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저소득

Search Result 410,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Determinants of FDI in Developing Countries : comparative analysis of Asia, Africa and Latin America (개발도상국의 외국인 직접투자 결정요인 분석 : 아시아·아프리카·남미 비교)

  • Chinzorigt, Narantsetseg;Choi, Chang-Hwan
    • Korea Trade Review
    • /
    • v.41 no.4
    • /
    • pp.1-19
    • /
    • 2016
  • This paper analyzed what determines affected FDI inflow of developing countries by using panel data from 65 lower-middle income and low income countries(Asia, Africa and Latin America). Empirical results showed that economic growth has a more positive impact on a middle income country than a lower one, and has a better impact on the Asian continent than others. Trade has similar effect on lower and middle income countries, respectively. ODA, however, has a negative effect on both sides, regardless of the continent. Industrial value added rate and labor force have a positive effect on FDI in low and middle income countries. Infrastructure was found to be a significant impact on FDI inflows in lower-middle income countries than in low income countries. There is no geograph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except Africa.

  • PDF

The Multimediating Effect of Health Status and Neighborhood Relationships on the Effect of Social Security Benefit Levels on Depression in Low-income Recipient Elderly (저소득 수급노인의 사회보장급여 수준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건강상태와 이웃관계의 다중매개효과)

  • Lee, Hyoung-Ha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1.07a
    • /
    • pp.375-376
    • /
    • 2021
  • 본 연구는 G광역시 영구임대아파트에 거주하는 저소득 수급노인조사(2019년) 데이터를 활용하여 저소득 노인의 사회보장급여 수준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건강상태와 이웃관계가 보호효과로 작용하는지에 대한 다중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 PDF

Relationship between Latent Classes of Socioeconomic Status and Self-Esteem among Elderly Living Alone (사회경제적 지위 잠재유형이 독거노인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 Kwag, Kyung Hwa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6 no.1
    • /
    • pp.1-12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latent classes of socioeconomic status and to explore whether those of socioeconomic status influenced self-esteem among elderly living alone. From the data of 2009 National Elder Abuse Investigation, 1,333 older adults who were over 65 years and living alone were analyzed. Latent class analysis, one-way ANOVA,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o test the purpose of this study. Results of this study found 5 latent classes of socioeconomic status, named as high education-low income group, low education-low income group, middle education-low income group, high education-high income group, and low education-high income group. Nex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lf-esteem depending on 5 latent classes of socioeconomic status. Finally, compared to low education-low income group, high education-low income group, middle education-low income group, high education-high income group, and low education-high income group showed higher levels of self-esteem, even after adjusting for confounding factors. Findings from this study suggested fundamental characteristics and public policy for elderly living alone.

Relations between Older People's Transfer incomes and Life Satisfaction (노인의 이전소득과 삶의 만족도 관계)

  • Lee, Hyoung Ha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8.07a
    • /
    • pp.238-241
    • /
    • 2018
  • 본 연구는 한국복지패널 제11차 데이터를 활용하여 노인의 삶의 만족도와 이전소득(공적이전, 사적이전 소득)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시도되었다. 분석결과, 일반가구 노인의 경우 공적이전 소득이 삶의 만족도에 유의미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저소득가구 노인의 경우 사적이전 소득이 삶의 만족도에 유의미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일반가구 노인의 경우 공적이전 소득이 1,019.2만원(월평균 84.9만원)으로 공적이전 소득이 소득안정화 효과로 나타나 삶의 만족도를 높이는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그러나 저소득가구 노인의 경우 일반가구 노인의 공적이전 소득의 절반 수준인 508.5만원(월평균 42.4만원)으로 나타났다. 이는 저소득가구 노인의 경우 비록 "마음이 편하지 않는" 소득원천인 사적이전 소득이 불안정한 소득안정화 부족분을 채워주어 삶의 만족도를 높이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 PDF

A Study on Life Satisfaction of Low-Income Elderly People who Living Alone (저소득 독거노인의 삶의 만족에 관한 연구)

  • Cho, Sung-Hui;Lee, Hwa-Young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6 no.12
    • /
    • pp.8957-8965
    • /
    • 2015
  • The degree of difficulty in low-income elderly people who living alone' life satisfaction is increased. The aim of this study is to find factors affecting the low-income elderly people who living alone' life satisfaction by examining the comparative influence of loneliness, family support, social support. For achieving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zed data of 300 low-income elderly people who living alone in Gyeonggi province. Findings of the study identified that the factors affecting the life satisfaction were health status, loneliness, family support, social support. Further, family support and social support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low-income elderly people who living alone' life satisfaction even after controlling the influences of other factors. On the basis of the results, practical suggestions to increase the life satisfaction of low-income elderly people who living alone were discussed.

한국과 미국의 집권정당 정책과 계층별 소득분포 연구 - 요한슨 공적분 검정 -

  • Kim, Jong-Gwon
    • Proceedings of the Safety Management and Science Conference
    • /
    • 2008.04a
    • /
    • pp.301-314
    • /
    • 2008
  • 미국 센서스 뷰로 데이터에 의하여 2차대전 후 민주당정부와 공화당정부의 실질 세전 소득증가율의 차이를 살펴볼 때 민주당정부 기간동안에 계층간의 소득불균형이 시정되면서 저소득계층의 소득증가율이 상대적으로 더 높았음을 알 수 있다. 반면에 공화당정부 기간동안에는 소득불균형이 심화되면서 저소득계층보다 고소득계층의 소득증가율이 더 높았다. 소득계층에서 하위 20%의 계층은 공화당정부의 기간동안에 비하여 민주당정부의 기간에 4배의 높은 소득증가율을 가졌다. 이는 양 정부별 실업률 차이에서 비롯되는 데 민주당정부의 기간 동안에 평균 30% 낮았으며 GDP성장률은 평균 30% 높았음에도 영향을 받은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정부별 차이는 1980년대 이후 세후 소득증가율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한편, 실증분석 결과에 따르면 한국의 경우 미국에서와 같이 저소득계층이 고소득계층 보다 거시경제정책에 따른 영향을 더 많이 받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특히 신정부에서는 이전보다 적극적인 통화정책을 적절한 타이밍(timing)으로 실시하여야 할 필요성이 나타났다.

  • PDF

집권정당 정책과 계층별 소득분포 실증분석 - Granger Causality 분석과 충격반응분석 -

  • Kim, Jong-Gwon
    • Proceedings of the Safety Management and Science Conference
    • /
    • 2008.04a
    • /
    • pp.315-331
    • /
    • 2008
  • 미국 센서스 뷰로 데이터에 의하여 2차대전 후 민주당정부와 공화당정부의 실질 세전 소득증가율의 차이를 살펴볼 때 민주당정부 기간동안에 계층간의 소득불균형이 시정되면서 저소득계층의 소득증가율이 상대적으로 더 높았음을 알 수 있다. 반면에 공화당정부 기간동안에는 소득불균형이 심화되면서 저소득계층보다 고소득계층의 소득증가율이 더 높았다. 소득계층에서 하위 20%의 계층은 공화당정부의 기간동안에 비하여 민주당정부의 기간에 4배의 높은 소득증가율을 가졌다. 이는 양 정부별 실업률 차이에서 비롯되는 데 민주당정부의 기간 동안에 평균 30% 낮았으며 GDP성장률은 평균 30% 높았음에도 영향을 받은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정부별 차이는 1980년대 이후 세후 소득증가율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한편, 실증분석 결과에 따르면 한국의 경우 미국에서와 같이 저소득계층이 고소득계층 보다 거시경제정책에 따른 영향을 더 많이 받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특히 신정부에서는 이전보다 적극적인 통화정책을 적절한 타이밍(timing)으로 실시하여야 할 필요성이 나타났다.

  • PDF

한국과 미국의 집권정당 정책과 층별 소득분포에 대한 소고(小考)

  • Kim, Jong-Gwon
    • Proceedings of the Safety Management and Science Conference
    • /
    • 2008.04a
    • /
    • pp.477-487
    • /
    • 2008
  • 미국 센서스 뷰로 데이터에 의하여 2차대전 후 민주당정부와 공화당정부의 실질 세전 소득증가율의 차이를 살펴볼 때 민주당정부 기간동안에 계층간의 소득불균형이 시정되면서 저소득계층의 소득증가율이 상대적으로 더 높았음을 알 수 있다. 반면에 공화당정부 기간동안에는 소득불균형이 심화되면서 저소득계층보다 고소득계층의 소득증가율이 더 높았다. 소득계층에서 하위 20%의 계층은 공화당정부의 기간동안에 비하여 민주당정부의 기간에 4배의 높은 소득증가율을 가졌다. 이는 양 정부별 실업률 차이에서 비롯되는 데 민주당정부의 기간 동안에 평균 30% 낮았으며 GDP성장률은 평균 30% 높았음에도 영향을 받은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정부별 차이는 1980년대 이후 세후 소득증가율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한편, 실증분석 결과에 따르면 한국의 경우 미국에서와 같이 저소득계층이 고소득계층 보다 거시경제정책에 따른 영향을 더 많이 받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특히 신정부에서는 이전보다 적극적인 통화정책을 적절한 타이밍(timing)으로 실시하여야 할 필요성이 나타났다.

  • PDF

A Phenomenological Study on Subjective Meaning of a Participant in Assets-building Program for Low-income Families (저소득 가구의 현금자산형성의 주관적 의미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Hong, Hyun Mee Ra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 /
    • v.41 no.4
    • /
    • pp.395-424
    • /
    • 2010
  • Using in depth interviews with phenomenological method, we explored subjective meaning of a participant assets-building program for low-income families. The research participants are 6 families who consisted of 30 low-income and low-wealth families in participating asset-building program. Findings indicate that we can find out a criteria of classify among low-income families. That are single mom family, single father family and grandparent family, and normal family. It could be useful to evaluate the policy of assets-building.

Factors affecting the Health Promotion Behaviors of the Low-Income Elderly Living Alone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저소득 독거노인의 건강증진행위에 관한 융합적 연구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Cho, Sung-Hui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3 no.12
    • /
    • pp.423-431
    • /
    • 2015
  •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in the influence of depression on the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low-income elderly living alone.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294 elderly recipients of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who are living alone and the data were analyzed by path analysis. The results were that depression and social support had direct effect on health promotion behaviors and depression had indirect effect on health promotion behaviors through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Results showed the importance of depression and social support in the health promotion behaviors of the low-income elderly living alone, which should be considered in the intervention. On the basis of the results, practical suggestions to increase the health promotion behaviors of the low-income elderly living alone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