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저분자화합물

Search Result 99, Processing Time 0.04 seconds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3 Low-molecular Compounds from Pear (Pyrus pyrifolia Nakai cv. Chuhwangbae) Fruit Peel (추황배(Pyrus pyrifolia Nakai cv. Chuhwangbae) 과피로부터 3종의 저분자 화합물의 단리·동정)

  • Lee, Yu Geon;Cho, Jeong-Yong;Kim, Chan-Mi;Jeong, Hang-Yeon;Lee, DongI;Kim, Soo Ro;Lee, Sang-Hyen;Kim, Wol-Soo;Park, Keun-Hyung;Moon, Jae-Hak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v.45 no.2
    • /
    • pp.174-179
    • /
    • 2013
  • Three low-molecular compounds were isolated from methanol extracts of pear (Pyrus pyrifolia N. cv. Chuhwangbae) fruit peels using solvent fractionation, various types of column chromatogrphy (Diaion HP-20, Sephadex LH-20, and silica gel), and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with an assay guided by 1,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scavenging activity. The isolated compounds were identified as 2-carboxyl-4(1H)-quinolinone (kynurenic acid, 1) from butanol fraction, cis-p-coumaric acid (2) from ethyl acetate-acidic fraction, and vanillin (3) from the ethyl acetate-phenolic fraction, respectively. These isolated compounds were confirmed on the basis of the spectroscopic data of electrospray ionization mass spectrometry and nuclear magnetic resonance. This is the first time that compounds 1-3 were isolated and identified in pear.

액젓의 품질지표들의 상관성 분석

  • 최영준;임영선;심길보;김태진;조영제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0.05a
    • /
    • pp.110-111
    • /
    • 2000
  • 액젓의 발효 과정에서 단백질 화합물은 효소 및 미생물의 작용에 의하여 분해되어 맛에 영향을 미치는 유리아미노산 및 저분자 질소화합물 혹은 부패 지표 활용 가능한trimethylamine, ammonia 및 dimethylamine까지 분해되고(Beddow, 1985), 핵산 관련물질은 uric acid까지, 지질은 분해되어 주로 액젓의 냄새에 관여하는 휘발성 성분을 생성한다(Jay, 1966; Nozawa et al., 1979). 액젓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크게 어종, 염의 형태, 시료어와 염의 혼합비, minor ingredient, 발효 조건 등으로 분류할 있으며, 이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원료 물질은 어육과 염으로서 어육은 발효 중 효소 및 미생물 작용의 기질로 제공되고, 염은 발효 중 미생물의 형태나 병원성 미생물의 생성을 억제한다. (중략)

  • PDF

Antioxidant activity of white ginseng extracts prepared by enzyme treatment on V79-4 cells induced by oxidative stress (효소처리에 의한 백삼 저분자 화합물의 V79-4 세포주에 대한 항산화 활성)

  • Kim, Young-Chan;Yim, Joo-Hyuk;Rho, Jeong-Hae;Cho, Chang-Won;Rhee, Young-Kyung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v.31 no.4
    • /
    • pp.203-209
    • /
    • 2007
  • This study examined the extraction yields, total phenolic compounds content and the antioxidant activities on V79-4 cells of white ginseng extracts prepared by enzyme treatment. Yields of crude extract were 29.5-76%, and total phenolic compounds content showed 0.45-2.2% according to enzyme treatments. Pectinase treatment group showed the highest values of extraction yields and total phenolic compounds content. Pectinase and a-amylase treatment groups protected V79-4 cell viability(above 50%) against $H_2O_2$-induced oxidative damage. In the result of antioxidant enzyme activity evaluation in cells, enzyme treatments did not show the significant difference of SOD activity (p>0.05). However, pectinase treatment group exhibited increased CAT and GPx activities (p>0.05). Also, pectinase and protease treatment group inhibited MDA formation (>50%) in the lipid peroxidation protection experiment.

Preparation and Application of Polysilane Derivatives (Polysilane 유도체의 합성과 그 응용)

  • Kang, Doo-Whan
    •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 /
    • v.1 no.1
    • /
    • pp.1-10
    • /
    • 1990
  • Polysilane derivatives are attracting considerable attention as a new class of material since 1980. The preparation methods of low molecular weight, cyclic, and high molecular weight polysilane derivatives are described, and also photochemistry characteristics for silicon-silicon single bond and for the nature of the substituent on silicon backbone are discussed. Polysilanes may be used as a precursors to silicon carbide fiber, as photoresist in microelectronics, as photoconductor, and as photoinitatior for free radical polymerization.

  • PDF

초고속 자기부상형 터보복합분자 펌프 기술 개발

  • Park, Yong-Tae;No, Seung-Guk;Kim, In-Chan;O, Hyeong-R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2.08a
    • /
    • pp.96-96
    • /
    • 2012
  • 복합분자펌프는 기존의 터보분자펌프 turbine blade에 spiral grooved를 추가하여 초고진공(10-8Pa)에서 저진공(330Pa)까지 넓은 압력범위에서 사용할 수 있고 이 펌프를 사용함으로서 완전 oil free한 진공시스템을 만들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특히, 회전체를 비접촉으로 지지하는 자기베어링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진동은 극히 작고 베어링수명은 길면서 중저진공에 대한 배기속도가 크고 임의의 방향으로 접속이 가능하여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제조 공정과 같은 첨단산업의 다양한 분야에 쉽게 적용되고 있으며, 그 적용 분야와 시장은 계속 성장하고 있다. 고 진공과 배기 속도의 달성을 위해서, 고속으로 이동하는 격면과 기체분자를 충돌시켜, 기체 분자를 원하는 방향으로 유도하는 작동원리를 가지고 있다. 특히 공기분자의 밀도가 매우 낮은 희박가스 상태에서 고속 회전하는 blade로 공기분자를 쳐내면서 작동됨으로써 날개의 상하 압력차에 의한 공기력보다도 날개의 고속회전이 매우 중요시되고 압력으로는 10-1 Pa 이하의 분자영역에서 그 성능을 최고로 발휘할 수 있다. 이러한 복합 펌프의 주요 장점은 다음과 같다. 1. 10-8 Pa (10-10 torr) ~ 10 Pa (1 torr) 까지 넓은 영역에서 배기가 가능하다. 2. 탄화수계의 대하여 높은 압축특성을 가지고 있고, 윤활유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얻을 수 있는 진공상태가 고청정하다(oil free). 3. 정밀 5축제어 자기베어링으로 완전히 부상하여 회전함으로서 마모가 없고 진동이 최소화하였을 뿐 만 아니라, 또한 운전음도 거의 없다. 4. 설치조건에 제한이 없고 고장이 거의 없다. 특히 복합분자펌프는 탄화수소화합물이 없는 진공을 생성시키면서 구성요소가 간단한 반면 폭넓은 진공대역을 충족하기 때문에 산업계와 연구계의 주요 첨단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바이오엔지니어링 등의 발전으로 적용분야가 넓어지고 있다.

  • PDF

Characterization of Bio-oils Produced by Fluidized Bed Type Fast Pyrolysis of Woody Biomass (목질바이오매스의 급속열분해에 의해 생산된 바이오오일의 특성 분석)

  • Choi, Joon-Weon;Choi, Don-Ha;Cho, Tae-Su;Meier, Dietrich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6a
    • /
    • pp.474-477
    • /
    • 2006
  • 유동형 급속열분해기((fluidized bed type fast pyrolyzer, 용량 300g/h)를 이용하여 너도밤나무와 침엽수 흔합재(독일가문비나무/전나무, 50:50)로부터 바이오오일을 생산하였다. 목질바이오매스의 열분해는 약 $470{\pm}5^{\circ}C$에서 1-2초 간 진행되었다. 목질바이오매스의 열분해 생성물의 조성을 살펴보면, 너도밤나무는 바이오오일이 약 60%, 탄이 약 9% 피리 고 가스가 31% 가량 생산되었으며, 침엽수 혼합재는 49%의 바이오오일, 9%의 탄, 그리고 42% 가량의 가스가 생성되었다. 두 종류의 목질바이오매스에서 생산된 바이오오일에는 약 17-22% 가량의 수분이 포함되어 있었으며, 비중은 약 1.2kg/L 이었다. 바이오오일의 원소 조성은 탄소가 45%, 산소가 47% 수소가 7%, 그리 고 질소가 1% 로서 일반적 인 목질바이오매스와 큰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화석자원에서 생산되는 오일류와 비교하여 산소함량은 매우 높았으나 황은 전혀 포함하고 있지 않았다. 바이오오일의 GC분석 결과 총 90여종의 고리형, 또는 비고리형 저분자량 화합물이 검출되었으며 이들의 함량은 바이오오일 전건중량의 31-33% 정도로 측정되었다.

  • PDF

Phase Equilibrium Measurement of Gas Hydrate with Quartz Crystal Microbalance (QCM(Quartz Crystal Microbalance)을 이용한 가스 하이드레이트 상평형 측정 방법)

  • Lee, Bo Ram;Sa, Jeong-Hoon;Park, Da-Hye;Lee, Kun-Hong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11a
    • /
    • pp.150.1-150.1
    • /
    • 2010
  • 가스 하이드레이트는 물분자와 저분자량의 가스분자가 고압과 저온에서 수소결합을 이루며 형성되는 결정성 화합물을 말한다. 최근 가스 하이드레이트의 물리적 특성과 형성 원리를 이용하여 다양한 분야로의 적용 연구가 수행되고 있는데 이의 효과적 달성을 위해서는 가스 하이드레이트의 상평형 연구가 필수적이다. 기존에 수행되는 상평형 실험 방법은 온도의 변화에 따라 하이드레이트를 해리시키고 압력의 변곡점을 찾는 것으로 최소 24시간이 소요되지만, 본 연구진이 제안하는 QCM을 이용한 방법은 1 ng의 무게에 1 Hz의 변화를 나타내는 수정진동자의 민감성을 이용한 것으로 약 2~3시간 내에 상평형 실험을 수행할 수 있고, 하이드레이트의 기억효과(Memory Effect)를 이용하여 연속적인 상평형 실험도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QCM 반응기의 원리 및 실험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고 열역학적 촉진제를 첨가한 상평형 실험결과를 제시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저렴한 가격으로 다양한 촉진제와 억제제 첨가 시 나타나는 상평형 효과를 빠른 시간 내에 선별할 수 있는 방법으로 QCM을 이용한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

$CO_2$ Hydrate Phase Equilibria with Green Thermodynamic Hydrate Inhibitors (친환경적인 열역학적 저해제를 첨가한 $CO_2$ 하이드레이트 상평형 측정)

  • Sa, Jeong-Hoon;Lee, Bo Ram;Park, Da-Hye;Lee, Kun-Hong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11a
    • /
    • pp.150.2-150.2
    • /
    • 2010
  • 가스 하이드레이트는 낮은 온도와 높은 압력 조건에서 물 분자들이 수소 결합을 통해 형성하는 3차원의 격자구조에 저분자량의 기체 분자들이 포획되어 있는 결정성 화합물이다. 가스 하이드레이트는 형성 시 많은 양의 가스를 저장할 수 있는 특성을 가진다. 천연 가스를 심해저로 수송하는 수송관 내부에 가스 하이드레이트가 생성되면 막힘 현상이 일어나 비용과 시간 측면에서 막대한 손실이 일어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열역학적 상평형 조건을 변화시켜 가스 하이드레이트 형성을 방지할 수 있는 열역학적 저해제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Glycine, Alanine 등의 열역학적 저해제를 5, 10, 15 wt% 등으로 첨가하여 $CO_2$ 하이드레이트의 상평형 조건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였고, 각 물질을 12.5, 22.0 mmol%로 첨가하여 물질에 따라 상평형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여 보았다. 또한 Alanine의 두 가지 광학 이성질체를 같은 농도로 첨가하여 각 물질에 따라 상평형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였다.

  • PDF

Antimicrobial Coating Agent (항균 코팅제)

  • Ko, Jong-Sung
    • Journal of the Korean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 /
    • v.30 no.1
    • /
    • pp.96-115
    • /
    • 2013
  • This article describes the concept and the trend of antimicrobial coating agents, which will help to establish the direction of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on antimicrobial coating agent. Antimicrobial agents are compounds that inhibit or kill microorganisms. They are classified into inorganic, metallic, low molecular weight organic, natural organic, and polymeric compounds. Antimicrobial coatings are applied to the surface of daily necessities, medical devices, industrial products, electrical appliances, fabrics, and interior building materials, etc. Conventional antibiotics penetrate microbes without damaging bacterial cell walls, leading to drug resistance which polymeric antimicrobials can prevent by disrupting cell walls. Most polymeric antimicrobials are focused on cationic polymers. Improvement in the selectivity and durability of antimicrobials and reduction of their toxicity will come true by more reasonable design of molecular structures and their combination in coating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