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저장공간

Search Result 2,151,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A study on Partition Allocation Techniques of iATA-based Virtual Storage (iATA 기반의 가상 스토리지 파티션 할당 기법에 관한 연구)

  • Park, Sungjin;Chun, Jooyoung;Lim, Hyotae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9.05a
    • /
    • pp.68-71
    • /
    • 2009
  • iATA(Internet Advanced Technology Attachment)는 TCP/IP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의 대용량의 가상 저장 공간을 자신의 로컬 디스크 처럼 활용이 가능하게 하는 기술로 이는 모바일 기기(PDA, 휴대폰 등)와 같은 저장 공간의 부족문제를 가지고 있는 장치에 적용하여 저장 공간의 부족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솔루션이라 할 수 있다. iATA는 SCSI 하드디스크가 장착된 시스템에서만 서버를 구축해야만 하는 iSCSI와는 달리 일반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주로 사용하는 ATA 하드 디스크에도 서버 구축이 가능한 확장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iATA의 최대 장점 중 하나라 할 수 있다. 또한, Web 사이트를 통해 많은 사람들이 iATA 서비스를 이용하여 자신의 모바일 기기에서의 저장공간 문제를 극복할 수 있으며, 최근 사회 문제로 크게 대두되고 있는 개인 정보 유출의 폐해를 막기 위해 개인 인증시 OpenSSL과 MD5를 이용한 보안/암호화 기법을 사용하여 개인 정보 유출에 의한 불이익 및 개인 정보 악용으로 인한 범죄를 막을 수 있다. 하지만, 기존의 iATA상에서는 디스크 관리가 서버에서만 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사용자만의 개인공간을 가질 수가 없다. 이처럼 개인 사진이나, 다이어리같은 정보들을 관리 할 수 없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클라이언트에서 자신만의 디스크 공간을 가질 수 있게 파티션을 할당해주고, 그 공간을 클라이언트만의 공간으로 만들어 주는 기술을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PDF

Design & Performance Evaluation of Storage and Index Structures for Spatial Network Databases (공간 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를 위한 저장 및 색인 구조의 설계 및 성능평가)

  • Um Jung-Ho;Chang Jae-Woo
    • The KIPS Transactions:PartD
    • /
    • v.13D no.3 s.106
    • /
    • pp.325-336
    • /
    • 2006
  • For supporting LBS service, recent studies on spatial network databases (SNDB) have been done actively. In order to gain good performance on query processing in SNDB, we, in this paper. design efficient storage and index structures for spatial network data, point of interests (POIs), and moving objects on spatial networks. First, we design a spatial network file organization for maintaining the spatial network data itself consisting of both node and edges. Secondly, we design a POI storage and index structure which is used for gaining fast accesses to POIs, like restaurant, hotel, and gas station. Thirdly, we design a signature-based storage and index structure for efficiently maintaining past, current, and expected future trajectory information of moving objects. Finally, we show that the storage and index structures designed in this paper outperform the existing storage structures for spatial networks as well as the conventional trajectory index structures for moving objects.

Estimation of Lifetime Data Storage Capacity for Human Senses (인간 감각 정보를 위한 평생 기억용량 평가)

  • You, Young-Gap;Song, Young-Jun;Kim, Dong-Woo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9 no.1
    • /
    • pp.23-29
    • /
    • 2009
  • This paper presents a capacity estimation of a storage system accumulating all data sensed during the lifetime of an individual human being. The calculation assumes modern data compression and data collection schemes based on wearable or implanted devices under ubiquitous environment. More than 76% of the storage area is found to be used for video data storage of common TV image quality. The remaining storage area is for data from other sensing organs including audio, taste, olfactory and tactual systems in addition to indexing information. Total storage area of around 600 tera bytes is needed to cover 100 years of human life including his fetal period.

A Fast Editing/Writing Technique for Large-scale Multimedia Files with Data Sharing based on YAFFS (YAFFS 기반의 데이터 공유를 통한 대용량 멀티미디어 파일 고속 편집 저장 기법)

  • Seung Wan Jung;Young Jin Nam;Dae Wha Se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8.11a
    • /
    • pp.1134-1137
    • /
    • 2008
  • 최근 디지털 기술의 발달로 인해 디지털 캠코더, 디지털 카메라 등의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가 증가하고 있고, 이러한 휴대용 장치를 위한 저장 장치로 낸드 플래시가 많이 사용된다. 이러한 장치는 고화질 미디어 컨텐츠 녹화 기능을 제공하고, 녹화된 영상물은 대용량 파일 형태로 저장된다. 대용량 파일의 필요한 부분만을 편집하여 재 저장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기법이 요구된다. 본 논문은 낸드 플래시 메모리 전용 파일 시스템인 YAFFS를 사용하는 멀티미디어 휴대 장치에서 멀티미디어 파일을 고속으로 편집하고 동시에 필요한 저장 공간 소모를 최소화 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동영상 파일 편집 후 저장에 있어서 현재의 낸드 플래시 파일 시스템들은 편집 내용을 빈 공간에 새로 저장하기 때문에, 대용량의 파일일수록 많은 시간과 저장 공간이 소모 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기법은 동영상 편집 후 파일 간에 중복되는 데이터를 새로 저장하지 않고 공유하도록 하면서 소모되는 시간과 공간을 최소화 한다. 이를 위해 파일 간 공유 되는 데이터를 관리하는 페이지 공유 맵을 설계하고 이를 이용한 동영상 고속 편집 저장 기법을 제시한다.

Spatial Selectivity Estimation using Cumulative Wavelet Histograms (누적밀도 웨이블릿 히스토그램을 이용한 공간 선택율 추정)

  • Chi, Jeong-Hee;Jeong, Jae-Hyuk;Ryu, Keun-Ho
    • Journal of KIISE:Databases
    • /
    • v.32 no.5
    • /
    • pp.547-557
    • /
    • 2005
  • The purpose of selectivity estimation is to maintain the summary data in a very small memory space and to minimize the error of estimated value and query result. In case of estimating selectivity for large spatial data, the existing works need summary information which reflect spatial data distribution well to get the exact result for query. In order to get such summary information, they require a much memory space. Therefore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technique cumulative density wavelet Histogram, called CDW Histogram, which gets a high accurate selectivity in small memory space. The proposed method is to utilize the sub-histograms created by CD histogram. The each sub-histograms are used to generate the wavelet summary information by applying the wavelet transform. This fact gives us good selectivity even if the memory sire is very small.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simultaneously takes full advantage of their strong points - gets a good selectivity using the previous histogram in ($25\%\~50\%$) memory space and is superior to the existing selectivity estimation techniques. The proposed technique can be used to accurately quantify the selectivity of the spatial range query in databases which have very restrictive memory.

High-Performance Loading Method for Historical Spatial Query Processing in Data Stream System (데이터 스트림 시스템에서 과거 공간질의 처리를 위한 고속 로딩 기법)

  • Jae-Wan Shin;Sung-Ha Baek;Dong-Wook Lee;Soong-Sun Shin;Kyung-Bae Kim;Hae-Young Ba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8.11a
    • /
    • pp.397-400
    • /
    • 2008
  • 무한히 발생되는 실시간 데이터와 디스크에 저장된 히스토리컬 데이터를 동시에 처리하는 하이브리드 질의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하이브리드 질의는 디스크에 저장된 대용량의 공간 데이터 처리를 위해 빠른 디스크 입/출력을 요구한다. 이러한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 인덱스, 데이터 축소 기법등이 연구되었다. 데이터의 빠른 검색을 위한 인덱스 기법은 디스크에 분산 저장된 데이터에 대한 탐색 비용과 입/출력 비용을 줄이지 못한다. 또한, 샘플링을 통해 디스크 입/출력 시간 비용을 줄이는 데이터 축소 기법은 데이터의 정확성을 떨어뜨려 정확성을 요구하는 하이브리드 질의에서는 이용하기가 어렵다. 이논문에서는 디스크 입/출력 시간과 디스크 탐색 시간 비용을 줄이고, 정확성을 보장하는 과거 공간질의 처리를 위한 고속로딩 기법을 제아난다. 제안기법은 공간을 그리드 형태로 나누고 인접한 공간 데이터를 함께 관리함으로써 디스크 입/출력 비용을 줄 일 수 있다. 또한, 공간적으로 인접한 데이터를 물리적으로 인접한 곳에 저장하여 디스크 탐색시간 비용을 줄일 수 있다. 이렇게 저장된 데이터는 손실 없이 모두 저장되며, 정확성 또는 보장할 수 있다.

A Storage-Efficient Trie Indexing Method . for DNA Sequence Databases (DNA시퀀스 데이터베이스를 위한 저장-효율적인 Trie 인덱싱 기법)

  • 김강모;서남호;원정임;윤지희;박상현;김상욱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04b
    • /
    • pp.31-33
    • /
    • 2004
  • 대규모 DNA 시퀀스를 대상으로 하여 서브시퀀스를 고속으로 검색하기 위한 인덱싱 방법으로서 접미어 트리가 유용하다. 그러나 접미어 트리는 데이터 크기의 약 100배에 해당하는 방대한 저장 공간을 필요로 한파. 본 논문에서는 기존 접미어 트리의 검색 성능을 유지하며, 저장 공간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새로운 인덱스 구조를 제안한다. 제안된 인덱싱 방안에서는 DNA 시퀀스 내의 모든 염기 위치에 고정 길이의 슬라이딩 윈도우를 위치시켜, 윈도우 크기에 해당하는 연속된 서브시퀀스를 추출한 후, 이들을 대상으로 트라이를 구성한다. 트라이는 저장 공간 감소를 위하여 각 문자를 최소 비트 정보로 표현하며, 저장 구조로서 포인터를 사용하지 않는 디스크 기반의 이진 트라이 구조를 사용한다. DNA 서브시퀀스 검색을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인덱스 기반의 질의 처리 알고리즘을 제안하고 실험을 통하여 그 유용성을 보인다. 제안된 인덱스는 접미어 트리의 약 10분의 1의 저장 공간을 필요로 하며, 데이터 크기 증가에 거의 영향을 받지 않는 안정된 고속 검색 성능을 지원한다.

  • PDF

Proposal of CCTV Storage Space Securing Model using YOLO v3 Library (YOLO v3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CCTV 저장공간 확보 모델 제안)

  • Kim, Seong-Ik;Kim, Hwangr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07a
    • /
    • pp.105-106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YOLO v3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여 CCTV 저장 공간을 확보하는 모델을 제안한다. 사회안전망을 구축하기 위해 CCTV 설치가 확대되고, 그에 따라 많은 CCTV가 운영됨에 있어 저장 공간이 부족한 현상이 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학습된 데이터 셋을 활용하여 CCTV 영상파일의 프레임을 확인하여 움직임이 있는 객체가 있는지 판단하고, 움직임이 감지되는 프레임 영상을 저장한다. 제안 모델을 적용하여 테스트 한 결과 원본 데이터 크기보다 결과 데이터 크기가 85% 감소됨을 확인하였다. 인적이 드문 곳에 설치된 CCTV의 경우 제안 모델을 적용할 경우, 저장 공간의 관리 및 운영이 용이해질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 PDF

Load Shedding Method based on Grid Hash to Improve Accuracy of Spatial Sliding Window Aggregate Queries (공간 슬라이딩 윈도우 집계질의의 정확도 향상을 위한 그리드 해쉬 기반의 부하제한 기법)

  • Baek, Sung-Ha;Lee, Dong-Wook;Kim, Gyoung-Bae;Chung, Weon-Il;Bae, Hae-Young
    •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ystem Society
    • /
    • v.11 no.2
    • /
    • pp.89-98
    • /
    • 2009
  • As data stream is entered into system continuously and the memory space is limited, the data exceeding the memory size cannot be processed.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load shedding methods which drop a part of data to prevent exceeding the storage space have been researched. Generally, a traditional load shedding method uses random sampling with optimized rate according to data deviation. The method samples data not to distinguish those used in spatial query because the method uses only a random sampling with optimized rate according to data deviation. Therefore, the accuracy of query was reduced in u-GIS environment including spatial query. In this paper, we researched a new load shedding method improving accuracy of the query in u-GIS environment which runs spatial query and aspatial query simultaneously. The method uses a new sampling method that samples data having low probability used in query. Therefore proposed method improves spatial query accuracy and query processing speed as applying spatial filtering operation to sampling operator.

  • PDF

Up-scaling Vegetation Carbon Storage Distribution Map of Pinus densiflora Stands from Plot to Landscape Level using GIS/RS (GIS RS 식생탄소저장능력의 공간분포 특성규명)

  • Kim, T.M.;Song, C.C.;Lee, W.K.;Son, Y.;Bae, S.W.;Kim, C.S.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7.10a
    • /
    • pp.221-225
    • /
    • 2007
  • 산림은 탄소저장능력이 있어 대표적인 온실가스인 이산화탄소를 저감시킨다. 따라서 산림의 탄소저장능력 특성을 규명하고 그것을 산림경영에 반영함으로써 온실가스 저감이라는 국제적 노력에 동참하는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임분에서의 탄소저장능력(Carbon Storage, CS)은 식생탄소저장능력(Vegetation Carbon Storage, VCS)과 토양탄소저장능력(Soil Carbon Storage, SCS)의 합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대표적인 자생수종인 소나무림 VCS의 공간분포를 지엽적 범위(spot level)에서 광역적 범위(regional level)로 확대하여 그 특성을 규명하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지엽적 범위의 조사 및 연구에서 VCS는 임목의 흉고직경(Diameter at Breast Height)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관계와 Quickbird 고해상도 위성영상에서 추출한 소나무림 공간분포도를 이용해 경관범위(landscape level)에서 소나무림 탄소저장능력의 공간분포를 추정할 수 있었으며,그 결과를GIS 및 RS를 통해 광역적 범위로 확대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