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저장장치

Search Result 2,675,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원격 메모리를 이용한 메모리 가상화 서비스 기술

  • Cha, Gyu-Il;Kim, Yeong-Ho;An, Sin-Yeong;Im, Eun-Ji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31 no.3
    • /
    • pp.22-31
    • /
    • 2014
  • 최근 빅데이터 처리에 대한 요구가 급증하면서 매니코어 계산 장치의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어 계산 장치와 입출력 저장장치의 성능 격차는 과거보다 더욱 두드러지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메모리 가상화 서비스 기술은 입출력 저장 장치의 성능 문제를 완화할 최적의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본고에서는 방대한 데이터를 처리해야 하는 응용 프로그램에게 입출력 저장 장치의 성능 한계를 극복하고 데이터 처리 비용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원격 메모리를 이용한 대용량 가상 물리 메모리 제공 서비스를 지원하는 최근 메모리 가상화 서비스 기술 동향에 대해 알아본다.

Recent Research Trend in Multifunctional Wearable Energy Storage Devices (다기능성 웨어러블 에너지 저장 장치 연구동향)

  • Park, Sangbaek
    • Prospectives of Industrial Chemistry
    • /
    • v.23 no.2
    • /
    • pp.23-39
    • /
    • 2020
  • 4차 산업혁명의 초연결/초지능 사회가 현실화 되면서 모든 제품이 배터리에 연결되는 사물배터리(battery of things) 시대가 열리고 있다. 이에 따라 기존의 정형화된 에너지 저장 장치를 넘어 전자기기 각각에 걸맞은 스펙과 기능을 갖는 맞춤형 전지 개발이 화두이다. 특히 구부러지거나 변형될 수 있는 웨어러블 전자기기를 구동하기 위해서는 기계적인 변형에 안정한 에너지 저장 장치가 필요하다. 또한 다양한 기능(투명성, 전기변색, 자가치유형, 친환경 등)을 갖는 지능형 전자기기가 개발됨에 따라, 이와 동등한 기능을 갖는 에너지 저장 장치도 요구되고 있다. 나아가 각각 개발된 웨어러블/다기능성 전자기기와 에너지 저장 장치를 어떻게 통합시킬지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본 기고문에서는 기계적 안정성, 기존 소자와의 적합성, 나아가 신기능성까지 갖춘 차세대 다기능성 웨어러블 에너지 저장 장치를 소개하고 이를 위한 복합나노구조 합성 및 소자 디자인 전략에 관한 최근 연구 동향을 소개하고자 한다.

A Study of External Storage Device File Outflow (외장형 저장장치의 파일유출에 관한 연구)

  • Song, Yu-Jin;Lee, Jae-Yong
    • Journal of Korea Society of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 /
    • v.16 no.2
    • /
    • pp.59-64
    • /
    • 2011
  • A lot of computer users use external memory device. But, same time file efflux incidents are also increasing. There are two ways people use for efflux file. One is moving it after checking file which is running on computer and the other is checking file name only. Checking from running file case, we can identify vestige with running information of applied program but, the case of moving as external device without running file there is no evidence running applied program. So there are a lot of difficulty with forensic investigation. In this paper we suggest the way to help forensic investigation which is method of getting external memory device information of volume and time through its awareness method and connection information and moving to external device without running file after compare the external memory device volume information through link file analysis and getting information of link file formation & access time from link file.

A Technical Trend of Secure Storages (안전 저장장치 기술 동향)

  • Park, J.Y.;Lim, J.D.;Kim, J.N.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8 no.3
    • /
    • pp.30-38
    • /
    • 2013
  • PC 및 스마트기기의 사용이 일반화됨에 따라, 최근 개인의 민감한 정보가 외부로 유출되는 사고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반적인 사용환경에서는 개인의 데이터가 평문 파일 형태로 관리되고 있는 실정이며, 이러한 상황에서는 공격자가 수월하게 공인인증서 및 개인정보 유출이 가능하다. 본고에서는 데이터를 보다 안전하게 저장 관리하기 위한 안전 저장장치에 대한 개념 및 기술 동향에 대하여 살펴본다. 특히,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 기반의 안전 저장장치 전반에 걸친 기술 동향 및 각 모듈의 특징을 분석하고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하여 논한다.

  • PDF

Analysis of Journaling Effect for Flash Memory Storage System (플래시 메모리 기반 저장 시스템의 저널링 영향 분석)

  • Jang, Bogil;Lim, Seu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2.11a
    • /
    • pp.6-7
    • /
    • 2012
  • 낸드 플래시 메모리는 저장장치로서 널리 사용되는 소자이다. 플래시 메모리 기반의 저장장치 시스템에서 파일 시스템의 저널링 기능을 사용할 때, 플래시 메모리의 특징을 고려해주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플래시 메모리 기반의 저장장치 시스템에서 파일 시스템의 저널링 연산이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분석해 보고, 오버헤드가 될 만한 부분을 찾아본다. 이러한 오버헤드가 될 만한 부분을 찾아서 제거해줌으로써 플래시 메모리의 사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A Study on the Efficiency Improvement through the Switch Control of a Compound Energy Storage System for Vehicles (스위치 제어를 통한 자동차용 복합형 에너지 저장 장치의 효율 개선에 관한 연구)

  • Kim, Byoung-Hoon;Lee, Back-Haeng;Jeong, Jin-Beom;Shin, Dong-Hyun;Song, Hyun-Sik;Kim, Hee-Ju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8.07a
    • /
    • pp.996-997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마일드 하이브리드 자동차에 적용 가능한 복합형 에너지 저장 장치의 운용 효율 및 수명 개선이 가능한 스위치 제어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제어 알고리즘은 복합형 에너지 저장 장치를 구성하는 축전지와 울트라커패시터의 전압, 전류, 전력 및 SOC의 변화에 따라 스위치를 적절히 제어함으로써, 시스템 전체의 운용 효율을 개선하고, 또한 축전지에 대전류 충/방전 상황 발생을 제한시켜 축전지의 수명저하 현상을 둔화시킨다. 본 논문에서는 마일드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운행 조건을 모사한 사이클 프로파일과 차량 시뮬레이터 장비를 활용하여, 단순병렬 구성의 에너지 저장장치와 스위치 제어 알고리즘이 적용된 에너지 저장장치의 운용효율을 비교함으로써 제안한 알고리즘의 유용성을 확인하였다.

  • PDF

Two Dimensional Inter-symbol Interference Compensation for Holographic Data Storage (홀로그래픽 데이터 저장 장치를 위한 2차원 인접 심볼간 간섭 보상)

  • Jeong, Seongkwon;Lee, Jaejin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and Information Engineers
    • /
    • v.52 no.6
    • /
    • pp.10-14
    • /
    • 2015
  • In holographic data storage systems, data is recorded and read by page on a volume of storage medium, and it can increase transmission rate and storage capacity because of two-dimensional page-oriented data processing by charge-coupled devices. However, HDS suffers two-dimensional intersymbol interference unlike conventional data storages. In this paper, we propose a preprocessing method of decreasing ISI before read data in HDS pass to detector. This method has some advantage when we collaborate with the preprocessing for reducing misalignment error and modulation code.

Simulation of Silo System for Drying and Storage of Grains (곡물(穀物)의 건조(乾燥), 저장(貯藏)을 위한 사일로 시스템의 시뮬레이션)

  • Chung, J.H.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v.19 no.3
    • /
    • pp.194-210
    • /
    • 1994
  • 미곡종합처리장(米穀綜合處理場)의 곡물 건조 및 저장시설의 적정 설계를 위해서 시뮬레이션 모델링이 요구되었다. 이에 곡물 건조 및 저장시설인 곡물 사일로 시스템을 설계하기 위해서 SLAMSYSTEM을 이용한 시뮬레이션 모델을 개발(開發)하였다. 곡물 사일로 시스템은 반입(搬入)장치, 조선(粗選)장치, 계량(計量)장치, 건조용(乾燥用) 사일로, 저장용(貯藏用) 사일로 그리고 이송장치들로 구성되었으며 이들 장치와 시스템의 공정들이 네트웍(network)과 프로세스(process) 중심의 시뮬레이션 모델로 표현(表現)되어 분석(分析)되었다. 이 시뮬레이션 모델로 1) 각 공정에서의 원료 처리시간 및 대기시간 그리고 병목현상, 2) 각 기계 및 장치들의 활용도(活用度) 및 이용상태(利用狀態), 3) 물벼의 처리용량 및 건조조건에 따른 건조시간과 건조에 소요되는 에너지 그리고 건조중 발생되는 열손실(熱損失), 4) 반입에서부터 저장에 도달할 때까지의 총 처리시간 및 처리량 등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시뮬레이션 결과 자료를 기초로 하여 각 기계 및 장치의 종류(種類)와 용량(容量) 및 크기를 결정하여 곡물 사일로 시스템을 설계(設計)하였다. 그리고 시뮬레이션에 의해 설계된 사일로 시스템이 실제로 전북 남원에 설치(設置)되었다.

  • PDF

Preemptive Garbage Collection Scheme for the Responsiveness Improvement of NAND Flash Memories (낸드 플래시 메모리의 응답시간 향상을 위한 선점방식 가비지 컬렉션 기법)

  • Jung, Sang-Hyuk;Song, Yo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2.06a
    • /
    • pp.176-178
    • /
    • 2012
  • 낸드 플래시 메모리는 FTL의 페이지 re-mapping 동작으로 인하여 특정 페이지가 무효화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물리적으로 소거되지 않은 상태로 낸드 플래시 공간을 점유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플래시 저장장치의 제어기는 플래시 기반 저장장치의 지속적인 쓰기 성능 유지와 저장 용량 확보를 위해 무효 페이지를 물리적으로 제거하고 유효 페이지를 수집하는 가비지 컬렉션 연산을 수행한다. 따라서 다수의 블록을 대상으로 가비지 컬렉션 연산을 수행할 경우, 많은 페이지 복사와 블록 삭제 연산들로 인한 저장장치 지연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낸드 플래시 저장장치에 적용 가능한 효과적인 가비지 컬렉션 메커니즘을 제안한다. 선점방식 가비지 컬렉션 기법은 블록 맵의 데이터 구조를 간단히 수정하여, 단일 블록을 대상으로 가비지 컬렉션을 수행한다. 이 기법의 유효성은 페이지 복사와 블록 삭제 연산을 세부 단위로 분할하여 처리가 가능하므로 가비지 컬렉션이 수행되는 도중에 요청되는 호스트의 요청에 기민하게 응답가능하다는 것이다.

Distributed Locking for File Sharing in Storage Area Network. (SAN 환경의 공유 파일 시스템을 위한 분산 락킹)

  • Choi, Sung-Chune;Youn, Hee-Yong;Choo, Hyun-Se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2.04a
    • /
    • pp.397-400
    • /
    • 2002
  • SAN(Storage Area Network)은 현재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데이터의 관리를 위해 대용량의 공유 저장장치를 사용하는 분산 환경의 고속 네트워크 저장 시스템이다. SAN 환경에서는 여러 호스트들에게 대용량 저장장치의 동시 접근을 허용함으로써 사용자에게 고 확장성과 신뢰성, 그리고 고 가용성을 제공해 준다. 그 결과 여러 호스트에 의해 공유되는 저장장치의 자료에 대한 비 일관성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여러 호스트에 의해 동시 접근되는 공유 저장장치의 데이터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한 락킹 모듈을 리눅스 운영체제 기반에서 구현하고, 그 성능을 평가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