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재해 감소

Search Result 462, Processing Time 0.03 seconds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Industrial Accident and Disaster Reduction in Distribution Center (물류센터의 산업재해 특성분석 및 재해감소에 관한 연구)

  • Kim, Young-ge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10a
    • /
    • pp.187-188
    • /
    • 2022
  • 물류센터의 유형별 산업재해 발생형태를 분류하여 대책을 수립함으로써 동종 및 유사 재해를 사전에 재해를 예방코자 한다. 국내물류센터에서 발생된 6년간의 유형별 발생형태를 세부적으로 분석하여 개선책을 수립하여 물류센터에서 발생한 산업재해 분석을 통해서 재해감소 방안을 모색할 수 있었다. 물류센터의 산업재해 분석을 통해서 재해감소 방안을 제시하므로써 물류센터의 재해율 감소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Need to Conduct Risk Assessment Using Job Safety Analysis (JSA) at Workplaces Such as Manufacturing Industries (제조업 등의 사업장에서의 작업안전분석(JSA)을 활용한 위험성평가 실시 필요성)

  • Park, Ki-Cheo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11a
    • /
    • pp.125-126
    • /
    • 2023
  • 산업현장에서 발생하는 산업재해, 특히 중대재햬(사망사고)는 중대재해처벌법이 시행 후에도 줄어들고 있지 않아 2023년부터 자기규율 예방체계를 중심으로 사업장 스스로 위험요인을 발굴·개선하여 산업재해를 감소하도록 산업재해 예방정책을 실시하고 있다(관계부처합동 산업재해 감축로드맵(2022.12.08.). 23년도 상반기 중대재해는 22년도(301명) 대비하여 17명 감소하여(284명) 다소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산업재해의 88%는 인적요인으로 발생하고 있어 작업자의 실수를 줄이는 것이 중대재해를 줄일 수 있어 JSA를 활용한위험성평가를 실시하여 산업재해를 줄이는 효과를 기대한다

  • PDF

A Study for Decrease Accident from Falls at the Construction Sites - Focused on Under 2nd Floor (건설현장의 추락재해 감소방안을 위한 연구 - 2개층 이하 높이 추락재해 감소 방안)

  • Park, Jun-Ky;Shin, Seung-Ha;Lee, Jung-Won;Kim, Kyung-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2008.11a
    • /
    • pp.918-921
    • /
    • 2008
  • There are various accident at the Construction site like fall, electric shock, roll over, clash, fire, body cutting. By the way, falls are the most causes accidents. So, the best way of decreasing Construction accidents is decreasing falls. Already, there are many studies about falls accidents, but those studies were pointed out unrealistic because falls accidents are increasing. For that reason, this study look for more concrete device. In this study, grasp the cause of falls accident from 2007 to 2008. 06. 30. And then, stand on this factor I set my face to look for the causes of falls accident. This access means will drive to remove core causes, and then that means will decrease the falls accidents. Moreover that means will contribute decreasing the hole construction accidents.

  • PDF

소규모 사업장의 산업안전보건개선을 위한 비용편익분석에 관한 연구

  • 김태구;이내우;김진현;최재욱;이근오;임배수;이우봉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Safety Conference
    • /
    • 2003.05a
    • /
    • pp.354-359
    • /
    • 2003
  • 최근의 재해발생 추이를 보면 1997년 이후 감소하던 재해자 및 사망자는 증가추세에 있다. 2001년도 산업재해통계의 경우를 보면 사망 만인율은 전년동기와 비교하여 감소(2.67$\longrightarrow$12.59)한 반면, 재해자는 11,297명이 늘었고 재해율도 증가하였다. 특히, 50인 미만 소규모 사업장에서 발생한 재해자가 전체 재해자의 69.5%를 점유하며, 전년대췽 전체재해자 증가 11,297명을 상회하는 11,392명이 50인 미만 사업장에서 증가하였다.(중략)

  • PDF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Industrial Accident and Disaster Reduction in Distribution Center (물류센터의 산업재해 특성분석 및 재해감소에 관한 연구)

  • Kim, Young-Geun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18 no.3
    • /
    • pp.560-565
    • /
    • 2022
  • Purpose: It is intended to prevent similar and similar disasters in advance by classifying the types of industrial accidents by type of distribution center and establishing countermeasures. Method: Development of improvement measures by analyzing in detail the types of occurrences of each type of 5 years in the distribution center. Result: Through the analysis of industrial accidents that occurred in the distribution center, it was possible to find ways to reduce disasters. Conclusion: It is expected to help reduce the disaster rate of the distriution center by presenting a disaster reduction plan through the analysis of industrial accidents in the distribution center.

Trends of Deaths and Missings Caused by Natural and Sediment Disasters in Korea (자연재해와 산지토사재해에 의한 희생자 수의 변화경향)

  • Lee, Chang-Woo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94 no.4 s.161
    • /
    • pp.252-257
    • /
    • 2005
  • The study on long-term change of natural and sediment disasters such as landslides and debris flows is not thoroughgoing enough in spite of increasing of concern for disaster. Therefore, the change of natural and sediment disasters was investigated with the number of victims caused by both disasters and the ratio of sediment disasters for natural disasters was compared. The number of victims by sediment and natural disasters has apparently been decreasing despite of the change of rainfall pattern. The number of victims was changed to 140 persons/year in the late 1990s from 250 persons/year in the 1970s of natural disaster and that of sediment disaster to 20 persons/year in the late 1990s from 60 persons/year in the late 1970s. Furthermore, the ratio of sediment disaster victims to natural disaster victims has decreased from 2/7 in the 1970s to 2/15 after 1980s. But, the system of sediment disaster management and new soil erosion control works tough introduction of watershed management concept are requested because of increased landslide area in recent years (206ha in 1981 $\rightarrow$ 688ha in 1999).

재해율 감소 추세 속에 중상해재해 비중은 증가

  • 대한설비건설협회
    • 월간 기계설비
    • /
    • s.110
    • /
    • pp.77-81
    • /
    • 1999
  • 산업재해의 발생추이는 통계가 집계되기 시작한 64년 이후 65년 5.91$\%$를 정점으로 등락을 거듭하다 83년부터는 계속해 감속, 98년에는 0.68$\%$를 기록했다. 그러나 사망자수와 영구히 장해가 남는 신체장애자의 발생은 증가하는 추세에 있고, 최근 들어서도 건설현장의 대형재해와 석유산업단지의 폭발사고 등이 연이어 발생하고 있다. 정부는 이에 따라 향후 매년 사망$\cdot$재해자 10$\%$, 근로손실 5$\%$ 감소를 목표로 하는 산업안전선진화 3개년 계획을 추진하기 위한 `신 산업안전선진화기획단`을 출범시키고 본격적인 활동에 들어갔다. 산업재해 발생현황에 대해서 살펴보고 신 산업안전선진화계획의 세부내용을 알아보도록 한다.

  • PDF

Natural Hazard Research in Geography (지리학 측면에서의 자연재해연구)

  • 김욱중
    • Water for future
    • /
    • v.22 no.4
    • /
    • pp.415-415
    • /
    • 1989
  • 자연재해연구는 인간.자연환경 관계를 연구하는 학문이다. 금세기초 환경결정론, 환경가능주의, 그리고 인지에 의한 행동과학주의로 연구 Paradigm이 변화.발전되어 오며서 지리학에서도 이러한 이론적 방법론의 바탕위에 인간-자연환경 관계를 설명하려고 노력했다. 1920년대 초 Barrow가 인간생태학 개념을 발표, 1950, 1960년대 이에 영향받은 White, Kate와 Burton 같은 미국의 자연재해지리학자들은 미국에서 홍수재해문제를 인간적응, 특히 "인식"의 역할에 중점을 두어 재해지역에서 자원이용과 이의 관리문제를 연구하였다. 1970년대 들어오면서 재해의 양상, 적응방법등이 연구되고, 또한 적응의 여러 비교연구가 있었으며, 사회성과 관련 사회학적 연구 접근과 다양한 레벨의 케이스 Study 또한 이루어졌다. 오늘날의 자연재해연구는 일반재해연구로 발전하여 핵반응, 각종산업.교통재해, 화학물질 및 환경오염문제, 각종 소음공해, 폭발물 사고 등 참으로 여러 종류의 사회문제가 재해연구의 대상이 되었고, 근래에는 약물중독, 성폭행, 그리고 복잡한 현대사회에서 제기되는 정신질환까지 일종의 재해문제로 다루어 지리학내에서 연구되고 있다. 이와같이 연구의 많은 변환.발전과 함께 처음 Academic한 연구로 시작된 재해문제 연구가 이에 관심을 같는 여러분야 즉, 경제.사회, 심리학자, 토지이용개발자, 보험, 은행, 부동산업자 재해와 관련있는 민간단체, 정부기관, 정책실행기관등이 참여하는 공동연구가 활발히 행하여지고 있다. 최근에는 "세계 자연재해 감소 10개년 계획"이라는 Program을 미국이 주동이 되어 국제적인 기구로 만들어 관심있는 여러국가의 과학자, 재해연구가, Engineer, 정부관계자들이 참여 서로 정보와 지식의 교환, 세계의 개발.재개발에 대한 계획, 재해감소의 교육훈련등 다채로운 Project을 가지고 세계 자연재해 감소를 위하여 공동연구의 노력을 하려는 움직임이다. 세계의 권위있는 재해통계에 의하면 한국이 매년 자연재해로 인하여 100만명당 1,000명이 희생되는 나라로 방글라대시, 이란, 중남미와 페루, 과태말라, 동남아시아의 뉴기니와 나란히 중진개발도상국으로 몇안되는 나라의 하나로 들어있는 것을 볼 때 유감이 아닐수 없다. 우리나라는 하루빨리 이러한 자연재해로부터 아까운 생명과 재산을 잃어버리고 있는 고통과 문제를 해결하려는 민간.정부차원에서 관심을 기울이고 우선 기본적인 연구의 기틀을 마련하는 제도적 장치와 분위기가 아쉽다고 않을 수 없다.와 분위기가 아쉽다고 않을 수 없다.

  • PDF

A Study on the Effect of the SHMS Under the Act on the Management of Serious Disasters on the Safety Performance of Companies (중대재해처벌법 안전보건관리체계 구축이 기업의 안전성과에 미치는 영향)

  • Seo, Jeong-Soo;Cheung, Cho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10a
    • /
    • pp.255-256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중대재해처벌법 안전보건관리체계 7가지 핵심요소가 기업의 안전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최초 연구이다. 이를 위해 중대재해처벌법 안전보건관리체게 7가지 핵심요인별 측정도구를 개발하고 기존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한 안전성과 측정도구를 적용하여 그 관계성과 재해발생빈도 감소의 영향도 확인 한다. 연구결과는 중대재해처벌법 안전보건관리체계 구축이 안전성과에 유의한 결과를 가질 것으로 보이며, 안전보건관리체계 구축이 재해발생빈도 감소에도 직접적인 영향이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개발된 중대재해처벌법 안전보건관리체계 구축 측정 도구는 향후 여러 산업분야의 안전관리 및 성과 측정에 많이 활용 되리자 본다. 그리고 향후 안전보건관리체계 구축-안전성과-재해경감활동관리체계 관계연구의 기초 연구가 될 것 이다.

  • PDF

A Research on the Reduction Plan of Falling Accidents in Small Construction Sites (건설현장의 떨어짐 재해 감소방안에 대한 연구)

  • Choi, Seung-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10a
    • /
    • pp.235-236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업무상 사고 재해자와 사망자가 가장 많은 공사금액 20억 원 미만 소규모 건설현장에서 떨어짐 재해를 줄이는 방안을 제시하여 전체 건설현장의 재해 감소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연구에 기반이 되는 이론(하인리히 법칙, 버드의 도미노 이론과 하베이 3E이론)을 검증하기 위하여 자료를 분석하고 국내·외 사례를 통해 선행연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떨어짐 재해발생원인을 다음과 같이 도출하였다. 첫째, 근로자의 안전·보건의식이 부족하다. 둘째, 떨어짐 방지 안전시설이 미비한 현장이대다수이다. 셋째, 위험성평가 제도의 현장 적용이 난이하다. 또한, 사례연구 분석을 통해 2015년~2016년 OO지역의 떨어짐 재해가 발생한 공사금액 20억원 미만 약 15개소 소규모 건설 현장을 방문하여 현장 소장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공사금액 20억 원 미만 소규모 건설현장의 떨어짐 재해를 줄이기 위한 개선방안으로 자발적으로 체험할 수 있는 근로자 교육, 떨어짐 방지 안전시설을 지원해주는 정부지원 그리고 위험성평가 간소화를 제안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