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저주파 가열

Search Result 6,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Implementation of Low Frequency Welding Pre-heating System Using Induction Heating (유도가열 기법을 이용한 저주파 용접예열 시스템 구현)

  • Yang, Juyeong;Kim, Soochan;Park, Junmo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Convergence Signal Processing
    • /
    • v.19 no.2
    • /
    • pp.61-67
    • /
    • 2018
  • Welding preheating means that the surface of the base material to which the metal is welded before the main welding is heated to a constant temperature. It prevents the cracks of the adjacent influences such as reduction of material hardening degree by controlling the cooling rate, suppression of segregation of impurities, prevention of thermal deformation, and moisture removal. For this reason, it is a necessary operation for high quality welding. Induction heating is an efficient heating method that converts electric energy into heat energ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induction phenomenon. Compared with combustion heat generated by gas and liquid, it is clean, stable, and economical as well as rapid heating. It can be heated regardless of the shape, depth and material of the heating body by modifying the shape of the frequency and the coil with a simple structure. In this paper, we implemented a low frequency welding preheating system using induction heating technique and observed the temperature changes of coil resistance, inductance and automotive transmission parts according to the height of each transmission in winding coil for three kinds of automotive transmission parts. We confirmed that the change of current is a very important factor in the low frequency heating.

KSTAR 진공용기 및 플라즈마 대향 부품에 대한 베이킹 해석

  • 이강희;임기학;허남일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1999.07a
    • /
    • pp.38-38
    • /
    • 1999
  • KSTAR(Korea Superconducting Tokamak Advanced Research) 핵융합 실험 장치의 진공용기 및 진공용기 내부의 플라즈마 대향 부품들은 초고진공 (5$\times$10-9 Torr)의 달성을 위해 진공용기 내부의 이물질(H2, H2O, CO, CO2, CH4 등) 제거를 목적으로 SS316LN인 진공용기는 25$0^{\circ}C$, 탄소 물질인 플라즈마 대향부품은 35$0^{\circ}C$ 정도까지 가열(이하 베이킹)할 필요성이 있다. 이 가열방법으로 고온 질소가스를 진공용기 이중벽 사이로 흘려주는 방식과 코일에 저주파 교류전류를 흘려 진공용기를 유도가열하는 방식이 고려되고 있는데, 유도가열방식은 최대 유도 전력이 70kW 정도로 실제 베이킹에 필요한 열량을 공급하는데 있어 적잖이 부족하며 또 국부적인 가열 특성으로 인하여 KSTSR의 베이킹 방식은 전자의 가열방식을 우선적으로 채택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0-차원 해석을 통하여 진공용기와 플라즈마 대향 부품들에 대한 베이킹 계획을 결정하고 이를 만족시키기 위해 투입해야 할 열량을 직선적으로 증가하는 온도 곡선에서 각 부분의 온도 상승률을 다르게 설정한 세 경우와 F-자 형태로 변화하는 온도 곡선의 경우에 대해 각각 적용하여 시간에 따른 필요열량을 비교.검토하였으며, 이를 근거로 안정적인 베이킹 계획을 선정하였고 이 베이킹 계획의 실현을 위해 투입해야 할 고온 질소가스의 유량과 온도 도달시간까지 매 시간에서의 가스온도를 산출하였다. 토러스 형상의 토카막 진공용기와 플라즈마 대향 부품 및 다층단열재에 대한 해석 모델은 길이가 유한한 0-차원 실린더 모델로 가정하였고, 이에 대한 기하학적 성질 및 열역학적 성질은 유효계수를 고려하여 산출하였다. 진공용기 이중 벽 내부로 흐르는 질소가스의 유량과 온도의 계산은 진공용기 내벽과 외벽을 각각 독립적인 열전달 요소로 가정하여 구성한 모델을 이용하였다. 전체 해석에서 각 열전달 요소의 비열 값은 온도에 따라 변화하는 비열의 특성을 반영하였으며. 진공용기와 플라즈마 대향 부품의 방사율(emissivity)은 앞서 가정했던 각 온도 상승 곡선에 대해서 각각 0.1, 0.2, 1.3의 경우를 가정하여 계산하였다. 직선적으로 증가하는 온도 상승 곡선중 2$0^{\circ}C$/hr의 온도상승율을 갖는 경우가 다른 베이킹 시나리오 모델에 비해 효과적이라 생각되며 초대 필요 공급열량은 200kW 정도로 산출되었다. 실질적인 수치를 얻기 위해 보다 고차원 모델로의 해석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끝으로 장기적인 관점에서 KSTAR 장치의 베이킹 계획도 살펴본다.

  • PDF

Humidity Sensitive Characteristics of CaSnO$_3$ Ceramics (CaSnO$_3$ 세라믹스의 감습특성)

  • Yuk, Jae-Ho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elematics and Electronics T
    • /
    • v.35T no.2
    • /
    • pp.1-5
    • /
    • 1998
  • $CaSnO_3$ specimens were fabricated by solid reaction method, and their humidity sensitive characteristics have been investigated. Capacitance increases with increasing relative humidity, better humidity sensitivity are shown at lower frequencies. Humidity sensitivity are stable at variable temperatures, and hysteresis phenomenon is shown with adsorption and desorption. Drift phenomenon is exhibited by exposing the specimens in the air, and a decrease of humidity sensitive by contamination is inhibited by heat cleaning.

  • PDF

Characteristic Analysis of Thyristor PWM Rectifier for low-frequency Induction Heating System (저주파 유도가열 장치용 싸이리스터 PWM 정류기의 특성분석)

  • Yoon D.C.;Lee K.B.;Choy Y.D.;Beak S.T.;Han B.M.;Soh Y.C.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01.07a
    • /
    • pp.681-684
    • /
    • 2001
  • This paper proposes a new induction heating system composed of a thyristor PWM rectifier with a resonant commutation circuit. The operation of proposed system as first analyzed by a theoretical approach with equivalent circuits. And its verification was performed by computer simulations with EMTP. The proposed system can provide a solution for the power factor problem of the existing high-power induction heating system, which uses the line-commutated thyristor bridge in rectifier side.

  • PDF

반응성 고주파 마그네트론 스퍼터링 방법에 의한 AlN 압전 박막 증착 및 특성에 관한 연구

  • 황지현;권명회;김형택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00.02a
    • /
    • pp.89-89
    • /
    • 2000
  • AlN 박막은 Al과 N원자의 부분적 이온결합 특성을 가진 공유결합을 한 육방정계의 wurtzite 경정구조의 화합물 반도체로서, III-V족 반도체 중 가장 큰 에너지 갭(6.2 eV), 결정 구조적 이방성, 화학 양론적 결합구조, 높은 탄성종과 전달속도(약 10$\times$106 m/s)와 높은 열전도도, 고온 안정성, 가시광성.적외선 영역에서의 좋은 투과성과 높은 굴절률, 상온 대기압에서의 유일하게 안정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어, 절연재료, 내열재료, 저주파 영역 센서의 압전 트랜스듀서, 광전소자, 탄성파 소자 및 내환경 소자, MIS소자 등으로 주목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BAW 공진기의 활용을 목적으로 반응성 마그네트론 스퍼터링 방법으로 AIN 압전박막을 제작하여, 증착 조건-질소 농도, 고주파 출력, 전체 스퍼터링 압력, 기판 온도-에 대한 박막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AlN 박막의 c축 우선 방위 결정성 및 낮은 투과성, 적당한 굴절률의 특성이 BAW 공진기의 활용을 위한 요건이므로, 각각의 증착 조건하에 제작된 박막은 XRD의 $\theta$/2$\theta$ 스캔 회절상에 의한 결정성의 분석과 우선 성장 결정면의 rocking curve 및 XRD로 측정한 FWHM과 표준 편차로 결정성의 배열성과 소자 응용가능성을 조사하였다. 박막의 표면.단면 미세 구조 및 평활도는 SEM으로 관찰하였으며, Al-N 결합 상태는 XPS와 FT-IR로 분석 조사하였다. 제작된 AlN 박막의 결정성 분석 결과, c축 우선 방위 성장을 위한 스퍼터링 압력에 대한 임계 질소 농도와 임계 스퍼터링 압력이 관찰되었다. 전체 스퍼터링 압력이 6~8 mTorr의 범위에서 나타난 최소 임계질소 농도는 10%, 최대 임계 질소 농도는 60%이며, 4 m Torr 이하 10 m Torr 이상의 전체 스퍼터링 압력에서 박막의 우선 방위성장이 제재된다. 이는 AlN 박막이 형성에 관여하는 질소 이온 양의 충분한 형성에 필요로 하는 질소 가스의 유입량에 따른 것으로 판단된다. AlN 박막의 c축 결정면인 (002) 결정면의 성장을 유도하며 다른 방향으로의 성장을 제어하여 소자 활용에 유용한 박막을 제작하기 위한 고주파 출력은 300W 정도가 적당하며, 기판을 가열하지 않았을 때 낮은 투과도를 나타낸다. 본 연구에 의한 BAW 공진기 활용을 위한 AlN 압전박막의 제작을 위한 최적 증착 조건은 기판의 가열 없이 6~8 mTorr의 전체 스퍼터링 압력에 20~25%의 질소종도, 300W의 고주파 출력이다. 최적 조건에서의 AlN 박막은 약 0.19$^{\circ}$의 FWHM과 약 0.08$^{\circ}$의 표준편차를 가지며, 균일하고 조밀한 표면 미세구조와 주상정 구조의 측면구조, 파장에 대한 약 2.0의 굴절률, 낮은 투과도와 화학 양론적 구조를 가지는 우수한 박막이 형성되었다.

  • PDF

A Study of Shielding Property of Magnetic Field for the Film Impregnated with Soft Magnetic Powder (연자성 합금분말을 함침시킨 필름의 자계 차폐 특성 연구)

  • Park, Jong-Hyun;Ra, Keuk-Hwan;Kang, Eun-Kyun;Kim, Jin-Woo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and Information Engineers
    • /
    • v.51 no.1
    • /
    • pp.211-218
    • /
    • 2014
  • In this paper the magnetic field properties of the soft magnetic alloys (Fe-Si-Cr and Fe-Ni-Cr) are studied in advance for the development of electro-magnetic shielding films, which could be used in the IT Devices (NFC, mobile phone, computer, etc.).As a result each of the selected soft magnetic alloy melts of the corresponding compositions is water-dispersed into the disk-shaped grains, which are soaked in polymer resin, and of which two types of thin film of thickness 0.1mm and 1mm are made by passing through the heating calendar roller. And the magnetic permeability and the shielding effectiveness of the polymer films containing the soft magnetic alloy grains are measured over the whole frequency bands from the low frequency to 10GHz. Before the experiments of the soft magnetic alloy, a special equation is proposed to estimate the permeability of the alloy, and the equation is verified with the pre-published data by MATLAB, and from which the most optimal compositions can be decided. And the SE(Shielding Effectiveness) of the polymer films containing the soft magnetic alloy grains is simulated by the HF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