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재현기간

Search Result 700,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Evaluation of Seoul Droughts Using Two-Dimensional Drought Frequency Analysis (이변수 가뭄빈도해석을 통한 서울지점의 가뭄평가)

  • Yeon, Je-Mun;Kim, Tae-Woong;Lee, Jong-Kyu;Wi, Sung-Wo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1211-1215
    • /
    • 2006
  • 가뭄에 대한 대책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가뭄의 심도 및 지속기간 등 가뭄특성을 산정하여 가뭄을 정량화 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가뭄을 해석하기 위하여 강수를 이용한 표준강수지수(SPI,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를 이용하여 가뭄 특성을 산정하였다. 서울지점은 강수의 근대 관측 기간이 약 100년 정도(1907년 ${\sim}$ 2003년) 이기 때문에 측우기 자료를 이용하여 조선 말까지(1770년 ${\sim}$ 1907년) 자료를 확장하여 가뭄지수를 산정하였다. 산정된 SPI로부터 절단 수준법 개념을 이용하여 SPI의 -1이하를 가뭄으로 정의 하고, 연속된 가뭄으로부터 가뭄 심도 및 가뭄 지속기간을 구하였다. 가뭄의 지속기간과 심도를 이변수 감마 분포(Bivariate Gamma Distribution)를 이용하여 가뭄의 재현특성을 분석하였고, 가뭄의 지속기간만을 고려한 재현기간과 본 연구에서 산정된 이변수 가뭄 재현기간을 서로 비교하였다.

  • PDF

Analysis of Dry Year Return Period and Duration Based on the Poisson Process (포아송 과정을 이용한 과우해의 재현기간 및 지속특성 분석)

  • Yoo, Chul-Sang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7 no.1
    • /
    • pp.13-19
    • /
    • 2004
  • This study shows the possible use of the Poisson process for the characterization of dry year return period and duration. For the analysis we used an annual precipitation data, which has been collected since 1911 in Seoul. The highest threshold for the application of the Poisson process was determined to be the mean-0.5standard deviation, and then the results from the Poisson process are compared with the observed. Especially, the Poisson process was found to reproduce the mean duration and return interval quite well and show the possibility of using the Poisson process for the drought analysis.

Application of a large-scale climate ensemble simulation database for estimating the extreme rainfall (확률강우량 산정을 위한 대규모 기후 앙상블 모의자료의 적용)

  • Kim, Youngkyu;Son, Minw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333-333
    • /
    • 2022
  • 본 연구는 저빈도·고강도의 확률강우량 산정을 위해, 대규모 기후 앙상블 모의실험 기반으로 생성된 d4PDF(Data for Policy Decision Making for Future Change)를 적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또한, d4PDF 를 이용하여 산정된 확률강우량과 관측자료 및 빈도해석을 통해서 산정된 확률강우량을 비교함으로써 빈도해석의 적용에 따라 발생하는 불확실성을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는 용담댐에 위치한 금산, 임실, 전주, 장수 관측소를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d4PDF 자료는 총 50 개의 앙상블로 구성되어 있으며, 하나의 앙상블은 60 년 동안의 기상자료를 제공하기 때문에 한 지점에서 3,000 개의 연 최대 일 강우량을 수집 및 활용하는 것이 가능했다. 이와 같은 d4PDF 의 특징을 토대로 본 연구는 빈도해석 방법을 적용하지 않고, 3000 개의 연 최대 일 강수량을 비모수적 접근법(Non-parametric approach)에 따라 규모별로 나열하여, 10 년부터 1000 년의 재현기간을 갖는 확률강우량을 산정했다. 그 후, 관측 자료와 Gumbel 및 GEV(General extreme value) 분포를 토대로 산정된 확률강우량과의 편차를 산정하였다. 그 결과, 재현기간과 관측 기간의 차이가 증가할수록 이 편차가 증가하였으며, 이 결과는 짧은 관측 기간과 빈도해석의 적용은 재현기간이 증가할수록 신뢰하기 어려운 확률강우량을 제시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반면에, d4PDF 는 대규모 표본을 이용함으로써 이와 같은 불확실성을 최소화시켜 합리적인 저빈도·고강도의 확률강우량을 제시하였다.

  • PDF

Review on the Application of Regional Frequency Analysis According to the Sample Size of Hydrologic Data (수문자료 크기에 따른 지역빈도해석 적용성 기준 검토)

  • Kim, Kyung Duk;Heo, Jun Hae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4.05b
    • /
    • pp.190-194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수문자료에 내한 빈도해석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적정할 자료크기가 어느 정도인지를 모의 실험을 동하여 검토하었다. 모의실험 걸과 재현기간 100년인 경우 4.5배, 재현기간 200년인 경우 5배 정도의 자료크기가 될 때 모집단 확률값대 모의 평균된 확률값의 상대오차 $5\%$범위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확률분포형, 자료크기, 재현기간에 따라 신뢰한 수 있는 확률수문량을 산정하기 위한 기준(지점 및 지역빈도해석 적용)을 제시하게 되면 현재 국내 실무에서 지역빈도해석을 도입하고자 하는 시점에서 많은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The Rainfall Quantile Change Analysis of the Different Duration and Return Period in Seoul (서울지역의 지속시간 및 재현기간별 확률강우량의 경년변화 분석)

  • Ahn, Sang-Hyun;Park, In-Chan;Cho, Won-Cheo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764-769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최근에 빈번히 발생하는 단시간 집중호우양상의 변화와 자료기간의 누적에 따른 지속시간 및 재현기간별로 확률강우량의 변화양상을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 지점으로는 서울지점을 선정하였다. 강우자료는 기상청 산하의 강우관측소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확률강우량 산정을 위한 강우지속시간은 10분, 20분, 30분, 40분, 50분 60분, 120분, 180분, 360분, 720분, 1440분을 지속시간으로 선정하였고 재현기간은 5년, 10년, 15년, 20년, 25년, 30년, 50년, 80년, 100년, 200년으로 수공구조물 설계시 많이 고려되어지는 재현기간을 선정하였다. 먼저 최근의 강우양상의 변화와 확률강우량의 경년변화 양상을 비교 분석하기 위하여 서울지점의 강우자료에 대한 장기 변동성을 분석하였고, 연강우량과 지속시간별 연 최대 강우량의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통계적 분석을 통하여 확률강우량의 경년변화 양상을 지속시간 및 재현기간별로 분석하였다. 연강우량과 지속시간별 연최대강우량의 상관성 분석은 상호상관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확률강우량의 경년변화 분석 방법은 기본자료기간을 20년으로 산정하여 매해 강우자료를 추가하면서 확률강우량을 산정하여 경년변화를 살펴보았다. 확률강우량의 산정은 국립방재연구소와 연세대학교가 공동으로 제작한 FARD모형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최근 강우량이 증가 추세에 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연강우량과 지속시간별 연 최대 강우량의 상관성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확률강우량의 분석결과에서는 자료의 누적에 따른 확률강우량의 지속시간 및 재현기간에 따라 차이가 상이하며, 변동폭은 20% 내외로 나타났다. 토양수분 계산에도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WEP 모형의 토양수분 해석능력에 대한 시험적용에 그 의의가 있으며, 향후 토양 및 지표하 매개변수 정보가 충분히 갖추어지고, 토양수분 관측결과 있는 대상유역에 대한 적용이 요구된다.-Moment 방법에 의해 추정된 매개변수를 사용한 Power 분포를 적용하였으며 이들 분포의 적합도를 PPCC Test를 사용하여 평가해봄으로써 낙동강 유역에서의 저수시의 유출량 추정에 대한 Power 분포의 적용성을 판단해 보았다. 뿐만 아니라 이와 관련된 수문요소기술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역의 물순환 과정을 보다 명확히 규명하고자 노력하였다.으로 추정되었다.면으로의 월류량을 산정하고 유입된 지표유량에 대해서 배수시스템에서의 흐름해석을 수행하였다. 그리고, 침수해석을 위해서는 2차원 침수해석을 위한 DEM기반 침수해석모형을 개발하였고, 건물의 영향을 고려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본 연구결과 지표류 유출 해석의 물리적 특성을 잘 반영하며, 도시지역의 복잡한 배수시스템 해석모형과 지표범람 모형을 통합한 모형 개발로 인해 더욱 정교한 도시지역에서의 홍수 범람 해석을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모형의 개발로 침수상황의 시간별 진행과정을 분석함으로써 도시홍수에 대한 침수위험 지점 파악 및 주민대피지도 구축 등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4일간의 기상변화가 자발성 기흉 발생에 영향을 미친다고 추론할 수 있었다. 향후 본 연구에서 추론된 기상변화와 기흉 발생과의 인과관계를 확인하고 좀 더 구체화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게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는 초과수익률이 상승하지만, 이후로는 감

  • PDF

Analysis of Precipitation Distribution in the region of Gangwon with Spatial Analysis (II): Analysis of Quantiles with Interested Durations and Return Periods (공간분석을 이용한 강원도 지역의 강수분포 분석 (II): 지속기간 및 재현기간별 확률강수량 분석)

  • Jeong, Chang-Sam;Um, Myoung-Jin;Heo, Jun-Hae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 /
    • v.9 no.6
    • /
    • pp.99-109
    • /
    • 2009
  • In this study, often the spatial distribution of precipitation was analyzed using the quantile with regional frequency analysis and spatial analysis to find out the detail distribution of extreme precipitation for preventing the disaster in the region of Gangwon. The hourly precipitation data of 66 stations in Gangwon were used. As the results of regional frequency analysis, it shows that the generalized logistic (GLO) distribution is the best for the region of Gangwon. As the results of spatial analysis, the quaniles have high vaules nearby Seolakdong, Daegwallyeong and Cheongil as the duration of precipitation increase, and the change of spatial distribution occurs severely according to the duration of precipitation.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precipitation appears clearly as the return period of quantile increases. As the results of the spatial distribution of precipitation in Gangwon heavy quantiles usually are appeared in Yongdong, and the spatial distributions of quantile in Yongseo are various according to the duration and the return period of quantile. Therefore, to estimate more accurate quantiles in Gangwon, various geographical and weather conditions are considered additionally for the regional precipitation frequency analysis.

Comparison of Rainfall Quantile using At-site Frequency Analysis and Scale Invariance Property (빈도해석과 스케일 성질을 이용한 확률강우량의 비교)

  • Jung, Young-Hun;Kim, Soo-Young;Kim, Tae-Soon;Heo, Jun-Hae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164-168
    • /
    • 2008
  • 일반적으로 확률강우량은 관측지점에서 관측된 연최대 강우량자료를 바탕으로 빈도해석을 적용하여 산정한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매시각별로 관측된 자료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단기간 혹은 장기간의 지속기간에 대한 확률강우량을 산정하는 것은 쉽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매시각단위의 지속기간 강우자료를 바탕으로 다양한 지속기간에 대한 확률 강우량을 산정할 수 있는 스케일 성질을 적용하여 확률강우량을 산정하여 정확성을 판단하였다. 강우자료는 비교적 신뢰성이 높고 자료기간이 긴 기상청 지점 22개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2003년까지의 관측된 자료를 이용하여 확률강우량을 산정한 후 지점빈도해석 프로그램인 FARD2006과 비교하여 지점빈도해석의 결과 값을 참값으로 절대상대오차를 산정하여 비교하였다. 산정한 방법은 기준이 되는 확률강우량을 산정한 후 그보다 긴 지속기간에 대한 확률강우량을 산정하는 방법인 상향스케일링 (Up-scaling)과 그 보다 짧은 지속기간에 대한 확률강우량을 산정하는 방법인 하향스케일링(Down-scaling)의 두 가지 방법으로 확률강우량을 산정하였다. 두 방법 모두 1시간$\sim$24시간의 지속기간에 대한 확률강우량을 2년$\sim$500년의 재현기간에 대하여 확률강우량을 산정하였으며, 빈도해석으로 산정한 FARD2006의 결과값과 비교하여 절대상대오차를 산정하였다. 그 결과, 시간단위자료를 사용할 경우 대부분 절대상대오차가 10% 미만인 결과를 얻을 수 있었으며, 14개의 재현기간 중에서 8개 이상의 재현기간에 대해 적용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속기간 1시간 강우자료를 기준 지속기간으로 1시간 미만의 지속기간에 대한 확률강우량을 추정한 결과 10분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절대상대오차가 10% 내외의 정확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스케일 성질을 이용하여 미계측 강우지속기간의 확률강우량을 추정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Study on the Recurrence Characteristics of Wet and Dry Years Appeared in Seoul Annual Rainfall Data (서울지점 연강수량 자료에 나타난 다우해 및 과우해의 재현 특성에 관한 연구)

  • Yu, Cheol-Sang;Kim, Bo-Yun;No, Jae-Gyeong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3 no.3
    • /
    • pp.307-314
    • /
    • 2000
  •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currence characteristics of wet and dry years using over 200 year records of annual rainfall depth including Chosun Age in Korea. As well as analyzing the correlation structure of the raw data, recurrence trends of wet and dry year has been investigated based on several truncation levels (mean, $mean{\pm}0.25stdv.,\;mean{\pm}O.5stdv.,\;mean{\pm}O.75stdv.,\;mean{\pm}stdv.$). Also the transition probability among wet, dry and normal years has been derived for the same truncation levels. and finally the average return periods based on the steady-state probabilities were obtained. This analysis has been applied to not only the entire data but also partial data set of before- and after-the long dry period around 1900 in order to compare and detect the possible difference between the Chukwooki (an old raingauge invented in Chosun age) and the modem flip-bucket style. As a result, Similar pattern of dry and wet year recurrence has been found, but the return period of extremely dry years after the dry period shown longer than that before the dry period. Assuming that the dry and wet years can be defined as $mean{\pm}$ standard deviations, respectively, the return period of the wet years is shown to be about 5~6 years and that of the dry years about 6~7 years.

  • PDF

A Determination of the Rainfall Durations of Various Recurrence Intervals (재현기간별 설계유효우량의 지속기간결정)

  • 윤용남;전병호
    • Water for future
    • /
    • v.12 no.2
    • /
    • pp.56-62
    • /
    • 1979
  • Many methods of estimating design floods from rainfall data involve a trial and error procedure to determine the duration of the design rainfall, which is very complicated and time-consuming. In this study, an effort was given to derive an analytical expression for estimating the appropriate duration for use with a particular unit hydrograph. According to the so-derived analytical expression the coordinateds of hvdrograph curve and rainfall curve for the Musim Representative Basin were computed and then plotted on a same scal graph paper on which the critical durations of design rainfall excess of various recurrence intervals were determined by the point of intersection of the tow curves.

  • PDF

Proposal and Application of Water Deficit-Duration-Frequency Curve using Threshold Level Method (임계수준 방법을 이용한 물 부족량-지속기간-빈도 곡선의 제안 및 적용)

  • Sung, Jang Hyun;Chung, Eun-Sung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7 no.11
    • /
    • pp.997-1005
    • /
    • 2014
  • This study evaluated hydrological drought the using the annual minimum flow and the annual maximum deficit method and proposed the new concept of water deficit-duration-frequency curves similar to rainfall intensity-duration-frequency curves. The analysis results of the annual minimum flow, the return periods of hydrological drought in the most duration of 1989 and 1996yr were the longest. The analysis results of the annual maximum deficit, the return periods of 60-days and 90-day deficit which are relatively short duration were the longest in 1995yr, about 35-year, Hydrological drought lasted longer was in 1995, the return period was about 20-year. Though duration as well as magnitude is a key variable in drought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method using the annual minimum flow duration not distinguish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