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재

Search Result 46,889, Processing Time 0.063 seconds

Environmental impact monitoring of indirect wastewater reuse in rice paddy fields (하수처리수의 농업용수 간접재이용에 따른 환경영향)

  • Park, Ji-Hoon;Jeong, Han-Seok;Kang, Moon-Seong;Park, Seung-W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759-759
    • /
    • 2012
  • 하수처리수의 농업용수 재이용 사업은 물 재이용 기본계획의 일환으로 수행되고 있다. 재이용방식은 직접재이용과 간접재이용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2020년까지 56개 하수처리시설에서 총 106,388 천$m^3$/년의 농업용수를 직접재이용할 계획이다.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간접재이용의 형식으로 하수처리수를 농업용수로 이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하수처리수의 농업용수 간접재이용에 따른 작물생육, 수질, 그리고 토양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데 있다. 본 연구를 위해 수원시 환경사업소와 오산시 환경사업소 하류 지역을 간접재이용 사례지구로 선정하고, 용인 이동저수지를 관개용수로 하는 청정지역을 대비구로 선정하였다. 각 지구별로 수량 구성요소 및 수확량 특성, 그리고 벼의 영양염류 및 중금속 함량 등의 유해성분을 분석하였으며, 관개수질과 논토양의 성분을 모니터링 하였다. 모니터링 결과를 통해 간접재이용 사례지구의 환경영향을 평가하여 수질기준을 정립하고 간접재이용시스템을 개발하는데 있어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할 것이라 사료된다.

  • PDF

A Study of the Supply of Large Korean Pine Timber (국산 육송 특대재 수급 현황 분석 및 문화재 수리의 활용에 관한 연구)

  • Jung, Younghun;Yun, Hyundo
    • Korean Journal of Heritage: History & Science
    • /
    • v.53 no.4
    • /
    • pp.136-149
    • /
    • 2020
  • It is generally believed that Douglas Fir timber imported from North America is used in repair work for Korean wooden heritage sites due to an insufficient supply of extra-large sized Korean pine timber. Based on this understanding in the cultural heritage repair field, Cultural Heritage Repair Business Entities ("CHRBE") prefer North American Douglas Fir timber which is more easily acquired on the market than large Korean pine timber. However, if CHRBE use large quantities of foreign-origin wood in the heritage repair field, this presents the threat of negative domestic impacts on cultural heritage such as breaching the preservation principal and ultimately weakening material authenticity.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upply status of large Korean pine timber through examination of existing research, interviews with experts engaged in CHRBE, and timber mills. With this information, the authors seek to identify whether the market supply of large Korean pine timber is indeed insufficient or not. In addition to this, this paper identifies the reasons why large Korean pine timber is not widely used if such timber supply is actually sufficient. In order to propose suggestions regarding the issues above, the authors study the distribution channel for large Korean pine timber and the price spectrum of this timber through examination of price information from the public agencies under the Korea Forest Service, research papers from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and estimation documents from timber mills. This paper also identifies two main opinions about why Korean timber has not been commonly used in the Korean heritage repair field. The first opinion is that the supply of large Korean pine timber really is insufficient in Korea. However, the second opinion is that it is hardly used due to inappropriateness of the government's procurement and estimation system, despite the fact that the supply of the timbers on the market is actually sufficient. Through the aforementioned research, this paper comes to the conclusion that the second opinion has strong grounds in many aspects. In terms of suggestions, alternative routes are proposed to stimulate the use of large Korean pine timber via supply by the 'Korea Foundation for Traditional Architecture and Technology' and surveys of the price spectrum of the timber, etc.

Anatomical Comparisons of Compression, Opposite, and Lateral Woods in New Zealand Radiata Pine(Pinus radiata D. Don) (뉴질랜드산(産) 라디아타소나무의 압축이상재(壓縮異常材), 대응재(對應材) 및 측면재(側面材)의 해부학적(解剖學的) 특성(特性) 비교(比較))

  • Eom, Young-Geun;Butterfield, Brian G.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v.25 no.2
    • /
    • pp.88-99
    • /
    • 1997
  • 뉴질랜드산(産) 라디아타소나무의 수간(樹幹) 및 지재(枝材)에 발달(發達)되어 있는 압축이상재(壓縮異常材), 대응재(對應材) 및 측면재(側面材)의 해부학적(解剖學的) 특성(特性)을 광학현미경(光學顯微鏡), 주사전자현미경(走射電子顯微鏡) 그리고 투과전자현미경(透過電子顯微鏡)을 이용하여 조직학적(組織學的) 및 구성요소(構成要素)의 수량적(數量的) 측면(側面)에서 비교(比較), 검토(檢討) 하였다. 조직학적(組織學的)인 면(面)에서 볼 때 춘재(春材)로부터 추재(秋材)로의 가도관(假導管) 이행(移行)은 대응재(對應材)나 측면재(側面材)보다 압축이상재(壓縮異常材)가 훨씬 더 점진적(漸進的)이었다. 편심생장(偏心生長)으로 인해 연륜폭(年輪幅)은 압축이상재(壓縮異常材)가 가장 컸고 그 다음이 측면재(側面材) 및 대응재(對應材)의 순이었으며 추재솔(秋材率) 역시 압축이상재(壓縮異常材)가 대응재(對應材) 및 측면재(側面材)보다 컸다. 횡단면상(橫斷面上) 가도관(假導管) 형상면(形狀面)에서 압축이상재(壓縮異常材)가 원형(圓形)을 나타내는 반면 대응재(對應材)와 측면재(側面材)는 각형(角形)을 띠고 있었다. 또한 압축이상재(壓縮異常材)에서만 가도관(假導管)의 세포벽(細胞壁)에 나선강(螺旋腔)과 나선열(螺旋裂) (helical cavity and check), 슬릿(slit)형(形) 벽공구(壁孔口)가 존재(存在)하였으나 $S_3$층(層)이 결여(缺如)되어 있었으며 굴곡(屈曲)된 선단(先端)과 불규칙(不規則)한 형상(形狀)의 가도관(假導管) 및 세포간극(細胞間隙)이 자주 관찰(觀察)되었다. 직교분야(直交分野) 벽공(壁孔)은 압축이상재(壓縮異常材)가 가문비나무형(型) 그리고 대응재(對應材) 및 측면재(側面材)는 소나무형(型) 벽공(壁孔)을 나타냈다. 수량적(數量的) 특성(特性) 면에서 볼 때 가도관(假導管)의 길이는 압축이상재(壓縮異常材)가 가장 짧고 측면재(側面材)가 가장 길었으며 가도관(假導管)의 벽(壁) 두께는 압축이상재(壓縮異常材)가 대응재(對應材)나 측면재(側面材)보다 두꺼웠다. 수직수지구(垂直樹脂溝)는 대응재(對應材)가 그리고 수평수지구(水平樹脂溝)(방추형(紡錐形) 방사조직(放射祖織))는 압축이상재(壓縮異常材)의 쪽이 많았다. 결론적(結論的)으로 보면 라디아타소나무의 압축이상재(壓縮異常材)는 근본적으로 대응재(對應材)나 측면재(側面材)와는 상이(相異)한 특성(特性)을 지녔으나 대응재(對應材)와 측면재(側面材)는 거의 유사(類似)한 특성(特性)을 공유(共有)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 PDF

Carton Pack (Hot Issue - 종이팩 포장재)

  • (사)한국포장협회
    • The monthly packaging world
    • /
    • s.263
    • /
    • pp.104-108
    • /
    • 2015
  •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정승)는 가볍고 부피를 적게 차지하여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종이팩 포장재에 대하여 올바른 정보를 제공하고자 Q&A 형식의 '종이팩 포장재에 대해 알아봅시다!'를 제작, 발표했다. 주요 내용은 ▲ 종이팩 포장재의 특징 및 장점 ▲ 종이팩 포장재의 종류 ▲ 종이팩 포장재의 안전 관리 ▲ 종이팩 포장 식품에 대한 주의사항 등이다. 본 고에서는 주요 내용을 살펴본다.

  • PDF

정책.제도 - 유전자 재조합 식품이란

  • Gu, Yong-Eui
    • 식품문화 한맛한얼
    • /
    • v.1 no.3
    • /
    • pp.30-33
    • /
    • 2008
  • 최근 전분당업계에서 전분당의 원료로 그동안 수입하던 일반 옥수수 대신 유전자 재조합 옥수수를 수입하면서 유전자 재조합 식품에 대한 논란이 다시 가열되고 있다. 1996년 유전자 재조합 콩이 처음 상업적으로 재배된 지 10년이 지났지만 유전자 재조합 식품에 대한 논란은 아직도 계속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우리나라에서는 유전자 재조합 식품을 어떻게 관리하는지 살펴본다면 유전자재조합 식품을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 PDF

포장과 법률 - '포장제품의 재포장 예외기준 고시' 제정안 행정예고

  • (사)한국포장협회
    • The monthly packaging world
    • /
    • s.331
    • /
    • pp.97-98
    • /
    • 2020
  • 환경부는 '제품의 포장재질·포장방법에 관한 기준 등에 관한 규칙' 제11조에서 포장되어 생산된 제품을 재포장하는 행위를 금지하고 있으나 재포장이 불가피한 경우는 고시하도록 하고 있어 재포장이 불가피한 예외기준을 마련하기 위해 '포장제품의 재포장 예외기준 고시' 제정안을 행정예고했다. 고시 제정의 목적 및 재포장 정의, 적용범위 등 그 주요내용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

  • PDF

Timely Error Recovery Using Predictive Retransmission (예측 재전송을 이용한 적시 오류 복구)

  • 권도한;정충일;박창윤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8.10a
    • /
    • pp.603-605
    • /
    • 1998
  • 기존의 오류 제어 방법들은 실시간 특성과 신축적인 신뢰성을 갖는 멀티미디어 통신 응용에 적합하지 못한다. 본 연구에서는 실시간 데이터의 마감시간을 고려한 적시 오류 복구를 위해 오류 복구가 가능한 시점을 예측하여 재전송을 시행하는 예측 재전송을 제안한다. 예측재전송은 오류 발생이 확인될때까지 기다리지 않고 평균 전송시간을 고려하여 미리 재전송을 실시하는 사전 재전송 방법과, 재전송을 하여도 오류 복구가 불가능하다고 판단될 재전송을 실시하지 않고 데이터 전송을 계속 진행되는 재전송 포기 방법으로 적용된다. 이와같은 예측 재전송 기법을 적용한 새로운 오류 제어 프로토콜 x-kernel상에서 구현하였다. 실험 결과, 새로운 프로토콜은 다양한 통신 환경에서 기존의 오류 제어 방법에 비해 종단간 오류 복구율을 높이고 무의미한 오류 처리를 줄이며, 추가되는 부하는 매우 작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 PDF

Evaluation of Required Discharge Capacity for Prefabricated Vertical Drains (연직배수재의 소요통수능 평가)

  • 김상규;김현태;공길용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 /
    • v.17 no.1
    • /
    • pp.35-45
    • /
    • 2001
  • Bergado에 의해 비교 분석된 많은 연구자들의 배수재의 소요통수능에 대한 제안값을 보면 0.32~50cc/s로 그 차이가 너무 크기 때문에 실무에 적용하기가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배수재의 통수능변화를 고려할 수 있는 압밀해석방법을 개발하고, 흙의 압밀계수, 압축지수, 배수재 타설심도 및 타설후 시간경과에 따른 배수재의 통수능 감소 등의 현장여건을 고려한 압밀해석을 통하여 압밀지연을 일으키지 않는 배수재의 소요통수능에 대한 기준을 제시하였다. 압밀해석결과 어느값 이상의 통수능에서는 압밀지연이 없으므로 이 값 이상의 통수능을 갖는 배수재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며, 압밀지연시간 5% 이내인 배수재의 소요통수능은 압밀계수($c_{v}$ ), 배수재의 길이(L) 및 압축지수($C_{c}$)와 비례관계로서 안전율 1.5를 고려하여 $q_{wa}$ =8$\times$($c_{v}$ $\times$L$\times$$C_{c}$)(cc/s) 이상이면 되는 상관식을 얻었다. 이 값 이상의 배수재를 선택하는 경우는 연직배수공법의 압밀해석에서 배수재의 통수능을 고려하지 않아도 된다는 결론을 얻었다.

  • PDF

Effects of Different Plasticizers on Some Properties of Biodegradable Starch-based Foams

  • Cha, Jea-Yoon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v.28 no.2
    • /
    • pp.143-150
    • /
    • 2003
  • 전분 완충재의 물리적, 기계적 특성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들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기존의 플라스틱 완충재와 비교하면 더 많은 노력이 요구되어진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전분 완충재의 물리적 기계적 특성에 대한 유연제(plasticizers)와 첨가제(additives)의 영향을 규명하였다. 전분과 합성수지 그리고 여러 유연제 또는 첨가제를 혼합한 뒤 Brabender사의 일축 압출기를 이용하여 여러 축속도(60~120 rpm)에서 압출 가공한 후 물리적, 기계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전분 완충재의 밀도(bulk density)와 압축성(bulk compressibility)은 혼합물에서 물의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지만, 복원성(bulk resiliency)은 조금 감소하였다. 측정되어진 전분 완충재의 특성은 변형전분(hydroxypropylated starch)의 사용으로 향상되었다. 또한, glycerol, glycerol monostearate 그리고 alkylglucosides의 첨가도 전분 완충재의 밀도와 압축성을 증가시켰다. 염화철(II) 0.5%을 포함한 전분 완충재는 첨가제를 포함하지 않은 전분 완충재에 비하여 밀도 42%와 압축성 58%가 각각 감소한 반면, 복원성은 13%포인트 증가하였다. 변형전분과 염화철(II)이 첨가된 전분 완충재는 기존의 플라스틱 완충재에 비하여 밀도와 압축성은 떨어지지만, 대체 사용되어질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Analysis of Categorized Cultural Asset and Application for Cultural Asset App Store Based on IoT Environment (IoT 환경기반 문화재 앱스토어 구축을 위한 카테고리별 문화재 및 애플리케이션 분석)

  • Lim, Won-Jun;Lee, Kang-H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5.01a
    • /
    • pp.105-106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IoT 환경 기반의 문화재 앱스토어 구축을 위한 카테고리별 문화재 및 애플리케이션을 분석한다. 문화재 종류는 문화재진흥청에서 정의한 종류로 분류되어 있으며 종류에 따라 문화재 개수도 다양하다. 이러한 다양한 종류의 문화재 및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 분석을 통해 문화재 앱스토어 구축에 있어 카테고리 분류 작업시 중요한 기반 자료가 된다. 이는 앱스토어 소비자에게 정확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