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저속충격특성

검색결과 68건 처리시간 0.031초

탄소/에폭시 복합재 적층판과 강판의 저속충격 거동에 관한 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y on Low-velocity Impact Behavior of Graphite/Epoxy Composite laminate and Steel Plate)

  • 공창덕;김영광;이승현
    • Composites Research
    • /
    • 제20권5호
    • /
    • pp.1-6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탄소/에폭시 복합재 적층판과 강철평판의 저속충격 거동에 관한 비교 연구를 수행하였다. 각각의 평판의 해석을 위한 판의 충격거동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Karas 모델을 사용하여 해석 검증을 하였다. 충격거동 비교연구를 위한 모델은 Karas 모델과 동일한 두께의 강철평판을 모사하였고, 같은 두께의 복합재 적층판을 모사하기 위하여 $[0/90/45/-45/-45/45/90/0]_{8S}$ 적층각을 이용하여 모델링 하였다. 각각의 판에 대한 저속충격 거동을 비교하기 위해 일정한 속도로 낙하하는 충격체 무게별 해석과 일정한 무게를 가진 충격체의 속도변화에 따른 해석 결과를 비교 연구하였다. 연구결과 복합재 적층판과 강철평판의 물성치로 인하여 접촉하중과 판의 변위에서는 결과값의 차이를 보였으나 복합재 적층판의 경우가 판의 유연한 특성으로 충격완화 효과가 보였으며 강철평판 보다 무게비와 충격손상에 대한 우수성을 확인하여 볼 수 있었다.

압전필름센서를 이용한 복합재 샌드위치 보의 저속충격 모니터링 (Low Velocity Impact Monitoring for a Composite Sandwich Beam Using Piezo Thin Film Sensors)

  • 박찬익;이관호;김인걸;이영신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51-56
    • /
    • 2003
  • 압전필름센서는 우수한 동적 감지 특성을 갖고 있어 복합재 구조의 저속충격을 모니터링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복합재 샌드위치 보에 대한 충격응답함수를 유도하였으며, 이를 충격시험와 비교하였따. 충격시험은 손상이 발생하지 않는 저에너지 조건에서 계측장치가 부착된 낙하식 충격시험기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충격하중에 으한 샌드위치보의 거동을 예측하는 정방향 문제와 압전필름센서 신호로부터 충격력을 복원하는 역방향 문제에서 시험과 해석의 결과는 잘 일치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압전필름센서를 이용한 복합재 샌드위치 구조의 저속충격 모니터링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CFRP 복합재압력용기의 충격후 잔류강도저하특성 평가 (Evaluation of the Residual Strength of CFRP Composite Pressure Vessel After Low Velocity Impact)

  • 박재범;김동륜;황태경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09년도 제33회 추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439-442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CFRP 복합재 압력용기의 저속충격후 잔류강도 저하량의 정량적인 연구 결과에 대해 논한다. 낙하식 충격시험을 이용하여 복합재 압력용기에 다양한 충격에너지별 충격하중을 가한 후, 압력용기를 원환시험편으로 가공하여, 각 시험편의 원주방향 파열압력이 측정되었다. 또한, 유한요소모델을 구축하여 충격에너지별 변형거동과 응력분포에 대해서도 고찰하였다. 본 연구결과 저속 충격후 CFRP 복합재 압력용기의 잔류강도 저하량을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실험기법이 개발되었다.

  • PDF

주기패턴 레이더 흡수 구조의 저속충격 후 흡수 성능 평가 (Evaluation of the Absorbing Performance of Radar-absorbing Structure with Periodic Pattern after the Low-velocity Impact)

  • 신준형;곽병수
    • Composites Research
    • /
    • 제35권6호
    • /
    • pp.469-476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주기패턴 레이더 흡수 구조(RAS)에 다양한 손상을 모사하기 위한 저속충격시험을 수행하고 파손모드에 따른 전자기파 흡수 성능 특성 변화를 평가하였다. 주기패턴 레이더 흡수 구조는 주기패턴시트(PPS) 및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GFRP)으로 구성되며 설계 및 제작된 구조는 X-band(8.2-12.4 GHz)에서 효과적으로 전자기파를 흡수하였다. 제작된 레이더 흡수 구조에 다양한 손상을 유도하기 위해 충격에너지에 따른 저속충격시험을 수행하였으며, 육안검사, 비파괴 검사 및 이미지 프로세싱을 이용하여 발생한 손상모드 확인 및 손상영역을 정량화하였다. 충격 전, 후 레이더 흡수 구조의 전자기파 흡수 성능은 자유공간 측정 시스템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시험결과, 15 J의 낮은 충격에너지로 인해 발생한 크기가 작은 층간분리는 레이더 흡수 구조의 전자기파 흡수성능 변화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그러나 충격에너지를 40 J 또는 60 J로 증가시켜 상대적으로 넓은 영역의 섬유파손 또는 관통파손이 발생한 구조에서는 전자기파 흡수 성능이 크게 저하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난연성 복합적층재의 저속충격특성 (Low velocity Impact Characteristics of Non-flamable Composite Laminates)

  • 김재훈;김후식;조정미;박병준
    • 한국복합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복합재료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79-182
    • /
    • 2001
  • Impacter tester was build of to evaluate the characterization of non-flamable Glass/phenol laminate plates under the low velocity impact. The damage of composite laminates are matrix cracking, delamination, and fiber breakage for impact energy. In this study, this is to find impact properties of Glass/phenol in used in a forehead part of lighting subway. To determine impact damage characteristics which is made in a laminate, use the UT C-scan after- macrography. And then evaluated the reduction of strength in a rate of impact energy with CAI(Compression After Impact) test

  • PDF

저속충격에 의해 발생한 복합적층판 음향방출신호의 웨이블릿 분해 특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Wavelet Decomposed Details of Low-Velocity Impact Induced AE Signals in Composite Laminaes)

  • 방형준;김천곤
    • 비파괴검사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308-315
    • /
    • 2009
  • 구조물 손상시 방출되는 고주파 음향방출(AE)신호는 실시간 손상 감지에 유리하므로 지능형 구조물의 구조건전성 모니터 링에 널리 응용되고 있다. 하지만 복합 적층 구조물에서 방출되는 AE신호의 경우에는 복합재 구조의 특성상 전달 경로에 따른 신호의 감쇄정도가 일반 금속 구조물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므로 손상 전후 신호진폭의 크기만을 비교하여 손상을 예측하는 방법은 손상 판단에 오류를 야기할 수 있는 여지가 있다. 따라서 복합적층 구조에서의 정확한 충격손상 예측을 위해서는 신호감쇄의 영향을 덜 받는 신호의 분석 방법이 필요하고 손상 전후 신호특성을 정량적으로 구분할 수 여는 인자의 선택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구조물의 경계조건에 따른 신호특성 변화의 영향을 줄이기 위해 충격손상 발생후 선행적으로 전파되는 선행파(leading wave)의 특성변화를 신호처리에 이용하였으며, 웨이블릿 변환을 이용하여 신호를 분해하였다. 최종적으로 복합적층판의 저속충격 시험에서 압전 센서로 취득된 충간분리 신호를 처리하였으며, 분해된 웨이블릿 고주파 세부성분 사이의 점유율 분포를 이용하여 복합적층판의 손상을 판단하기 위한 신호처리 방법을 제시하였다.

충격위치와 심재적층각도에 따른 하니컴 샌드위치 패널의 저속충격 특성 연구 (A Study on Low-Velocity Impact Characterization of Honeycomb Sandwich Panels According to the Changes of Impact Location and Core Fabrication Angles)

  • 전광우;신광복;고희영;김대환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3권1호
    • /
    • pp.64-71
    • /
    • 2009
  • In this paper, a study on low-velocity impact response of honeycomb sandwich panels was done for the changes of impact location and core fabrication angles. The test specimens were made of glass/epoxy laminate facesheet and aluminum honeycomb core. Square samples of 100mm and 100mm sides were subjected under low-velocity impact loading using instrumented testing machine at three energy levels. Impact parameters like maximum force, time to maximum force, deflection at maximum force and absorbed energy were evaluated and compared for the changes of impact location and core fabrication angle. The impact damage size were measured at facesheet surface by 3-Dimensional scanner. Also, sandwich specimens after impact test were cut to analyse the failure mode.

강체 충격자가 납 표적에 충돌할 때의 침투특성 연구 (A Study on the Penetration Characteristics of the Rigid Impactor into the Lead Target)

  • 이영신;강근희;최병두;박관진;정수경;오종수
    • 전산구조공학
    • /
    • 제11권4호
    • /
    • pp.147-154
    • /
    • 1998
  • 강체 충격자가 납 표적에 33m/s ∼ 141m/s의 속도로 충돌할 때의 침투특성을 연구하기 위하여 Jognson 이론식을 이용한 이론해석과 AUTODYN 코드를 이용한 수치해석 및 실험장치를 이용한 실험측정을 실시하고 그 결과들을 비교 분석하였다. 실험장치로는 가스압력식 발사장치를 설계 제작하였으며, 실험용 충격자로는 충돌부위 형상이 반구형인 반구형 충격자와 원추형인 원추형 충격자 2종류를 사용하였다. 또한, 납재료에 대한 동적 유동응력을 얻기 위하여 홉킨스 압력봉실험을 수행하였다. 침투특성에 관한 연구결과, 이론적 해석결과는 저속 충돌범위(반구형 충격자 : 53m/s, 원추형 충격자 ; 73m/s)에서 실험결과치와 93%이상 잘 일치하였으며, 수치해석결과는 전체적인 충돌속도 범위에서 반구형 충격자인 경우 73%이상, 원추형 충격자인 경우 86%이상 일치하였다.

  • PDF

적층방법에 따른 복합적층판의 저속충격거동 조사 (Investigation of Low Velocity Impact Behavior of Laminated Composite Plates Considering the Stacking Method)

  • 김승덕;권숙준
    • 한국공간구조학회논문집
    • /
    • 제10권4호
    • /
    • pp.75-83
    • /
    • 2010
  • 복합적층판은 다른 금속재료에 비해 높은 비강도, 비강성 등의 우수한 역학적 특성을 지니므로, 최근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복합적층판은 충격에 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그리하여 복합적층판의 충격거동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충격거동을 조사하기 위해서는 우선 충격체와 복합적층판사이의 접촉력을 계산하여야 한다. 접촉력을 알기 위해서는 운동방정식, 복합적층판의 운동방정식 그리고 압입량에 관한 관계식을 동시에 풀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고전적인 헤르츠식, 썬식, 썬&양식 그리고 썬&탄식을 포함한 유한요소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복합적층판의 저속충격거동을 조사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