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저장공간

Search Result 2,151,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웹 저장공간 임대서비스의 사용자 만족 결정요인 연구

  • 전동진;김준우
    • Proceedings of the Korea Association of Information Systems Conference
    • /
    • 2004.11a
    • /
    • pp.465-475
    • /
    • 2004
  • 인터넷과 정보기술의 발전은 디지털 자료에 대한 저장방식에 변화를 가져왔으며 이것은 인터넷 웹 저장공간 임대서비스라는 새로운 비즈니스 유형을 창출시켰다. 사이버 저장 공간 및 자료를 상호 공유 할 수 있는 점과 고가의 저장 매체를 소유할 필요가 없다는 장점으로 웹 저장공간 임대서비스 서비스의 수요가 급증하고 있으며, 이러한 서비스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인터넷 웹 저장공간 임대서비스가 사용자에게 정보 저장 공간을 대여해주는 서비스라는 개념하에, 사용자 만족을 이끌 수 있는 웹 저장공간 임대서비스 특성에 대해 실증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사용자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웹 저장공간 임대서비스의 서비스 품질은 유형성과 신뢰성, 대응성 요인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웹 저장공간 임대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은 서비스에 대한 시각적인 디자인과 사이트의 기술수준을 높이고, 사이트 구조에 대해 사용자 측면에서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신뢰할 수 있도록 개인 정보 및 공유 자료의 보안성 및 보유정보의 체계화에 비중을 두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사용자들의 요구사항에 즉각 대응할 수 있도록 정보전달 채널을 강화할 필요가 있음을 지적하였다.

  • PDF

A Design of Simulator for Storage Migration Model Selection in Cloud Computing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에서 Storage Migration 기법 선정을 위한 시뮬레이터 설계)

  • Chang, Jun-Hyup;Jeon, Chang-Ho;Lee, Won-J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1.06a
    • /
    • pp.15-16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에서 저장공간 이주(storage migration)시에 저장공간의 읽기/쓰기 비율을 고려한 저장공간 복제 모델 선정을 위한 실험 환경을 설계한다. 기존의 저장공간 이주 모델은 가상머신과 저장공간중에 저장공간이 먼저 이주하는 선복제(pre-copy)와 나중에 이주하는 후복제(post-copy)가 있다. 이러한 복제 기법은 VM과 저장공간 이주의 필요성과 그 방법만을 제안하였으며, 성능 향상을 위한 이주 기법 선정 방법은 제시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에서 다양한 스토리지의 읽기/쓰기 비율에 따른 이주 모델 선정 기법을 실험할 수 있는 시뮬레이터 설계 방법을 제시한다.

  • PDF

KORED/StormNT: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Storage Manager for Spatial Database (KORED/StormNT: 공간 데이터베이스를 위한 저장관리자의 설계 및 구현)

  • 김종현;김명근;김성희;배해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04b
    • /
    • pp.235-237
    • /
    • 2001
  • 기존의 대용량 멀티미디어 데이터와는 달리 다양한 크기와 접근 패턴을 가지는 공간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저장 관리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공간 데이터의 특성을 고려한 공간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을 위해서는 공간데이터를 저장 관리하기 위한 저장관리자의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공간데이터의 특성을 고려하여 효율적으로 저장 관리하기 위한 공간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의 저장관리자인 KORED/StormNT를 제안한다. KORED/StormNT에서는 다양한 크기를 가지는 공간데이터의 특성을 고려하여 디스크 입출력 비용을 최소로 줄일 수 있는 공간데이터 저장기법을 사용하였으며, 공간데이터의 크기에 따른 회복기법을 사용하여 회복비용을 최소화하였다. 또한, 공간죠인(Spatial Join) 연산을 효율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별도의 테이블을 이용한 기법을 사용한다.

  • PDF

GML 응용스키마를 이용한 공간데이터베이스 스키마 모델링

  • 정호영;이민우;전우제;박수홍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3.11a
    • /
    • pp.30-39
    • /
    • 2003
  • GML 데이터는 공간 및 비공간 정보를 동시에 갖는 GIS 데이터의 특징과 구조적(structured)인 XML 데이터의 성격을 함께 가지고 있어 일반적인 DBMS에 저장되기 힘들다. XML 저장이 가능한 데이터베이스는 공간데이터 처리 능력이 부족하고, 공간데이터베이스는 XML 데이터를 저장하기 어렵다. 본 연구는 GML 데이터가 공간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도록 GML 응용스키마로부터 공간데이터베이스 스키마를 모델링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하여 객체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특징인 복합 애트리뷰트(composite attribute)와 추상데이터타입(ADT)을 이용한 GML 스키마의 맵핑 규칙을 정하였다. 맵핑 규칙은 OGC SQL 스키마에 적합하도록 GML 데이터의 공간 정보와 비공간 정보를 분리하여 저장시킨다. 따라서 저장된 데이터는 공간데이터베이스가 제공하는 공간 연산자/함수 및 인덱스를 통하여 다양한 공간/비공간 질의가 빠르게 수행될 수 있다.

  • PDF

Design and Performance Analysis of Storage Schema for Efficient Storing of GML Documents (효율적인 GML 문서 저장을 위한 저장 스키마의 설계 및 성능평가)

  • Chang, Jae-Woo;Wang, Tae-Woong;Lee, Hyun-Jo
    •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ystem Society
    • /
    • v.9 no.2
    • /
    • pp.35-53
    • /
    • 2007
  • GML is a mark-up language which is suggested by OGC(Open GIS Consortium) for use of encoding standard concerning with storing and transferring Geographic information. For general spatial network database, researches supporting GML documents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 parsing, storing, and retrieval of GML documents. Among them, the 'Storing of GML document' is essential for efficient GML document retrieval. However, There is little research on schema for storing GML documents. In addition, the existing schema for storing XML documents can't be used for GML documents due to geographic information. Therefore, In this paper, we propose efficient schema for storing GML documents In addition, we do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 GML schema.

  • PDF

A Study on the Comparison of Storage Sharing Schemes in Queueing System with Finite Capacity Buffer (유한 용량의 버퍼를 가지는 대기행렬에서의 저장공간 공유방안 비교에 관한 연구)

  • Kwon Soo-Tae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Industrial and Systems Engineering
    • /
    • v.27 no.4
    • /
    • pp.15-22
    • /
    • 2004
  • 본 논문의 목적은 유한 저장공간을 가지는 대기행렬 시스템에서 완전공유(Complete Sharing), 완전분할(Complete Partitioning), 최소할당공유(Sharing with Minimum Allocation)와 같은 다양한 저장공간 공유방안들을 비교ㆍ분석하는 것으로, 이를 위하여 먼저 각각의 공유방안에서의 대기행렬 안정상태확률을 효율적으로 구할 수 있는 방법이 제시되었다. 다음으로 각각의 저장공간 공유방안을 특징짓는데 필요한 몇 가지 성질들이 규명되었으며, 이를 토대로 각각의 저장공간 공유방안에 대하여 시스템 성능척도인 생산률들을 도출하는 한편, 이들의 대소관계를 파악하고, 수치실험을 통하여 이를 입증하였다.

GMS: Spatial Database Management System (GMS: 공간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 박상근;박순영;정원일;김명근;배해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3.04a
    • /
    • pp.217-224
    • /
    • 2003
  • 전통적인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서 관리되고 있는 일반적인 데이터가 아닌 점, 선, 다각형 등의 다양한 공간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해서는 확장된 형태의 공간데이터 타입 및 대용량성과 다양한 접근 패턴을 지니는 공간데이터의 특성을 고려한 새로운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공간데이터의 특성을 고려한 저장 기법과 공간질의 처리기법을 제공하는 공간 데이터베1이스 관리 시스템인 GMS를 제안한다. GMS는 다양한 크기를 지니는 공간데이터의 특성을 고려하여 공간/비공간 통합 저장관리 및 BLOB 데이터 저장기법을 제공하며, 저장된 공간/비공간 데이터에 대한 다양한 색인기법을 제공하고 있다. 그밖에 공간 연산 및 복잡한 질의처리를 위해 확장된 질의 최적화 및 질의처리 기법을 제공하며, 다중 사용자를 위한 확장된 동시성 제어 기법과 공간/비공간 데이터에 대한 서로 다른 회복 기법을 제공한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Spatial Repository for GIS WEB Map Server (GIS WEB 맵 서버를 위한 공간 저장소 설계 및 구현)

  • Ahn, Ki-Ho;Lee, Jin-Kyu;Park, In-Ha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9.04a
    • /
    • pp.287-288
    • /
    • 2009
  • GIS WEB 맵 서버는 다중 사용자 환경에서 신속한 요구 처리와 다양한 서비스를 수행해야 하며, 특히 맵 화면 표출 요구에 대한 신속한 처리 여부가 주요한 관건이 된다. 그러나 WEB 환경 하에서 기존의 공간 DBMS나 공간 파일시스템을 기반으로 대용량의 공간 데이터를 처리하기에는 만족할 만한 성능을 보장할 수가 없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GIS WEB 맵 서버만을 위해 특화된 공간 저장소 형식이 필요하며, 이러한 공간 저장소는 임의의 맵 영역 데이터를 신속하게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공간 데이터를 영역별로 관리하는 계층적 형태의 공간 저장소(가칭 'SB-저장소') 구조를 제시하여, 신속한 맵 화면 처리가 요구되는 GIS WEB 서버에 효율적인 맵 데이터 서비스 또는 맵 이미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 PDF

Design of UPnP-based Ubiquitous Virtual Storage (UPnP 기반 유비쿼터스 가상저장공간 설계)

  • Kang Bo-Young;Nam Young-Jin;Kim Sung-Ryeul;Seo Dae-Wha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6.05a
    • /
    • pp.1191-1194
    • /
    • 2006
  • 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다양한 컨버전스 제품들이 출시되고 있으며 컨텐츠의 디지털화가 가속화됨에 따라 대용량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편리하게 분산 저장 관리 및 공유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요구 사항을 반영한UPnP를 이용한 유비쿼터스 가상저장공간에 대해 설계 및 구현한다. UPnP를 이용한 유비쿼터스 가상저장공간은 유비쿼터스 기술을 기반으로 정보가전기기 내에 존재하는 저장장치를 UPnP를 이용하여 하나의 큰 가상저장공간을 구축하고, 가상저장공간 내에 멀티미디어 파일을 힌트정보와 함께 저장함으로써 대용량의 멀티미디어 파일을 보다 지능적으로 탐색할 수 있는 기법을 제공한다.

  • PDF

The Development of u-GIS Spatial Database Management System (u-GIS 공간 데이터베이스 관리시스템 개발)

  • Min, Kyoung-Wook;Kim, Ju-W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9.04a
    • /
    • pp.215-217
    • /
    • 2009
  • u-GIS는 기존 정적인 공간데이터와 동적인 GeoSensor 데이터를 융합하여 처리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기존 정적인 공간 데이터는 주로 2차원 공간 데이터였으며 최근 유비쿼터스 환경에서는 이를 확장한 3차원 공간 데이터 및 다차원 시공간 데이터의 요구가 급증하고 있다. 최근 국가 차원에서 3차원 공간 데이터를 구축하고 있으며 DBMS가 아닌 파일 단위로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고 있다. 이 경우, 데이터의 중복 저장, 표준 인터페이스의 부재, 서버 중심의 데이터 제공의 어려움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3차원 공간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저장 관리하기 위하여 3차원 공간 DBMS를 연구 개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