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재해복구시스템

Search Result 113,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A Study on the Basic Directions for Forest Rehabilitation Programs Considering to Economic and Social Conditions of North Korea (북한의 경제사회적 여건을 고려한 황폐산림복구 기본방향 연구)

  • Park, Kyung Seok;Lee, Seong Youn;Park, So You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100 no.3
    • /
    • pp.423-431
    • /
    • 2011
  • The changes of forest degradation in North Korea have closely been related to political, economic and social conditions at all different times. The deforestation by local people for their livelihood has been accelerated when the recession has been worsened due to the 1990's collapse of socialism and the years of natural disasters, and the fall of the centralized and planned economy system. The serious recession in the 1990's has brought many changes in the North Korean society since the 2000's. Not only the underground economy, but also the market in which personal trades are occurred have been expanded as the distribution system of the planned economy system had fallen. In addition, even many state institutions have also increased timber harvest for export to acquire insufficient foreign currency. Eventually, North Korea felt the limits of utilization of forest resources under socialism then started to seek measures to restore devastated forest, while realizing the need of support from the international society. Therefore, some NGOs of South Korea started to give financial support on building tree nurseries in which seedlings for planting are produced to help the rehabilitation of the degraded forests in North Korea. Therefore, Planning of the basic directions for forest rehabilitation programs considering to economic and social conditions of North Korea are needed based on the successful rehabilitation experience of South Korea in the 1970's. First of all, relationships which was built after collapse of centrally planned economy between districts, businesses and workers must be consider to rehabilitate forests in North Korea. Secondly, due to the nature of forest rehabilitation projects this is very needs voluntary participation of resident for a long time, and then forest rehabilitation projects can create jobs for local resident, they can obtain continuous income on the forest rehabilitation projects field in order to promote resident's work in forest rehabilitation projects. Thirdly, the rate dependence on forests of the residents living must keep the level down by rural development projects going side by side with forest rehabilitation projects. Fourthly, use of exsisting forest management system in North Korea is also needed to ensure administrative power and labor for grand scale plantations in a short period of time. Meanwhile after the success of Forest Rehabilitation, it is very important to improve exsisting forest management system.

A Study on the Critical Success Factors and Practical Method of Information System Disaster Recovery : Assuring Business Continuity of Information System Interface Specification Modeling (정보시스템 재해복구의 핵심성공요인(CSF)과 실천방안에 관한 연구)

  • Jeong, Young-Hee;Lee, Jung-Hoon;Kim, Eun-Young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Services
    • /
    • v.10 no.4
    • /
    • pp.83-101
    • /
    • 2011
  • Since most of companies these days are utilizing the Information system actively, Information System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which should be recovered in terms of Business Continuity. However, a lot of enterprises have been outsourcing their Disaster Recovery Center. Therefore, it is highly possible that the information system can not work well and result in the discontinuity of business when any trouble arises because of seperated plan of Business Continuity and Disaster Recovery. The study draws critical success factors for successful disaster recovery through researches of 42 documents. Then, factors are reviewed through interviews with consultants, experts of Business Continuity Plan and the information system officers of domestic banks. Domestic companies can make use of the study when they develop or renew Disaster Recovery Plan or Information System in terms of Business continuity.

국내외 BCP 분석을 통한 우리나라 기업에 효율적인 BCP 적용 방안 연구

  • KIM, Yun-Jong;KIM, Sung-Hyun;Park, Mi-Hye;Choi, Seung-Woo;KIM, Hak-Beom
    • Review of KIISC
    • /
    • v.26 no.1
    • /
    • pp.68-78
    • /
    • 2016
  • 최근 세계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사이버 공격, 안전 불감증 등의 인재 및 지진, 태풍 등 자연재해로 인한 피해가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나 이에 대한 예방, 대비, 대응 및 복구에 대한 일련의 체계적인 활동은 미흡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업무 연속성 계획(BCP : Business Continuity Planning)의 정의 및 필요성에 대해 소개하고, 효율적인 BCP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국내외 BCP 현황에 대해 조사 연구하였다. 미국, 영국, 호주, 일본은 각각 정부기관 차원의 체계적인 관리를 통한 시스템을 마련하고 있는 바 그 효과에 대해 검토하여 우리나라 BCP 현황과 비교 분석한 후 우리나라 기업에 효율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Establishment of Corresponding Criterion for Flood Damage Mitigation in Local Government (지자체 홍수피해 저감을 위한 홍수대응기준 수립)

  • Cho, Wan Hee;Kim, Bong Jae;Lim, Dong Jin;Shin, Cheol Kyun;Kim, Seung Beo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256-256
    • /
    • 2017
  • 최근 기후변화가 가속화되면서 집중호우가 급증하고 계획홍수량을 초과하는 홍수재해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에 주요 선진국들은 홍수대응을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을 도입하고 있다. 구조적 측면에서는 기존 제방 위주의 홍수방어에서 벗어나 유역에서 홍수 방어구획 설정, 대심도 터널 등 다원적 홍수방어체계로 전환하고 있다. 또한 ICT를 활용하여 다양한 수문정보를 실시간으로 관측하고 홍수상황을 신속하게 전파 대응할 수 있는 비구조적 대책도 적극적으로 개발하고 있다. 미국의 경우, 홍수량과 발생 확률을 예측한 정보를 시민들에게 조기에 제공함으로써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홍수대응은 여전히 구조적 대책과 사후복구에 집중되어 있는 안타까운 상황이다. 세계 최고수준인 우리나라의 ICT 인프라를 이용하여 실시간 수문자료를 공유하고 이를 홍수대응에 활용하면 재난을 미연에 방지하는데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홍수관련 유관기관 자료를 연계한 실시간 수문상황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만으로는 지자체 홍수피해 저감에 한계가 있을 수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수집된 실시간 수문정보를 활용한 홍수분석 및 하천수위별 대응기준 수립을 통한 예방적 재난대응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A지자체를 대상으로 홍수분석 모형을 구축하고, 구축된 모형의 계산결과를 활용하여 예상강우별 도달시간, 수위상승 등을 예측하고, 하천수위별 대응기준을 수립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수위별 대응기준은 현장에서 계측되는 수위값을 기준으로 홍수예보기준, 하천기본계획의 제방고 및 주변 제약 사항을 고려하여 직접알람 기준으로 활용하였다. 또한 대상 수위국에 대하여는 2~3년간의 관측자료 확보 및 유량측정을 통해 대응기준의 보완을 진행할 예정이다. 재난관련 골든타임을 확보하고 홍수피해 최소화를 위한 홍수재해 통합관리 체계 구축은 이제 선택이 아닌 필수라 할 수 있다. 특히 본 연구로 산정된 홍수대응기준과 함께 물관리 유관기관의 실시간 수문자료 공유체계 구축, 홍수통제기관 또는 기술력을 보유한 재해대책 책임기관과의 유기적인 기술교류 등을 통해 지자체 홍수피해 저감을 위한 능동적인 홍수대응 체계 구축이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 PDF

A Study on Foreign Cases for the Management of Extreme Heat Response Plan in Korea (우리나라 폭염종합대책의 효율적 운영에 관한 외국사례 연구)

  • Kim, Ji-Young;Kim, Jung-Ok;Yu, Ki-Y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 /
    • v.7 no.2 s.25
    • /
    • pp.25-33
    • /
    • 2007
  • In most developed countries, Extreme heat alter system operates every summer and the response plan to be issued according to this system is composed of some government agencies sub-plans. The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in Korea develops response plan but it is not composed of the definition of the heat vulnerability and the concrete agency roles. Therefore, this study analyses foreign cases in three processing: preparedness, response, recovery and reviews the status of heat response plan. As a conclusion, the study suggests two ways of Extreme heat management into Korean heat response plan such as strengthening its institutional position and complementing its context.

Development of a USN-Based Monitoring Scenario for Slope Failures (USN 기반의 사면붕괴 모니터링 시나리오 개발)

  • Kim, Kyoon-Tai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11 no.6
    • /
    • pp.122-130
    • /
    • 2010
  • Seventy percent of Korea's national territory is covered with mountains, and the land is frequently exposed to typhoons and localized torrential downpours, particularly in July through September. For this reason, slope failure is one of the most frequent types of natural disasters in Korea. To prevent the damage caused by slope failure, the Korean government, academia and industry have strived together to develop and install a wired system for monitoring slope failures. However, conventional wired monitoring systems have been reported to have limitations, such as possible system errors caused by lightning, and the difficulties of restoration and management of the systems. To solve these problems, this research suggests a USN-based monitoring system for slope failures. First, the trend of slope measurement and USN technology was analyzed, and then the current status of damage caused by slope failures in Korea was reviewed. Next, a USN-based monitoring scenario for slope failures, incorporating both USN and slope monitoring technique, was developed. Finally, sensors were decided based on the developed scenario.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tilized as fundamental data for the development of monitoring prototype systems for slope failures in the future. The development of the USN-based monitoring system for slope failures and its application in the field will also ultimately contribute to the prevention of slope failures and the minimization of related damage.

Development of a Close-range Real-time Aerial Monitoring System based on a Low Altitude Unmanned Air Vehicle (저고도 무인 항공기 기반의 근접 실시간 공중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 Choi, Kyoung-Ah;Lee, Ji-Hun;Lee, Im-Pyeong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19 no.4
    • /
    • pp.21-31
    • /
    • 2011
  • As large scaled natural or man-made disasters being increased, the demand for rapid responses for such emergent situations also has been ever-increasing. These responses need to acquire spatial information of each individual site rapidly for more effective management of the situations. Therefore, we are developing a close-range real-time aerial monitoring system based on a low altitude unmanned helicopter. This system can acquire airborne sensory data in real-time and generate rapidly geospatial information. The system consists of two main parts: aerial and ground parts. The aerial part includes an aerial platform equipped with multi-sensor(cameras, a laser scanner, a GPS receiver, an IMU) and sensor supporting modules. The ground part includes a ground vehicle, a receiving system to receive sensory data in real-time and a processing system to generate the geospatial information rapidly. Development and testing of the individual modules and subsystems have been almost completed. Integration of the modules and subsystems is now in progress. In this paper, we w ill introduce our system, explain intermediate results, and discuss expected outcome.

Study on Corresponding Water Level to Inundation of Ungaged Point using 1D Hydraulic Analysis Mode (1차원 수리해석을 통한 미계측 지점 침수대응수위 검토 연구)

  • Kim, Tae Hyung;Kim, Keuk Soo;Kwak, Jae Won;Ro, Young Sin;Park, Yong W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338-338
    • /
    • 2017
  • 하천기본계획, 생태하천 복원사업, 또는 하천재해예방 사업 등에 의해 수행되는 하천정비사업은 홍수재해예방, 생태하천 복구 등 여러 목적에 의해 시행되고 있다. 특히 최근 이루어지는 하천정비사업은 공원, 캠핑장, 주차장 등 시민들에게 다양한 편의시설을 제공하기 위한 친수공간으로 조성되고 있다. 이러한 하천구역 내의 친수공간 조성은 홍수주의보 및 홍수경보에 대응하는 유량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유량에도 침수피해가 발생함으로써 중소규모의 유량에 대한 홍수위험도도 함께 증가시켰다. 친수공간 및 교량하부도로 등 저수위에 대한 홍수취약구간의 홍수정보를 취득하기 위해서는 해당 위험지점의 수위관측을 통해 위험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하는 것이 홍수피해에 대비하고 대응하기 위한 가장 확실한 방법이다. 하지만, 예산과 인력 등의 문제로 인해 모든 지점에 대해 수위관측을 실시하여 홍수예보시스템에 의해 홍수예측정보를 제공하기에는 현실적으로 한계가 있다. 따라서 친수공간에서의 홍수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각 친수공간의 지형정보가 인근의 홍수예보지점 또는 수위관측소 지점과 어떠한 연관성을 갖는지 분석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1차원 수리해석 모형을 통해 원거리에 위치한 수위관측 및 홍수정보를 이용하여 하천구역내 위치한 친수공간에 대한 침수위험도를 분석하기 위한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즉, 원거리에 위치한 수위관측소의 수위 및 유량 정보를 활용하여 수위관측이 이루어지 않는 지점의 침수정보를 예측하기 위한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낙동강 하류부에 대해 제시한 방법론에 의해 목표로 하는 친수공간에 대한 유량별 수위에 대한 침수도표를 작성하였다. 본 방법론과 이에 의해 작성된 친수공간의 침수도표는 취약구간에 대한 각 수위별 침수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Groundwater Management System for Prediction of Ground Subsidence (지반침하의 사전 예측을 위한 지하수 관리방안)

  • Chae, Dong 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58-58
    • /
    • 2020
  • 최근 급속한 지하공간의 개발로 인해 도로함몰 등 지반침하가 지속적으로 발생되어 이에 대한 안전문제가 끊임없이 제기됨에 따라, 원인규명 및 대책방안을 두고 다양한 조사 및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지하개발 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유출지하수 내 지하수와 함께 토사가 유출될 경우 지반함몰이나 붕괴로 이어져 대규모 재해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현장에서 계측되는 데이터를 통해 사전에 지반침하를 감지할 수 있는 경보 시스템이 마련될 필요가 있으며, 이에 대한 기술개발과 관리기준의 변화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지하공간 개발 시 적용되는 지하수 관리 매뉴얼 중 가장 중요한 부분인 계측관리 부분에 관해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를 보완하기 위한 계측 관리 및 행정 절차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한다. 지중에서 발생하는 토립자의 이동, 공동발생 및 지반함몰의 거동은 근본적으로 지하수의 이동에 의해 필연적으로 발생되며, 그 규모는 유출지하수량의 발생규모와 상관성이 높게 분석되었다. 계측 관리의 문제를 보완하기 위하여 첫 번째로 지중 굴착 시 계측되는 유출지하수와 지하수위를 연계하여 분석하여 기준을 마련하였고, 추가로 지하수 내 탁도 값을 측정하여 이를 더하여 서로간 상관성 분석을 통해 기존 지하수위 계측자료의 관리기준을 보완하였으며, 최종적으로 현장에서의 계측된 데이터를 통해 지반침하를 사전에 예측할 수 있다. 계측된 데이터의 분석결과 위험도가 감지될 경우 공동발생의 방지 및 복구에 관한 방안이 제시되며, 문제 발생 지점의 범위를 국한하여 신속하고, 경제적으로 해결해 나갈 수 있다. 이를 위해 현행 지하수법의 개선과 행정적 절차가 보완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지하공간 개발 시 지하수 관리의 개선으로 사전에 지반침하를 예측 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재해를 미연에 방지할 뿐만 아니라 건설산업 현장의 스마트 관리체계를 구성하여 미래 지향적인 토목현장 및 국민에 대한 신뢰도를 재고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Soil Volume Computation Technique at Slope Failure Using Photogrammetric Information (영상정보를 활용한 사면 붕괴 토사량 산정 기법)

  • Bibek, Tamang;Lim, Hyuntaek;Jin, Jihuan;Jang, Sukhyun;Kim, Yongseong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 /
    • v.19 no.12
    • /
    • pp.65-72
    • /
    • 2018
  • The uses of unmanned aerial vehicles (UAV) have been expanding in agriculture surveys, obtaining real time updates of dangerous facilities where human access is difficult, disaster monitoring, and 3D modeling. In reality, there is an upsurge in the application of UAVs in fields like, construction, infrastructure, imaging, surveying, surveillance and transportation. Especially, when the slope failure such as landslide occurs, the uses of UAVs are increasing. Since, the UAVs can fly in three dimensions, they are able to obtain spatial data in places where human access is nearly impossible. Despite of these advantages, however, the uses of UAVs are still limited during slope failure. In order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this study computes the soil volume change during slope failure through the computation technique using photogrammetric information obtained from UAV system. Through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photogrammetric information from UAV can be used to acquire information on amount of earthworks required for repair works when slope collapse occurs in mountainous areas, where human access in difficul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