양호한 수질을 나타내었다. 장기적인 변동특성은 세그룹으로 구분되어진다.

  • PDF

Benthic Fluxes of Ammonia and Lead in Lake Shihwa (시화호에서 암모니아와 납의 저층용출)

  • Han, Myong-Woo;Park, Yong-Chul;Huh, Sung-Hoi
    • The Sea: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 /
    • v.2 no.2
    • /
    • pp.69-77
    • /
    • 1997
  • A 12-cm long sediment core was collected from a station in Lake Shihwa where high salinity-anoxic deep water is isolated from low salinity-oxic surface water by a strong halocline barrier. Unprecedented concentrations of porewater ammonia and lead are encountered: at 9 cm sediment depth ammonia builds up to 1420 ${\mu}M$ and at 3 cm lead to 1348 nM. As they are stable in anoxic condition, high concentrations of ammonia and lead suggest a development of notorious anoxic condition in the benthic environment of the lake. The degree of pollution of the deep water is likely to be directly proportional to the magnitude of benthic flux, because the deep water is isolated from the surface water by the halocline. Apparent coincidence of the ammonia residence time in the deep water with the elapsing time after the completion of the artificial lake construction, as about three years, suggests that the deep water pollution is being progressed entirely by benthic flux at least with respect to ammonia. The residence time for lead is such a short 20 days that it suggests a rapid return of the bottom water lead, which is originated from porewater by benthic flux, back to sediments probably as metal sulfide phases. The speculation on the return of lead as sulfide phases is likely to be supported by high concentration of hydrogen sulfide in the deep water and by high sinking rate of non-organic particles in Lake Shihwa.

  • PDF

Seawater Quality of Jinhae Bay and Adjacent Sea of Gaduk Island, Korea (진해만 및 가덕도 주변 해역의 수질 환경)

  • Kim, Kyung-Tae;Kim, Eun-Soo
    • Proceedings of KOSOMES biannual meeting
    • /
    • 2009.06a
    • /
    • pp.137-143
    • /
    • 2009
  • 진해만과 가덕도 주변 해역에서 2007년 2회(하계와 추계)에 걸쳐 표층 및 저층수 조사를 실시하여 수질 환경 특성을 파악하였다. 수온은 표층이 저층보다 높았는데 여름이 가을보다 표 저층간의 차이가 컸으며, 염분은 가덕도 남쪽에서 낙동강 물의 유입 영향으로 저염분을 나타내었다. 부유물질은 표층수의 경우 진해만 및 연안에서 높고 외해에서 낮았으며, 과거의 조사 농도 범위에 속하였다. POC는 계절별로 분포 차이가 있지만 유기물 유입원에 대한 근접성과 기초 생산아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COD는 표층에서 오염원의 영향이 많은 진해만에서 높고 외해로 가면서 낮아졌다. 여름에 진해만 일부 정점은 해역별 수질기준 III등급이었다. DO는 저층이 표층보다 낮았는데 특히 진해만 내완 외해의 깊을 수심 정점에서 차이가 크고, 하계에 성층에 의하여 수증간에 큰 자이를 나타내었다. 인산염-인과 규산염-규소는 저층수에서 용존산소가 낮아짐에 따라 높은 농도를 나타내는 경향이 강하였으며, 암모니아-질소도 내만의 저산소층에서 높은 농도를 보였다. 표층수의 용존 무기질소는 신항과 가덕도 주변에서 높고 진해만 서쪽 및 외해로 갈수록 낮아졌으며, 과거 조사 농도보다 낮고 좁은 변동 범위를 보였다. 총 질소와 총인도 외해역에서 낮은 농도였으며, 표층보다 저층이 높은 추세였고 여름에 더욱 뚜렷하였다. 총질소 평균 농도로는 해역별 수질기준과 I등급을 만족하였으나 정점별로는 $I{\sim}III$등급까지 변화가 컸는데 진해만 내의 저층 또는 외해의 깊은 수심을 갖는 정점에서 등급이 좋지 알았다. Chl-a는 진해만 내 또는 가덕수도에서 높은 분포였으며, 신항과 가덕도 남쪽에서는 과거보다 낮은 농도였다.

  • PDF

가막만 소호해역에서 태풍 전후 수질 변동특성

  • Lee, Yeong-Sik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7.05a
    • /
    • pp.294-297
    • /
    • 2007
  • 유기유기물 증가원인의 파악과 근본적인 대책에 대한 연구의 일환으로 부영양화된 연안해역에 대하여 태풍 발생 전후의 수질변동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용존산소 포화도는 수온과 염분 약층이 형성된 시기에 저층에서 54% 이하로 관측되었다. 태풍이 지나간 직후에는 표층과 저층에서 거의 비슷한 용존산소 포화도$(78{\sim}88%)$가 조사되었다. 그리고, 태풍이 지나간 3일 후 식물플랑크톤이 대량으로 증식한 표층에서 용존산소 포화도가 234%로 아주 높은 값이 관측되었고, 저층(5m)에서도 90%가 조사되어, 태풍과 식물플랑크톤의 이상 증식이 저층의 용존산소 포화도를 높이는 작용을 한 것으로 보인다. 2) 염분이 가장 낮았던 시기에 표층에서 $NA_4-N$, $NO_3-N$, $SiO_2-Si$의 농도가 각각 18.22, 38.90, 52.10uM로 아주 높게 조사되었으며, $NH4-N$, $PO_4-P$, $SiO_2-Si$는 용존산소가 낮은 저층에서도 높게 나타났다. 3) 클로로필은 최고 $311.0{\mu}g/L$가 태풍 후에 관측되었으며, 그 원인 생물은 Scrippsiella trochoidea (42,000cells/mL)였다. 조류성장잠재능력은 태풍발생 후에 아주 높게 조사되었으며, 항상 질소가 부족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4) 화학적 산소요구량은 최고 10.55 mg/L였으며, 태풍으로 저층 퇴적물로부터 부유되는 유기 오탁 물질이 화학적 산소요구량 증가에 미치는 기여도는 크지 않은 것으로 보이며, 화학적 산소요구량 증가의 대부분이 식물플랑크톤의 증식에 기인한 것($r^2=0.612$, p<0.0001)으로 조사되었다.

  • PDF

The Flow Characteristic Variation by Installing a Movable Weir having Water Drainage Equipment on the Bottom (저층수 배출식 가동보 설치에 따른 흐름특성)

  • Choi, Gye-Woon;Byeon, Seong-Joon;Kim, Young-Kyu;Cho, Sang-U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 /
    • v.8 no.3
    • /
    • pp.117-122
    • /
    • 2008
  • Generally, water is taken through channels and rivers, in which there are many weirs and structures, which cross rivers and temporally hold up water. But this way has its own shortcomings. It is main reason that the water flows through structures, and backwater come into being. So it causes many water quality problems and some flood side-effects and so on. In this study, among the various movable weirs, we installed bottom-discharged and air pressure movable weir in the experimental channel. And we analyzed flowing influence, which is followed by the angle variation of movable weir. We also make further study the flow characteristic variation followed by installing entrance at the bottom to discharge the bottom water. The analysis result was that installed weir angle was increased, and the discharge also gradually increased. The installed weir angle depended on the water quantity, which can be excluded in the bottom. In case of velocity, there was increased as maximum 21.9 times, according to there is entrance or not at the bottom. And in case of water level, it showed the water level of locally above the average decrease in the upper river of weir.

A Study on the Influence of Blasting Vibration and Sound on Each floor in Building during Blasting Operation (저층건축물 인근 발파작업시 진동 및 폭음이 층별로 미치는 영향 연구)

  • 이신;김상욱;을지나란플래브토톡;강대우
    • Explosives and Blasting
    • /
    • v.22 no.3
    • /
    • pp.35-41
    • /
    • 2004
  • Many buildings have been bolt in Korea. Because blasting operations and more efficient to make excavate rock than other methods, it's more extensively used for new construction, enlargement of buildings, subway work, etc. However, blasting vibrations and sound often create pollution. A study, 'The place of gathering earth and sand to construct a building site in Yangsan', has been done in Gyo-dong, in Yangsan. There are two high-rise apartment and buildings, beside a construction site. The blasting vibrations and sound were monitored on the 1st, 4th floors in building(4th floor), an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The blasting vibrations decreased being transmited from 1st floor to 4th floor.

Growth of Bay Scallop, Argopeten irradians at Different Rearing Depths (해만가리비, Argopecten irradians의 양성 수심에 따른 성장)

  • 오봉세;정춘구;김숙양
    • Journal of Aquaculture
    • /
    • v.15 no.1
    • /
    • pp.61-68
    • /
    • 2002
  • A comparative study on the effect of rearing depths at 2 (surface) and 5 (bottom) m on growth of the scallop was undertaken in Nam-myeon coastal area during June to December, 1997. There were very little difference in the levels of temperature (12.2 ~24.5$^{\circ}C$), salinity (27.3 ~33.1$\textperthousand) and dissolved oxygen (>7.05 mg/l) at a given month. But the chlorophyll level fluctuated between 1.2 and 11.0 $\mu g/l$ at the surface but below 2 $\mu g/l$ at the bosom. Highest phytoplankton density occurred in August and Ceratium dominated it during the period from June to October. Mean growth of the bay scallop at surface and bottom for the six months rearing period was as follows; 0.19 and 0.16 mm/day for shell height, and 0.16 and 0.12 g/day for total weight. Maximum predicted values of shell height calculated by von Bertalanffy growth model were 52.62 mm for the surface and 46.73 mm for the bottom reared scallop. Survival of the scallop was higher (80 %) for the surface group than that at the bottom (60%).

저층트롤에서 발생되는 뻘물의 형상 모델링과 그래픽 애니매이션

  • 하석운;김용해;최윤경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1.10a
    • /
    • pp.49-50
    • /
    • 2001
  • 저층트롤이나 기선저인망 등에서 발생되는 뻘물(Sand cloud)은 시각자극에 의한 어류의 구집과 어구 시인도에 크게 영향을 미치게 된다. 여기서는 저층트롤의 전개판과 발줄등에 의한 뻘물의 발생범위 및 확산 정도를 기하학적인 형상으로 수치모델링하고, 이를 기초로 뻘물의 시각적 형상을 입자발생모델에 따라 그래픽 애니매이션 하였다. (중략)

  • PDF

Feasibility Evaluation of CHS Diagrid Systems for Low/Mid-Rise Building Structure (원형강관 다이아그리드 시스템의 중저층 건축구조물 적용 타당성 평가)

  • Gam, Sam-Do;Kim, Tae-Jin;Kwak, Jin-I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2009.04a
    • /
    • pp.84-87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최근 초고층 건축물에 많이 활용되어지는 기둥-가새 시스템인 다이아그리드 시스템을 활용하여 중저층 건축물에 적용가능성을 평가하였다. 본 시스템은 튜브구조의 형태로 횡력에 대한 저항력이 우수하며 중력하중과 황하중을 기초와 지반에 안전하게 하중을 전달한다. 다이아그리드는 경사기둥과 보를 반복적으로 삼각형 형태로 배치되어 중력하중을 받을 경우 수직부재는 압축력을 보는 인장력을 받게 된다. 경사기둥과 보를 연결하는 접합부는 H-형강으로 설계 시 제작이 복잡하고 외관이 좋지 않다. 하지만 원형강관을 사용 할 경우 복합하지 않은 형태로 설계가 가능하고 외관이 우수하기 때문에 외부에 노출이 가능해진다. 또한 원형강관은 개방형 단면 부재에 비해 압축좌굴과 비틀림에 대한 성능 등이 우수하여 구조적인 성능이 우수하다. 원형강관을 이용하여 다이아그리드 시스템이 고층 건축물 뿐만 아니라 중저층 건축물에도 적용 타당성을 검토하였으며 원형강관 접합부 설계는 한계상태설계법이 사용 된 KBC2008(안)을 이용하여 설계하였다.

  • PDF

Relationships between the Winter-Time Surface Water Temperature and the Summer-Time Bottom Water Temperature in the West Sea of Korea (서해의 겨울철 표면수온과 여름철 저층수온과의 관계)

  • 강용균;김호균
    • 한국해양학회지
    • /
    • v.22 no.4
    • /
    • pp.228-235
    • /
    • 1987
  • Based on the hydrographic data for 19 years (1968-1984) at 65 stations in the West Sea of Korea, we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sea surface temperature (SST) in winter and the bottom water temperature (BWT) in summer. The spatially-averaged anomalies of BBT are highly correlated with those of SST during the preceding winter. However, due to advection of heat by ocean currents, the spatial pattern of BWT anomaly in summer does not closely resemble that of SST anomaly in the preceding winter.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