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저지 종

검색결과 158건 처리시간 0.033초

천연 생약재 열수 및 알코올 추출물의 어병 세균에 대한 항균력 (Antibacterial Activities of hot-water and ethyl alcohol Extracts of Medicinal Herbs on Fish Pathogenic Bacteria)

  • 최혜승;김이청;이주석;조미라;서창호;박수일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39-55
    • /
    • 2004
  • 감초외 48종의 천연 생약재로 부터 열수 및 알콜 추출액을 제작하여 19 균주 어병 세균을 대상으로 항균력을 조사한 결과, 알콜 추출액은 22종, 열수 추출액은 16종이 어병 세균에 대하여 항균력을 나타내며 이 중 13종의 생약재는 알콜 및 열수 추출액 모두 8 mm이상의 저지대를 나타내어 항균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열수 추출물에서 항균력을 나타내는 약재 중 그람 음성균에 감수성이 양호한 약재는 저지대 8 mm 이상을 나타내는 애엽, 개옻나무, 연교, 지유, 파엽, 대황 및 황금이었으며, 그람 양성균에 항균력이 양호한 약재는 삼지구엽초, 육계 및 보골지 등 이었다. 그리고 오매, 황련, 계혈등, 상백피, 오배자 및 오미자는 저지대가 8mm 이상으로 그람 음성, 양성균 모두에 항균력이 있었다. 알콜 추출물중에서 그람 음성균에 항균력을 나타내는 것은 백작약, 오매, 선모 및 황금 등으로 저지대가 8mm 이상으로 측정되었으며, 그람 양성균에 항균력을 나타내는 것은 감초, 계혈등, 단삼, 상백피, 육계 및 보골지 등으로 저지대가 8mm이상이었다. 또한 그람 음성, 양성균에 모두 8mm 이상의 저지대를 나타내는 것은 애엽, 개옻나무, 황련, 지유, 오배자 및 오미자 등이었다. 그러나 이 중에서 오배자 열수 추출물의 어병 세균에 대한 발육 저지대가 32 mm로 그람 음성, 양성균 모두에 가장 뛰어난 항균력을 나타내어 다른 생약재와는 다른 광범위 생약재인 것으로 나타났다. 애엽, 황금, 지유, 오매, 황련 및 오배자 열수․알콜 추출물은 tetracycline(30$\mu{g}$)에 내성을 나타내는 균주에 감수성을 나타내었다.

치주염 원인균에 대한 천연 식물 추출물의 항균효과 (Antimicrobial Effect of Natural Plant Extracts against Periodontopathic Bacteria)

  • 이승희;김민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242-255
    • /
    • 2019
  • 이 연구는 34종의 천연 식물 추출물을 이용하여 치주염 원인균 Actinobacillus actinomycetemcomitans와 Prevotella intermedia에 대한 항균효과를 조사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치주염 원인균에 대한 천연 식물 추출물의 항균효과를 연구하고자 유기용매 추출물을 이용하여 생육저지활성을 측정하고, 시료 추출물의 최소생육저해농도(Minimum Inhibition Concentration, MIC)를 측정한다. 1차적으로 34종의 각 천연 식물 추출물을 에탄올로 추출하여 디스크 확산법(disk diffusion method)을 이용하여 각 추출물의 생육저지환(clear zone, mm)의 크기를 측정한 결과 나복자, 목통, 백작약, 사간, 선복화, 어성초, 연교, 진교, 천련자, 황금, (천)황련, 황백, 해동피 등 13종에서 천연 식물 추출물이 치주염의 원인균인 A. actinomycetemcomitans에 대해서 생육저지 활성을 나타내었다. P. intermedia의 경우, 나복자, (일)당귀, 목통, 사간, 선복화, 어성초, 육계, 자완, 천련자, 황금, (천)황련, 황백, 해동피 등 13종에서 생육저지 활성을 나타내었다. A. actinomycetemcomitans에 대해서는 사간, 육계, 해동피, 황백, (천)황련에서 항균효과가 나타났다. (천)황련은 A. actinomycetemcomitans의 모든 유기용매 분획에서 가장 우수한 생육저지 활성을 나타내었다. P. intermedia는 사간, 육계, 천련자, 황백, 황련에서 생육저지 활성이 나타났다.

기능성 유산균주와 다양한 지방 함량으로 제조된 발효소시지의 품질 평가

  • 김영주;이홍철;박성용;한수민;오세종;진구복
    • 한국축산식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축산식품학회 2006년도 정기총회 및 제37차 춘계 국제학술발표대회
    • /
    • pp.156-160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기존의 고지방 발효 소시지의 지방을 감소시키기 위해 만든 저지방 발효 소시지의 지방 대체제 효과를 평가하고 항 콜레스테롤과 항 고혈압 활성을 갖는 기능성 유산균주를 이용하여 발효 소시지를 제조 및 평가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저지방 발효 소시지는 고지방 발효 소시지들에 비해 숙성시간을 거의 $1{\sim}2$주 정도 단축시킬 수 있었지만 외관상 주름이 많고 관능평가에서 고지방과 중지방에 비하여 선호도가 낮았다. 소시지들의 콜레스테롤 함량은 지방 함량이 감소됨에 따라 감소되었다. 항고혈압 활성을 갖는 유산균주를 이용한 저지방 처리구는 저지방 대조구와 유사한 ACE 억제 활성을 가졌다. 이상의 결과에서 발효소시지의 과다한 지방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중지방(${\sim}25%$)이 보다 적당하다고 평가되며 항고혈압과 콜레스테롤 저하 균주가 포함된 기능성 발효소시지의 개발은 건강 식육제품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복합 유산균을 이용한 저지방 기능성 발효소시지의 개발

  • 김영주;한수민;이홍철;오세종;진구복
    • 한국축산식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축산식품학회 2005년도 제36차 추계 학술발표대회
    • /
    • pp.186-189
    • /
    • 2005
  • 본 연구는 기존의 약 40%의 지방을 가지고 있는 발효 소시지의 지방을 제거하고 항고혈압과 항균활성을 가진 기능성 유산균을 이용하여 발효소시지를 제조하고자 실시하였다. 저지방 발효 소시지는 기존의 고지방 발효 소시지에 비하여 무려 38%이상의 지방을 제거하였고 숙성기간을 기존의 고지방 대조구에 비하여 7일 이상 단축시킴으로써 저지방 발효소시지의 제조기간이 단축되었다. 항고혈압 및 항 콜레스테롤 활서을 가지는 기능성 유산균주를 첨가한 결과 저지방 처리구는 대조구에 비하여 숙성초기의 항고혈압 활성을 증가시켰다.

  • PDF

계면활성제의 TMV 감염저지 효과 (Inhibitory Activity of Surfactants against Tobacco Mosaic Virus Infection)

  • 박은경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1-17
    • /
    • 1989
  • $AOS(\alpha-olefin),$ LAS(linear alkyl benzene), OSS(dioctyl sulfosuccinate) 및 SAS (dodecyl benzene sulfonic acid)등 4종 계면활성제의 TMV 감염저지 효과를 잎담배 품종 Xan-thi-nc 및 NC 82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각 계면활성제를 2,500ppm 농도로 담배잎에 처리한 경우 바이러스(TMV) 또는 TMV RNA를 접종했을 때 모두 98% 이상의 감염저지 효과를 나타냈다. 그러나 이들을 담배 근권토양에 처리 3일후 잎에 Virus를 접종하여 병징 및 엽중 Virus 농도를 조사한 결과 무처리구와 차이가 없어 침투이행에 의한 TMV 감염저지 효과는 인정되지 않았다. 순화된 바이러스를 각 계면활성제 2,500ppm 용액과 혼합한 후 초고속원심분리에 의해 다시 Virus를 회수하여 활성을 조사한 결과 LAS는 96% 이상 Virus를 불활성화시켰으며, 이 외는 바이러스 활성에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또 각 계면활성제가 처리된 Virus 입자의 형태는 무처리입자와 차이가 없었다. 이같은 결과들로 미루어 4종의 계면활성제가 나타낸 TMV 감염저지 효과는 바이러스 입자의 파괴 또는 감염초기 바이러스 입자의 외피 단백질 탈피억제에 의한 것이 아닌 것으로 판단된다.

  • PDF

한라산 고지대에 서식하는 유존 나비종의 풍부도와 개체군 안정성 (Abundance and Population Stability of Relict Butterfly Species in the Highlands of Mt. Hallasan, Jeju Island, South Korea)

  • 김성수;이철민;권태성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2권4호
    • /
    • pp.273-281
    • /
    • 2013
  • 지구온난화로 인해 고산지역에 고립되어 서식하는 고산종은 감소할 가능성이 높다. 본 연구는 한라산 고지대에 서식하는 10종의 유존 나비종의 서식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고지대의 나비조사는 한라산 정상부의 초지에서 2007년부터 6년간 실시하였다. 유존종의 나비가 저지대에 나타나는 지 확인하기 위해 2012년에는 저지대의 2곳에서 조사를 하였다. 나비는 선조사법으로 조사하였다. 10종의 유존 나비종들은 고지대에서는 관찰이 되었으나, 저지대에서는 관찰되지 않았다. 이들 종들은 대부분 개체수가 많고 개체군의 안정성이 다른 나비들에 비해 낮지 않았다. 밀도 변화를 분석한 결과 유존종의 나비들이 감소하거나 증가하는 경향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기후변화의 영향은 아직은 유존 나비종의 개체군에 명확하게 나타나지는 않았다. 본 조사결과와 우리나라의 출현자료를 토대로 각 유존종에 대한 취약성 평가를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