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저온조건

Search Result 1,344,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Low Temperature Deposition of ITO Film Using Magnetron Sputtering (스퍼터링에 의한 ITO 박막의 저온 증착 및 측정)

  • Jang, Seung-Hyeon;Lee, Yeong-Min;Yang, Ji-Hun;Jeong, Jae-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9.05a
    • /
    • pp.172-172
    • /
    • 2009
  • 전자부품 소재의 경량화 및 연성화 경향에 따라 고분자 소재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각종 디스플레이 소자의 투명 도전막으로 사용되는 ITO(Indium-tin Oxide) 피막의 저온 박막 성장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PET 기판의 전처리 및 후처리 조건에 따라 저온에서 ITO 피막을 제조하고 전처리 및 후처리 조건이 ITO 피막의 면저항 및 투과율 그리고 결정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 PDF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Germination Conditions of Seeds in Chamaedaphne calyculata (진퍼리꽃나무(Chamaedaphne calyculata) 종자의 형태적 특성 및 발아 조건)

  • Seung Ju Jo;Young Min Choi;Jung Won Sung;Jung Won Yoon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3.04a
    • /
    • pp.24-24
    • /
    • 2023
  • 본 실험은 한반도 극지 고산식물인 진퍼리꽃나무[Chamaedaphne calyculata (L.) Moench] 종자의 형태적 특성을 조사하고 변온조건과 저온처리 및 GA3 처리가 발아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진퍼리꽃나무 종자는 국립수목원 전시원에서 채종 후 4℃에 저온건조 저장하였으며 전자현미경(DVM6, Leica Microsystems GmbH, Wetzlar, Germany)을 이용하여 종자와 배의 길이를 측정하였다. 2022년 3월에 growth chamber 내에서 32일간 15/6℃, 25/15℃ 변온조건하에 배양하였으며, 저온층적처리(0, 40일) 및 GA3 처리(0/500/1,000mg·L-1) 처리에 따른 발아 특성을 구명하였다. 진퍼리꽃나무 종자의 최종발아율(FGP)은 25/15℃ GA3 1000mg·L-1 처리에서 42.2%로 가장 높게 조사되었다. 평균발아일수(MGT)는 15/6℃ 저온층적 처리에서 22.3일로 가장 높았으며, 대부분 15/6℃ 변온조건에서 25/15℃ 변온조건보다 6∼8일 높았다. 최종발아일의 평균은 약 12일로 확인되었다. 저온 층적처리 결과, 최종발아율(FGP)은 온도조건 25/15℃, 15/6℃에서 각각 32.2%와 11.1%를 보여 무처리구에서 조사된 24.4%와 10.0%보다 각각 7.8%, 1.1% 높게 나타났다. 호르몬처리 결과, 동일한 발아조건에서 GA3 500mg·L-1 처리보다 1000mg·L-1 처리에서 더 높은 발아율을 보였다. GA3 1000mg·L-1 처리에서의 최종발아율(FGP)DKSH은 25/15℃, 15/6℃ 각각 42.2%와 30.0%를 보여 무처리구 보다 각각 17.8%, 20% 높게 나타났다.

  • PDF

Physiology of Forage Crops (사료작물 생리)

  • 이호진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and Forage Science
    • /
    • v.12 no.3
    • /
    • pp.70-73
    • /
    • 1992
  • 사료작물 저온발아성(低溫發芽性)은 수수 $\times$ 수단그라스잡종들이 좋았고 옥수수와 수단그라스는 비교적 저조하였고 PGE에 종자침지처리가 이탈리안라이그라스의 저온발아에 효과적이었다. 간척지의 수수파종시 염해 방지에는 모래를 파종후 피복하여 제염(除鹽) 효과를 얻을수 있었다. 수수류의 토양수분조건에 대한 광합성 연구는 포장용수량의 $60\sim80%$의 조건에서 광합성이 가장 왕성하였고 건물수량도 동일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옥수수의 광이용과 초형과의 관계연구는 이삭상부 엽각의 직립화는 밀식 조건에서 광이용성이 증가되었고 건물 및 종실수량에서 종수가 있었다. 또 밀식화에 따라 직립화 경향이 현저하였으며 옥수수의 다수성초형의 육성이 요청되었다. 질소시비에 대한 청예류의 생장 반응 연구들은 수단그라스에서 10a당 40Kg까지는 건물수량생산을 증가시켰으나 80Kg/10a 사용시는 질산태질소함량이 중독위험치를 초과하였다. 이러한 질산태질소의 중독위험은 6엽기까지 존재하였고 청산중독의 위험농도는 4엽기 이전까지, 또 18/$8^{\circ}C$의 저온조건에서 나타났다. 옥수수의 적정재식 밀도는 10a당 16.600본까지 밀식할수록 증가되었으나 가소화수량과 종실수량은 5.500본과 10Kg/10a 에서 최고치를 나타내었고 질소 추비 효과는 대관령 같은 고산지대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맥류의 총체(總體)사료 이용성은 호밀, 밀, 보리 순(順)으로 저하하였고 파종시기가 빠를수록 월동성이 향상되었으며 수확적기는 출수후 24일경이었다. 호밀의 청예이용에는 월동후 2회예취와 12cm높이가 건물수량과 TDN수량을 높힐 수 있었다. 수수$\times$ 수단잡종의 출수기 이전 예취는 고사 경비율을 줄일 수 있었고 년 2회 예취와 예취높이 10cm가 가장 좋았다. 유채는 생육기간이 길어질수록 수량은 증가하였고 소화율의 감소도 현저하지 않았다.

  • PDF

Comparative analysis of internal parameters of battery equivalent circuit model considering room temperature and low temperature conditions (상온 및 저온 조건을 고려한 배터리 등가회로 모델 내부 파라미터 비교 분석)

  • Kim, Yongsoon;Park, Jinhyeong;Jang, Sung-Soo;Kim, Jonghoon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8.07a
    • /
    • pp.462-463
    • /
    • 2018
  • 본 논문에서는 환경조건에 따른 18650 고용량 원통형 배터리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상온 및 저온에서 전기적 특성 실험을 실시하였다. 배터리 등가회로 모델을 기반으로 온도조건에 따라 내부 파라미터를 비교 및 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해 배터리의 특성 변화를 나타내었다.

  • PDF

열교환기의 가용 에너지 최대전달 조건

  • 정평석;김창욱;김효경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 /
    • v.14 no.4
    • /
    • pp.907-911
    • /
    • 1990
  • 본 연구에서는 비열이 일정하고 초기온도가 주어진 열원으로부터, 일정한 열 전달 용량의 열교환기를 사용하여 최대의 에너지를 전달시키기 위한 조건을 구해 보기 로 한다. 즉, 저온유동은 고온의 열원유동과 대항류로서 열교환하며 위치에 따라 저 온유체의 온도가 가역 단열압축 또는 팽창에 의하여 임의로 조절될 수 있는 일반적인 경우에 대하여, 저온유체가 최대의 가용 에너지를 흡수하기 위한 온도분포를 변분법 문제로서 해석하고 그에 다른 부수조건들을 검토하고자 한다.

Effect of Roasting Condition and Cold-pressed Flaxseed (Linum usitatissimum L.) oil on Fatty Acid Composition and Volatile Compound (볶음조건과 저온압착이 아마씨유(Linum usitatissimum L.)의 지방산 조성 및 휘발성 성분에 미치는 영향)

  • Won, Sae Bom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 /
    • v.10 no.11
    • /
    • pp.177-184
    • /
    • 2020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ld-pressed flaxseed oil through the roasting temperature (unroasted and roasted at 150℃ and 200℃) and time (10 and 20 min) on the chemical changes. Cold-pressed flaxseed oil extraction yield was calculated with respect to the roasted process and total phenolic content, fatty acid composition, and volatile compound were analyzed. The extraction yield was increased in the roasted oil compared to the unroasted oil. Total phenolic conten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oil from the roasted at 150℃ for 20 min compared to other roasting condition. Fatty acid composition was not affected by the extraction process. The content of aldehyde, ketone, furan, and pyrazine was higher than in the roasted at 200℃ compared to the unroasted and roasted at 150℃. These findings suggest that cold-pressed flaxseed oil extracted from the roasted at 150℃ for 20 min may be considered acceptable for safe extraction process.

Effect of Oxygen and Temperature Levels on the Seedling Characteristics of Korean and Anaerobic Germination-tolerant Rice under Flooding Conditions (담수 직파에서 산소 및 온도조건에 따른 혐기발아 내성 자원과 국내 직파 적응성 벼 품종의 입모특성 비교)

  • Jeong, Jong-Min;Kim, Jinhee;Mo, Youngjun;Ha, Su-Kyung;Kim, Woo-Jae;Kim, Bo-Kyeong;Jeung, Ji-Ung
    •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
    • v.64 no.4
    • /
    • pp.287-298
    • /
    • 2019
  •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compare the germination and seedling characteristics of rice varieties grown under various flooding conditions and different temperature and oxygen levels and to identify germplasm suitable for wet direct seeding. Three anaerobic germination tolerant (AGT) genotypes (PBR, WD3, KHO) and eleven Korean rice varieties (KVs) adapted for direct seeding were evaluated for seedling performance under different temperatures (15, 18, 21, and 24℃ ) and oxygen levels (Low, Normal, High). Compared with the KVs, the AGT genotypes (especially KHO and PBR) exhibited relatively high germination and survival rates and coleoptile and radical growth rates under low temperature and low oxygen conditions, thereby indicating their suitability for wet direct seeding. Among the KVs, 'Dongan,' 'Jungan,' and 'Cheongdam' rice exhibited the highest survival rates under low temperature and low oxygen conditions. Three-way ANOVA indicated that temperature had the greater effects on seedling characteristics (43.2-78.0%) than either oxygen level (15.4-37.5%) or genotype (2.0-29.8%) did. Therefore, in direct seeding cultivation, temperature was the most important environmental factor for seedling establishment.

저궤도위성 발사시 저온조건에 대한 열해석

  • 현범석;김희경;최준민
    • Bulletin of the Korean Space Science Society
    • /
    • 2003.10a
    • /
    • pp.72-72
    • /
    • 2003
  • 위성체 열설계의 기본 목적은 가혹한 우주 열환경 하에서 위성체를 보호하며, 위성이 임무를 보호하며, 위성이 임무를 수행하는 동안에 어떠한 우주 열환경 하에서도 모든 위성 부품이 허용되는 온도 내에서 작동하도록 하는 것이다. 발사시 열해석은 궤도상에서의 열해석과 달리 초기 조건인 발사시간을 기준으로 열해석을 수행하게 된다. 열해석에서는 위성체가 발사체에 탑재되기까지의 과정과 발사 후에 발사체와 분리되는 시점까지 고려하게 된다. 위성체의 형상은 태양전지판이 접혀있으며, 배터리만이 위성체에 전력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발사시에 전력소비량을 감소시키는 유일한 방법은 히터소비량을 줄이는 것이며, 이 점에서 발사시 열해석이 중요해진다. 본 연구에서는 저궤도 위성 발사시에 최대 히터소비량을 예측하기 위하여 저온 조건을 가정하고 열모델을 작성하고 열해석을 수행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Reaction Characteristics of Desulfurization and Denitrification in Non-Thermal Plasma Conditions (저온 플라즈마 조건에서 탈황.탈질 반응 특성 연구)

  • 신대현;우제경;김상국;백현창;박영성;조정국
    •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 /
    • v.8 no.1
    • /
    • pp.150-158
    • /
    • 1999
  • 본 연구는 저온플라즈마를 이용하여 배기가스중의 SOx와 NOx를 동시에 처리하는 공정을 개발하는 것으로서, 최적의 반응제 선정과 효율적인 공정의 구성을 위해 SOx, NOx와 반응제와 반응기구를 밝히고자 하였다. 실험은 1.0 N㎥/h의 모사가스를 이용한 기초실험과 20 N㎥/h의 실제 연소가스를 이용한 실험으로 진행되었으며, 반응제로는 NH3와 파리핀계 및 올레핀계 탄화수소를 사용하였다. NH3를 반응제로 한 SO2 제거반응은 비플라즈마 조건에서는 NH4HSO3, 플라즈마 조건에서는 (NH4)2SO4의 생성반응이었고, 두 조건 모두 높은 제거율을 나타냈다. 반응제를 사용하지 않은 플라즈마 조건에서 SO2는 환원반응이 일어나고 O2 농도의 증가는 역반응을 증가시키는 화학평형에 의해 SO2의 제거율이 감소되었다. 플라즈마 조건에서 NO는 O2농도가 낮은 경우는 NO의 환원반응이 주로 일어나고, O2 농도가 높을 경우는 산화반응이 지배적이었다. 올레핀계 탄화수소는 플라즈마 조건에서 NO 산화 반응에 탁월한 효과를 보였을 뿐만 아니라 SO2 제거에도 효과를 보여 최대 40%의 제거율을 나타냈으며, NH3의 사용을 줄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