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재해위험도

Search Result 1,180,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Development Trends of Small Unmanned Ground Vehicles in Technology Leading Countries (기술 선도국의 소형 무인 지상 차량 개발 동향)

  • Ryu, Jun-Yeol;Kim, Soo-Chan;Kim, Tae-Wa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22 no.1
    • /
    • pp.214-220
    • /
    • 2021
  • SUGVs (Small Unmanned Ground Vehicles) are being used to conduct dangerous missions, such as EOD (explosive ordinance disposal), counter-terrorism operations, fire extinguishing and fire-fighting reconnaissance, reconnaissance of disaster areas, and surveillance of contact areas. Technology leading countries, the United States, United Kingdom, France, Germany, and Israel, have developed and operated various SUGVs for use in the military and civilian fields. The developed system was upgraded further based on additional requirements associated with data collected during the actual operation. The development trends of technology leading countries are an important indicator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SUGVs. In this study, the development trends and missions of SUGVs operating in the technology leading countries were analyzed. Based on the development trends of SUGVs in these countries, this paper discusses the features and design characteristics needed for the development of SUGVs in future military and civilian domains.

A Study on Practical Education System for Coastal Pollution Control Volunteers (해안오염방제 자원봉사자에 대한 실용적인 교육제도 연구)

  • Chang, Ji-Woong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18 no.2
    • /
    • pp.343-350
    • /
    • 2022
  • Purpose: The Taean oil spill in 2007 taught us a great lesson and i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a social disaster. It was overcome through the dazzling dedication and service of volunteers. However, behind the volunteers, they were directly or indirectly exposed to the spilled oil, resulting in health problems such as headaches and safety accidents. Safety accidents were caused by unsafe behavior, and unsafe behavior was caused by lack of safety awareness or ignorance. We want to find an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 to systematically raise safety awareness for volunteers in connection with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 Method: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law, the laws related to coastal clean-up, and the unsafe behavior factors in the statistics of occupational accidents in the past year were mainly identified. Result: The contents of education and training hours to be provided for volunteers involved in coastal clean-up were presented in comparison with workers under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 Conclusion: Safety and health education for volunteers and volunteer managers is directly related to safety awareness and can prevent unsafe behavior.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Safety of Measuring Instrument Structure and Performance by Expansion of Gas AMI (가스 AMI 보급 확대에 따른 계량기 구조 및 성능 안전성 향상 방안 연구)

  • Lee, Hyoung-Min;Kim, Min-Gi;Choi, Eun-Il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Gas
    • /
    • v.26 no.5
    • /
    • pp.10-15
    • /
    • 2022
  • Currently, some urban gas companies are conducting their own gas AMI meter verification projects, along with the demonstration of gas AMI (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 meters under the supervision of the government. There are many positive factors such as remote meter reading and ensuring user gas safety through AMI meter installation, but on the other hand, there are also many problems such as battery discharge, expensive price, and decreased reliability of remote meter data. This study sought various improvements in gas AMI meters along with prevention of serious civil disasters by preemptively eliminating structural safety problems and potential risks from gas leakage due to the expansion of gas AMI meters, and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government's policy to advance gas AMI.

Slope Stability in Logging Areas Using Unmanned Aerial Vehicle Imaging (무인항공기 영상 촬영을 활용한 벌목지역의 비탈면 안정성 평가)

  • Kim, Tae-Wan;Yoo, Hyung-Sik;Park, Seok-In;Kim, Jae-Hong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 /
    • v.38 no.7
    • /
    • pp.39-47
    • /
    • 2022
  • This study aims at evaluating the stability of disaster risks, such as schools, apartments, and geotechnical structures located around slopes in urban areas. The research conducted an aerial photography analysis on where the slope of the retaining wall behind 𐩒𐩒 High School in Gwangju collapsed in August 2018 due to heavy rain. In general, the overflow of rainwater has been managed through drainage channels around slopes during the rainy season, and the surface flow of rainfall was limited due to the presence of dense forests in the area. However, when the slope collapsed, a lot of water flowed out of the ground, and the saturated surface layer ground was destroyed. To analyze the cause, the changed terrain of the upper slope area, which could not be directly identified, was photographed using unmanned aerial vehicles. Digital Elevation Model by unmanned aerial vehicle shooting was performed by analyzing the slope map, calculating the direction of rainfall and the length and width of water-logged areas. The change in the instability of the slope over time due to a 10-day rainfall was also analyzed through numerical analysis.

A Study on the Prediction of City Gas Accident Damage by Consequence Analysis (Consequence Analysis를 통한 도시가스 사고 피해 예측에 관한 연구)

  • An, Jung-sik;Kim, Jihye;Yu, Jihoon;Kim, Jongkyoung;Kang, Subi;Cho, Donghyu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Gas
    • /
    • v.26 no.4
    • /
    • pp.36-40
    • /
    • 2022
  • Recently, the biggest topic in the industry is the area of industrial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Since city gas is flammable gas and has a high risk of fire and explosion, much effort is required to prevent serious industrial and citizenry disasters. As part of city gas safety management, this study attempted to quantitatively predict the scope and degree of damage in the event of an explosion accident caused by city gas leakage through the Consequence Analysis. As a resul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accident result value according to various leakage conditions such as pressure and weather conditions. Through this study, a scenario of explosion due to city gas leakage will be prepared when performing city gas safety management work and used to prepare more effective accident prevention and emergency action plans.

Investigation and Maintenance of Sewage Pipeline to Prevent Water Seepage (내수침수 방지를 위한 하수관로 조사 및 유지관리)

  • Kim, Jae Gu;Jo, Deok J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109-109
    • /
    • 2023
  • 지구 온난화 등 기상이변으로 추정되는 단시간 동안 특정지역에 집중되는 국지성 집중호우가 빈번해지고 있으며, 내수침수가 홍수재해의 주된 원인이 되고 있다. 내수침수의 원인으로는 하수관로의 통수능력 부족(39%), 저지대 침수(37%), 내수배제불량(16%) 및 기타(8%)로 조사된 바 있으며, 이중 하수관로의 경우 용량 및 통수능 부족, 구배불량, 토사퇴적에 의한 배수 불량 등으로 이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기초자료의 조사가 우선 되어야 한다. 하수관로의 문제로 인한 내수침수의 원인으로 첫째 하수관로 내·외부 불량으로 인한 통수능 저하로 측구 및 빗물받이에 토사 등 장애물, 관로내부 장애물, 관로내부 불량(뿌리침임, 영구장애물, 관붕괴, 관파손, 관변형, 내피생성, 토사퇴적 등)이 있으며, 두 번째로 하수관로 구배불량과 마지막으로 외수위(또는 해수위) 상승으로 인한 내수침수로 구분될 수 있다. 이러한 하수관로의 문제점은 많은 부분이 불탐지역으로 조사가 매우 어려워서 대안 없이 방치되는 실정이다. 금회 연구에서는 이러한 불탐지역의 조사를 위한 장비의 개발 및 정밀조사를 통해서 하수관로를 진단하고 내수침수 예방을 위한 대책을 찾고자 하였다. 특히, 계단부 관로조사용 내시경 VR장비, 준만관 조사용 부유식 VR장비, 가스 및 안전위험 지역 조사용 지하 드론 장비를 개발하여 시험검증을 하고자 하였다. 또한, 스마트 하수관로 체계에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하수관로 토탈 솔류션(nPASS) 시스템으로 내수침수대응 및 하수관로 유지관리를 위한 시스템의 필요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하수관로의 선진화를 통한 내수침수예방의 시작은 불탐지역 하수관로 조사를 통한 정확한 원인 파악이며, 조사 및 축적되는 빅데이타를 기반으로 하수관로 토탈 유지관리 시스템의 구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 PDF

Rainfall and Inflow Simulation for Rill Erosion of Sand Soil (마사토의 세류침식에 대한 강우와 유입수 모의실험)

  • Sang Jin Son;Sang Deog Park;Seung Sook Sh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194-194
    • /
    • 2023
  • 세류침식은 급경사 나지사면에서 증가하는 지표흐름에 의해 빈번하게 발생하고, 과도한 토사유출로 인해 홍수 및 토사재해 위험 증가와 수질오염 등의 문제를 야기한다. 본 연구는 개발지역의 마사토를 활용하여 1.2 m × 5.5 m 규모의 3개 중규모 플롯에서 세류발달 특성, 유출 및 토사유출량을 파악하고자 강우와 유입수 모의실험을 수행하였다. 경사 조건 15°와 20°에서 유입수 유무에 따른 4회의 반복실험이 진행되었으며 마사토의 평균입경은 0.89 mm이다. 강우강도 범위는 90~140 mm/hr이며, 유입수 유량은 합리식으로 계산하였으며 100~130 ml/sec이다. 하천 차수분석방법인 Horton방법을 사용하여 세류별 차수를 나누었다. 세류절개는 유입수가 없는 경우 실험 시작 약 1분 후에 발생하였고, 최대 2차수까지 세류가 발달하였으며, 유입수가 있는 경우 약 30초 후 발생하였고, 최대 3차수까지 세류가 발달하였다. 세류발달에 대한 수리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염료 추적방법에 의한 동영상 이미지 분석결과 유속은 0.06~0.43 m/s의 범위를 보였다. 유입수와 강우가 함께 공급되는 경우 강우모의 공급수량에 비해 1.32~1.69배 증가했고, 이에 따라 지표유출수는 1.13~3.93배로 증가폭의 범위가 넓었다. 세류발달에 의한 토사유출량은 유입수 유무에 따라 6.7~32.3배로 증가하였다. 결론적으로 강우와 유입수가 상호작용하는 경우 강우에 의한 박리현상보다 유입수에 의한 측벽붕괴 활동이 활발하게 진행되었고 이는 세류 발달 과정에서 지배적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 PDF

Estimation of future probabilistic precipitation in urban watersheds and river flooding simulation considering IPCC Sixth Assessment Report (AR6) (IPCC 6차 평가 보고서(AR6)를 고려한 도시 유역 확률 강우량 산정과 하천 침수 모의)

  • Jun Seo Yoon;Im Gook Jung;Da Hong Kim;Jae Pil C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88-88
    • /
    • 2023
  • 지난 100년 동안 전 지구의 기상 이변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기후 변화는 도시 홍수 피해에 큰 영향을 끼치는데 급속한 도시화와 이상 기후로 인한 돌발 강우 패턴의 증가는 도시 침수의 취약성을 가중시킨다. 또한 급격한 도시 발전으로 인한 도심지의 불투수율 또한 꾸준히 증가하였다. 특히 2022년 8월 8일에 강남역과 도림천 일대에 내린 기록적인 강우는 기후 변화를 실감하게 하는 사회적 이슈가 되었으며 도심지 미래 수방 대책 변화를 상기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이로 인한 재해 피해에 최소화하기 위해 미래 기후 변화를 고려한 도심지의 새로운 방재 목표강우량 설정이 필요하다. 하지만 전 지구 모형(GCM)의 기후 변화 시나리오는 일 단위(Daily) 상세화 자료를 보편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이는 단기 강우 자료를 필요로 하는 도시 홍수 모의에서 제대로 활용할 수 없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2019년에 발간된 IPCC 6차 평가 보고서(AR6)가 제안하는 SSP(Shared Socioeconomic Pathways, 공통사회경제경로) 시나리오를 기반하여 상세화된 일 단위(Daily) 강우 데이터를 비모수적 통계 기법을 사용하여 시간 단위(Hourly)로 상세화하였다. 또한 지속 시간별 연 최대치 강우를 추출하여 빈도 해석을 통해 도시 유역의 미래 확률 강우량을 제시하였으며, 서울시 상습적인 침수 취약 지역인 도림천 유역에 강우-유출 모형(XP-SWMM)을 사용하여 미래전망 기후 자료인 SSP2-4.5와 SSP5-8.5에 따른 미래 확률 강우 침수 모의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최신 기후 변화 시나리오를 고려한 서울시 방재 성능 목표 강우량 산정에 활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되며 미래 강우량 침수 모의를 통해 침수 취약 구역인 도림천 일대 홍수피해의 근거 자료가 되는 것에 의의를 둔다. 또한 치수 분야에서 기후 변화를 고려하기 위해서는 기후 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시간 단위 자료의 상세화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 PDF

Flood forecasting and warning technology development for The Construction site - Korea Gas Corporation Tongyeong Headquarters field demonstration (건설 현장 침수 예경보 기술 개발 - 가스공사 통영 기지본부 현장 실증 중심 )

  • Taekmun Jeong;Yeoeun Lee;Dongyeop L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255-255
    • /
    • 2023
  • 우리나라의 경우 집중호우와 돌발홍수로 인한 침수 발생에 대응하기 위해 유역 및 하천관리 사업, 각종 풍수해 예방사업 등을 추진하고 있으며, 관련 분야의 스마트기술 도입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2013년 노량진 상수도관 공사 현장 사고, 2019년 신월 빗물저류 배수시설 현장 사고 등과 같은 건설현장 침수 피해 사고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또한, 건설현장의 다양한 조건 및 시시각각 변화하는 상황에 따라 구조적 대책 및 대응방안을 수립하는 데 한계가 있으며 지금까지는 법, 제도에 기초한 대응 매뉴얼을 제작·배포하여 현장 근로자 교육을 실시하는 수준에서 진행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건설현장의 자연재해, 특히 수재해에 대응하기 위해 보다 과학적인 방법을 통한 현장 침수 예경보 체계를 수립하였으며, 강우예측-침수예측-침수예경보 생산-현장 상황전파에 이르는 일련의 시스템을 개발하여 공사별, 규모별, 공정별 침수 대응 솔루션을 제공하고자 한다. 건설현장 침수예경보 시스템 개발의 주요 내용은 요소기술 개발이며, 간략하게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① 강우 예측정보 생산: 현장에서 발생하는 집중호우를 고려하는 실시간 강우측정 자료와 연계한 초단기 강우예측 기술 개발, ② 침수 예측모델 개발: 현장의 시공간적 특성, 수재해 피해의 유형 등을 반영할 수 있는 침수피해 예측 모델 개발, ③ 침수예경보 의사결정 방법론 개발: 침수 피해 예경보를 위한 침수 위험단계 세분화 및 노모그래프 개발과 모델 적용(예측정확도 85% 이상), 이를 통합하여 건설현장 침수예경보 시스템 개발을 수행하게 된다. 연구에서 개발된 침수 예경보 통합 시스템은 향후 수재해로 인한 건설현장의 인명, 재산 피해 최소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Development of Inspection Checklist through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isk Improvement Ratio and the Accident Ratio in Food Manufacturing Industry (식료품 제조업 유해·위험요인 개선율과 재해율의 관계 분석을 통한 점검 체크리스트 개발)

  • Ho houng Yu;Doo-Hyun Kim;Sung-Chul Kim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 /
    • v.38 no.4
    • /
    • pp.47-53
    • /
    • 2023
  • In the inspection of workplace hazards/risk factors by specialized institutions dedicated to safety management, inspection reports vary based on the inspectors, who lack the authority to enforce improvement of workplace hazards/risk factors. Thus, improvement and accident rates remain steady without decreasing. This study performed a regression analysi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mprovement and accident rates of categorized inspection items by classifying hazards/risk factors from inspection reports submitted by a specialized safety management institution in Chungbuk after inspecting 10 food and beverage manufacturers over the past three years. The hazards/risk factors were classified into five categories: mechanical, electrical, chemical, human, and environmental. Th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the improvement rate of hazards/risk factors inspected by the specialized safety management institution influenced accident rates. To enhance improvement rate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prioritized the correction of the five most frequently cited inspection items with the lowest improvement rates in each area. Based on these inspection items, this study suggested a checklist for use in workplace safety inspections of food manufacturers. This proposed checklist is expected to reduce accident rates in food manufacturing facilities. Currently, guidance and inspection of workplaces are mainly focused on accident rates rather than correcting hazards/risks. Thus, accident rates remain unchanged as workplace risks are inadequately improved according to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each workplace. When conducting workplace guidance and inspection, policy measures and inspection methods are warranted to increase the improvement rate of hazards/ris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