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저분자화합물

검색결과 99건 처리시간 0.031초

암 치료 표적으로서 p53의 구조적 및 기능적 역할 (The Structural and Functional Role of p53 as a Cancer Therapeutic Target)

  • 한창우;박소영;정미숙;장세복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488-495
    • /
    • 2018
  • p53 유전자는 스트레스, DNA 손상, 저산소증 및 종양 발생에 대한 세포 반응의 전사 조절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최근에 발견된 다양한 종류의 p53의 생리 활성을 생각한다면 p53이 암 조절에 관여한다는 것은 놀랄만한 일이 아니다. 인간 암의 약 50%에는 p53 유전자의 돌연변이 또는 p53을 활성화시키는 기전의 결함을 통해 p53 단백질 기능의 불활성화가 나타난다. p53 기능의 이러한 장애는 p53 의존 반응으로부터 회피를 허용함으로써 종양의 진화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게 된다. 최근의 많은 연구들은 p53의 돌연변이를 대폭 감소시키거나 p53의 종양 억제 기능을 복원하기 위하여 선택적인 저분자 화합물을 동정함으로써 p53의 돌연변이를 직접 표적하는 것에 초점을 두고 있다. 이들 저분자는 좋은 약물과 유사한 특성을 유지하면서 다양한 상호작용을 효과적으로 조절해야 한다. 이 중, p53의 음성조절인자 핵심인 MDM2의 발견은 p53과 MDM2 간의 상호작용을 차단하는 새로운 저분자 억제제의 설계를 제공하였다. 저분자 화합물 중 일부는 개념 증명 연구에서 임상 시험으로 옮겨졌으며 향후 맞춤형 항암제가 추가될 전망이다. 본 리뷰에서는 야생형 p53과 돌연변이 p53의 구조적 및 기능적 중요성과 p53을 직접 표적하는 치료제 개발, p53과 MDM2 간의 상호작용을 억제하는 화합물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악취성 Carbonyl 화합물의 카트리지 채취 분석: 습도가 채취효율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relative humidity on the performance of DNPH-cartridge sampling for odorous aldehydes)

  • 이민희;김기현
    • 분석과학
    • /
    • 제25권1호
    • /
    • pp.50-59
    • /
    • 2012
  • DNPH 카트리지 방식으로 카보닐성분들을 채취할 때, 습도변화에 따른 채취효율의 특성을 체계적으로 진단하였다. 6개의 카보닐성분(formaldehyde (FA), acetaldehyde (AA), propionaldehyde (PA), butyraldehyde (BA), isovaleraldehyde (IA), valeraldehyde (VA))을 함유한 기체상 표준시료를 DNPH카트리지로 흡수 후 용출하여 HPLC/UV 검출기로 분석하였다. 이 결과를 비슷한 수준으로 조제한 액상 혼합표준용액의 검정 결과와 비교하였다. 액상 표준시료와 대비하였을 때, 상대적으로 저분자 성분(폼알데하이드, 아세트알데하이드)에 비해 고분자 성분(프로피온알데하이드 이상)들의 회수율이 낮게 나타났다. 습도변화에 따른 기체상 표준시료의 채취효율을 0-80% 상대습도 범위에서 비교한 결과, 20~80%에서 저분자량과 고분자량 카보닐화합물들 간에 채취효율의 차이가 유지되었다. FA와 AA와 같은 저분자량 카보닐화합물의 경우, 습도의 변화에 대해 미미한 변화를 보였다. 그러나 PA 이상의 성분들은 회수율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경향은 비교분석을 시도한 3개 제품에서 모두 유사한 경향을 보였으며, 고분자 카보닐화합물의 경우, 습도에 따른 회수율-변화를 적절히 보정할 필요가 있다.

능이버섯(Sarcodon aspratus)으로부터 분리한 저분자 화합물의 화학구조 (Chemical Structures of the Compounds Isolated from the Edible Mushroom Sarcodon aspratus)

  • 강희철;윤봉식;유승헌;유익동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3권4호
    • /
    • pp.298-302
    • /
    • 2000
  • 식용버섯 유래의 저분자 대사산물을 탐색하던 중 충남 계룡산 일대에서 채집한 능이버섯(Sarcodon aspratus)으로부터 7종의 화합물을 분리하였다. 능이버섯을 메탄올에 추출한 후 용매분획하여 그 중 화합물이 많이 함유된 chloroform층과 ethyl acetate층에 대하여 각각 silica gel 및 Sephadex LH-20 column chromatography를 수행하였다. 주요 대사산물을 함유하고 있는 분획물을 TLC 및 분취용 HPLC를 사용하여 최종적으로 정제하여 7종의 화합물을 분리하였다. 이들 화합물은 $^1H\;NMR$, mass 분석 및 문헌 data와 비교하여 각각 4-hydroxybenzoic acid methyl ester, 4-hydroxybenzaldehyde, cyclo(Ala-Pro), adenosine, nicotinamide, BL V, linoleic acid으로 동정되었다.

  • PDF

비흡착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다성분 VOCs의 탄소흡착제 흡착특성 (Adsorption Characteristics of Multi-component VOCs Including Poorly Adsorbable Chemicals on Activated Carbonaceous Adsorbents)

  • 우광재;김상도;이시훈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5권3호
    • /
    • pp.277-285
    • /
    • 2007
  • 실제 공정에서 사용빈도가 높은 비흡착성 화합물을 포함하고 있는 다성분계 가스상 휘발성유기화합물의 제거 및 회수의 최적설계 도출을 위하여 직경 10.2 cm ${\times}$ 높이 50 cm의 고정층 흡착탑에서 다성분계 휘발성유기화합물(toluene-xylene-MEK, toluene-MEK-IPA)의 탄소흡착제에 대한 흡착실험을 수행하였다. 탄소흡착제로는 펠렛형 입상활성탄과 활성탄소섬유를 사용하였으며, 흡착실험을 통하여 흡착파과곡선을 구할 수 있었으며 이로부터 흡착제별 흡착특성을 고찰하였다. 흡착제별 흡착성능은 활성탄소섬유, 활성탄소섬유 + 활성탄 조합흡착제, 활성탄 + 활성탄 조합흡착제, 단독 활성탄 순으로 나타났으며, 탄소흡착제에 대한 휘발성유기화합물의 흡착은 분자량이 크고 비극성인 화합물이 저분자량이면서 극성의 정도가 강한 화합물에 비하여 흡착성능이 우수하였다. 특히, 다성분계 휘발성유기화합물의 흡착에서 알콜류 및 케톤류의 화합물은 흡착성능이 우수한 방향족류 흡착질의 경쟁흡착으로부터 밀리어 저조한 흡착성능을 나타내었으나, 기공들의 크기분포가 다른 탄소흡착제의 적절한 조합으로부터 현장 적용이 가능할 정도로 비흡착성 화합물의 배출문제를 억제할 수 있었다.

저분자량 polyethylene과 urea-formaldehyde 수지를 이용한 microencapsulation에 의한 곤충 페로몬의 model 화합물들의 slow release (Slow release of microencapsulated model compounds of insect pheromone using low molecular weight polyethylene and urea-formaldehyde resin)

  • 김정한;오원택;김용진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4권2호
    • /
    • pp.110-116
    • /
    • 1991
  • Wall 물질로 저분자량 polyethylene(LMPE)과 urea-formaldehyde 수지를 이용하여 일반적 인 저분자 페로몬과 유사한 특성과 구조를 갖는 모델 화합물로서 citral, n-octanol, 그리고 쌀바구미, 옥수수바구미의 집합 페로몬 활성을 갖는 $({\pm})-5-hydroxy-4-methyl-heptan-3-one$을 microencapsulation하였다. Microencapsulation된 형태는 작은 입자형태의 분말상이었으며, LMPE를 wall물질로 사용한 것 보다는 urea-formaldehyde수지를 사용한 경우가 더 우수한 형태의 polymer를 얻었다. 또한 core 물질의 slow release 효과를 용매 추출법과 headspace 방법으로 측정한 결과 n-octanol과 citral은 40일 이상 그리고 5-hydroxy-4-methyl-heptan-3-one은 15일 이상 지속 효과를 보였다. 그리고 slow release되는 방식은 LMPE보다 urea-formal-dehyde 수지가 상대적으로 초기 감소 경향이 완만하며 core 물질을 일정양씩 더 지속적으로 휘발시켰다.

  • PDF

초과산화이온 $(O_2^-)$ 에 의한 산소가교팔라듐착화합물의 합성 (Preparation of Dioxygen Bridged Palladium Complexes by Superoxide Ion $(O_2^-)$)

  • 정평진
    • 대한화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35-142
    • /
    • 1984
  • 초과산화이온$(O_2^-)$의 발생원으로서 $KNO_2$를 사용하여 새로운 형태의 산착화합물가교팔라듐착화합물을 합성했다. 이 방법은 구핵치환과 전자 이동에 의한 반응으로서, 저원자가전이금속착화합물에 산소분자를 산화적으로 부가시켜 합성한 종전의 방법과는 완전히 다르다. $O_2^-$에 의하여 {\pi}$-알릴리간드를 갖는 새로운 형태의 5가지 산소가교팔라듐착화합물을 합성했다

  • PDF

D-Glucose-Glycine 계의 Maillard 반응생성물 및 그 생성기구 (Maillard Reaction Products Formed from D-Glucose-Glycine, System and Their Formation Mechanism)

  • 김선봉;박영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45-51
    • /
    • 1986
  • D-glucose-glycine 계를 사용하여 Maillard 반응에 의하여 생성되는 저분자 휘발성성분을 비롯하여 amide 화합물의 생성 및 그 기구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동정된 저분자 휘발성성분 중에서, headspace gas 중의 휘발성성분은 furan, acetone, 2-methylfuran, 2,5-dimethylfuran 2-butanone 2,3-pentanedione, diacetyl 등이었다, 이 중에서 diacetyl의 생성량이 가장 많아, 전 peak 면적의 약 $70\%$를 차지하였다. 또한, 에테르 추출물중의 주요반응생성물은 초산, furfuryl alcohol 2,5-dimethylpyrrole 2-acetylpyrrole 2,3-dihydro-3,5-dihydroxy-6-methyl-4H-pyran-4-one 등이었고, ethyl acetate 로 추출한 산성획분중에는 N-acetyl-glycine와 N-methylacetamide 등 2종류의 amide 화합물의 생성이 밝혀졌다. 이들 amide 화합물적 생성기구를 밝히기 위하여, Mailiard 반응초기생성물인 diacetyl 및 glyoxal을 각각 butylamine과 반응시킨 결과, Schiff 염기의 산화적 분해로 N-butylacetamide 및 N-butylformamide의 생성이 인정되었다. 따라서 N-acetylglycine 및 N-methylacetamide는 glucosylamine의 2,3-enol 화 및 ${\beta}-elimination$에 의한 탈수의 진행으로 생성된 dicarbonyl 화합물이 glycine과 반응하여 Schiff 염기를 형성하고, 이 Schiff 염기가 산화적분해를 받아서 N-acetylglycine이 생성되고, N-methylacetamide는 N-acetylglycine의 탈탄산에 의해서 생성된다고 생각한다.

  • PDF

오염물질 분해를 위한 광촉매 분리막: 총설 (Photocatalytic Membrane for Contaminants Degradation: A Review)

  • 라비아 카갛니;라즈쿠마 파텔;김종학
    • 멤브레인
    • /
    • 제32권1호
    • /
    • pp.33-42
    • /
    • 2022
  • 성장하는 산업화는 심각한 수질 오염으로 이어진다. 폐수로 배출되는 약품과 섬유산업에서 나오는 유기배출물은 환경과 생명에게 악영향을 미친다. 항균치료에 사용되는 항생제가 폐수에 존재하면 인체에 매우 해로운 약제 내성균의 성장을 야기하게 된다. 섬유산업에서 사용되는 유기염료 분자의 제조에는 다양한 유기 저분자가 사용된다. 이러한 분자들은 인쇄 및 염색 산업의 폐수 배출물에 존재하여 분해가 잘 이루지지 않는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광분해성 촉매를 분리막에 도입하고 폐수를 처리한다. 이 과정을 통해 유기 분자는 광분해되며 동시에 분해된 화합물들은 분리막을 통과하여 분리된다. 이산화티타늄(TiO2)은 뛰어난 광촉매 역할을 하는 반도체이다. 다른 전이 금속 산화물과 화합물을 만들고 고분자 막에 도입하여 광촉매 능력을 증가시킨다. 본 총설에서는 광촉매성 분리막에 의한 염료 및 약물 분자의 분해에 대해 논의한다.

액젓중의 아미노태질소 측정방법의 비교 검토

  • 송민우;서덕훈;이남걸;임영선;최영준;조영제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0년도 춘계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102-103
    • /
    • 2000
  • 액젓은 어류, 패류, 어류의 내장 등에 소금을 가하여 부패균의 번식을 억제하고, 어패류 자체의 효소와 외부 미생물의 효소작용으로 육질을 분해시킨 후 걸러서 만든 독특한 맛과 풍미의 발효식품이다. 액젓은 숙성과정을 통하여 단백질이 폴리펩타이드 형태를 거쳐 다시 펩타이드에서 정미성분인 아미노산으로 분해되게 된다. 액젓의 주된 역할은 천연 조미의 역할이고 그 맛의 결정 요인은 저분자 질소화합물이라 할 수 있으나 핵산 관련 물질 중 맛의 주성분인 IMP는 숙성기간이 지남에 따라 분해되기 때문에 많은 영향은 미치지 않을 것으로 보여진다. (중략)

  • PDF

공업지역에서의 다환방향족탄화수소화합물(PAHs)의 농도 수준 및 분포 특성 (Concentration Level and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PAHs) in Industrial Areas)

  • 정종현;피영규;조상원;옥곤;임기혁;손병현;이관;임현술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논문집 1부
    • /
    • pp.273-274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보건환경적 영향 및 환경오염수준을 평가할 수 있는 공단지역의 대기 시료를 이용하여 다환방향족탄화수소화합물(PAHs)의 농도수준과 인체 영향 및 분포특성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산업공정 및 공단 주변지역 오염물질의 저감 및 개선을 위한 방안을 마련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확보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공단지역의 대기시료 중에 다환방향족탄화수소화합물(PAHs) profile은 Pyrene, Naphthalene과 Anthracene 같은 저분자량 화합물은 주요 인자로 나타났고, Phenanthrene의 농도가 지배인자로 나타났다. 향후 보다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연구가 추가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