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재해대응

Search Result 677,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Analysis of Disaster Recovery System in Bank Industry (국내 금융권 재해복구시스템의 문제점 분석)

  • Kim Yong-soo;Baek Seung-Moon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0 no.2 s.34
    • /
    • pp.223-229
    • /
    • 2005
  • DRS (Disaster Recovery System) that was invested on a large-scale becomes obsolete when it is neglect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lso the DRS can not be accomplished through the duplicated computer systems. When a disaster happens, the normal operation is possible only if the processes that had been being done before the disaster recover without any loss. Therefore the DRS is not a IT project but needs an analysis of whole business Processes and business continuity plans. This paper analyze the present state of DRS of the domestic bank industry and suggests a remedy.

  • PDF

Establishment of digital twin based water resources management platform (디지털 트윈 물관리 플랫폼 구축 및 고도화)

  • Cho, Wan Hee;Chae, Byung Soo;Kwon, Moon Hyuck;Kim, Jin Gon;Kim, Ki 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115-115
    • /
    • 2022
  • 2020년 역대 최장의 기간을 기록한 장마는 8월초 기록적인 폭우와 홍수로 이어지면서 전국 곳곳에 많은 인명과 재산피해 등 커다란 상처를 남겼다. 최근의 재해 발생 및 특성을 살펴보면 수자원 시설물의 운영·관리 기준의 한계를 벗어난 극단적 기후 현상의 규모와 발생빈도가 급격하게 증가하는 추세가 나타나고 있다. 이처럼 기후위기의 영향으로 집중호우, 극한가뭄 등의 발생빈도와 그 강도가 급증하는 상황에서 실제상황을 보다 신속, 정확하게 모니터링하고 예측하여 물관련 재해를 예방하고 대처하는 것은 무엇보다 시급한 과제라 할 수 있다. 또한 세계 각국은 코로나19로 인한 패러다임의 변화에 대응하고 경제위기 극복을 위해 산업 전반에 걸쳐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 하고 있다. 정부도 코로나19로 촉발된 위기 극복을 위해 한국판 뉴딜의 대표과제로 디지털 트윈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K-water는 정부의 디지털 전환 정책에 발맞추어 기후위기에 따른 물관리의 복잡성, 불확실성에 대응하고 효율성과 신뢰도를 제고하기 위해 섬진강유역을 대상으로 디지털 트윈 물관리 플랫폼 구축을 추진하였다. 본 플랫폼은 유역내 기상·수문 관측자료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홍수, 가뭄, 수질, 댐안전 등 다양한 이슈를 사전에 시뮬레이션하여 결과를 3차원 지형에 표출하고 이에 대한 피드백을 통해 최적의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체계로 구성되어 있다. K-water는 물관리 디지털 전환을 위하여 섬진강유역 구축을 기반으로 5대강 유역을 대상으로 플랫폼 구축을 확대할 예정이며, 댐하류·지류 합류부 등 재해 취약지역까지 아우르는 종합적인 물관리 의사결정의 One-System 플랫폼 구축을 확대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유역 전체의 수문상황을 실시간으로 파악 및 신속하게 대응하고, 정확성이 향상된 의사결정으로 보다 효율적이고 안전한 물관리 기반을 마련하고자 한다. 또한 본 플랫폼에 기반한 디지털 물관리 기술 선도로 새로운 물산업 생태계를 조성하고, 민간기업과의 핵심기술 공동개발 등 기술협력을 통해 디지털 물산업 기술 경쟁력 확보에도 기여하고자 한다.

  • PDF

Application of Social Media for Responding to a National Disaster (국가적 재난 대응에 있어서의 소셜 미디어 활용 방안 연구)

  • Kim, Han-Gook
    • Journal of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 /
    • v.5 no.4
    • /
    • pp.147-153
    • /
    • 2011
  • On 11 March 2011, earthquake occurred in Japan were left with the significant human and material damage. Among these, social media has emerged as a very useful communication channel by playing a important roles in the process of safety checking and disaster recovery. In fact, however, we have no specific response methods or systems to these occurrence of disaster in Korea. Therefore, we investigate the relevant literature in order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foreign and domestic utilization of social media, and draw the ideal ways to use social media for responding to unpredictable disasters based on the relevant literature review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stitutions such as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or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are able to utilize social media as the communication systems to public in emergency. Second, social media are able to used for building disaster information systems including location information such as emergency call for help or requests for dissemination materials. Lastly, online donation services via Facebook or Twitter are able to be provided. The findings have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official responsible for disaster response and academic researchers.

A Study on the policy of disaster prevention using integrated database - Focused on The Policy for Housing welfare - (통합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한 방재정책에 대한 연구 - 주거복지를 위한 정책을 중심으로 -)

  • Nam, Young-Woo;Kim, Jun-Yeon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9 no.1
    • /
    • pp.105-110
    • /
    • 2014
  • Korea, old buildings do not currently have earth-resistant facilities, and disaster prevention facilities have some limitation in responding properly to damage arising from natural disaster as they do not reflect recently occurring climatic changes.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select vulnerable districts by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possibility of disaster occurrence and the current situation of infrastructures for disaster prevention in order to responding efficiently to future unexpected disasters. For this purpose, national government has recently formed the DB linkage council for disaster prevention under the participation of related agencies and constructed integrated database. But local governments have not properly provided it with basic data necessary to construct database, resulting in the delay of the project. Therefore, it is thought that national government needs to provide them with manpower and financial support.

Development of integrated disaster mapping method (II) : disaster mapping with risk analysis (통합 재해지도 작성 기법 개발(II) : 리스크 분석을 적용한 재해지도 작성)

  • Park, Jun Hyung;Kim, Byunghyu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5 no.1
    • /
    • pp.85-97
    • /
    • 2022
  • In this study, a method for an integrated flood risk mapping was proposed that simultaneously considers the flood inundation map indicating the degree of risk and the disaster vulnerability index. This method creates a new disaster map that can be used in actual situations by providing various and specific information on a single map. In order to consider the human, social and economic factors in the disaster map, the study area was divided into exposure, vulnerability, responsiveness, and recovery factors. Then, 7 indicators for each factor were extracted using the GIS tool. The data extracted by each indicator was classified into grades 1 to 5, and the data was selected as a disaster vulnerability index and used for integrated risk mapping by factor. The risk map for each factor, which overlaps the flood inundatoin map and the disaster vulnerability index factor, was used to establish an evacuation plan by considering regional conditions including population, assets, and buildings. In addition, an integrated risk analysis method that considers risks while converting to a single vulnerability through standardization of the disaster vulnerability index was proposed. This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preparedness, response and recovery plans for providing detailed and diverse information that simultaneously considers the flood risk including social, humanistic, and economic factors.

Comparison of Disaster Vulnerability Analysis and Risk Evaluation of Heat Wave Disasters (폭염재해의 재해취약성분석 및 리스크 평가 비교)

  • Yu-Jeong SEOL;Ho-Yong KIM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26 no.1
    • /
    • pp.132-144
    • /
    • 2023
  • Recently, the frequency and intensity of heat waves due to the increase in climate change temperature are increasing. Therefore, this study tried to compare the evaluation process and evaluation results of the heat wave disaster evaluation, which is the government's analysis of the heat wave disaster vulnerability and the risk evaluation method recently emphasized by the IPCC. The analysis of climate change disaster vulnerability is evaluated based on manuals and guidelines prepared by the government. Risk evaluation can be evaluated as the product of the possibility of a disaster and its impact, and it is evaluated using the Markov chain Monte Carlo simulation based on Bayesian estimation method, which uses prior information to infer posterior probabilit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two evaluation results for Busan Metropolitan City differed slightly in the spatial distribution of areas vulnerable to heat waves. In order to properly evaluate disaster vulnerable areas due to climate change, the process and results of climate change disaster vulnerability analysis and risk assessment must be reviewed, and consider each methodology and countermeasures must be prepared.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Legal System for Drought Disaster of Rural Region (농촌지역의 가뭄재해 법제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Lee, Young Kune;Park, Mi Ri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129-129
    • /
    • 2016
  •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인한 자연재해의 대규모화에 따라 가뭄재해가 농촌지역에 중대한 피해를 끼칠 수 있는 여지가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4대강 살리기 사업으로 인하여 대하천의 정비가 강화되었지만 농촌지역 주변의 중소하천은 여전히 기후변화에 취약한 현실이다. 농촌지역의 가뭄재해에 대하여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이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는 농촌의 특성을 충분히 고려한 대응책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자연재해대책법 시행규칙" 및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 시행령", 그리고 "농어업재해대책법 시행규칙"에 있어서 가뭄관련 조항의 개정을 제안하였다. "자연재해대책법" 제2장(자연재해의 예방 및 대비)에서는 풍수해(제2절), 설해(제4절) 에 이어 가뭄에 대한 예방 및 대비를 규정(제5절 29조-33조)하고 있다. 제29조는 가뭄방재를 위하여 필요한 조사 및 연구를 수행하여야 함을 규정하고 있는데, 여기서 '필요한' 조사 및 연구는 시행령 혹은 시행규칙 등을 통해 명확히 할 필요가 있으며, 제30조는 가뭄재해 극복을 위해 제한 급수 및 제한 발전 등의 조치를 취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으나, 조치를 취함으로써 발생하는 손해 배상 규정의 삽입이 필요하다.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 제8조(다른 법률과의 관계 등) 2호에서 제3조1호 가목의 규정에 해당하는 재난(가뭄 포함)의 예방 복구 등에 관해서는 '자연재해대책법'이 정한 바에 따르도록 규정하고 있기는 하지만, 자연재해로 인한 재난에 대해서는 소극적 규정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제4장(재난의 예방)에 있어서 재난은 제3조1호의 가목(자연현상으로 발생하는 재해), 나목(사회적 재해), 다목(국가기반체계와 관련된 재해) 각각의 경우에 따른 예방대책의 수립이 필요하다. 각 조항의 개정은 농촌지역 가뭄재해에 대한 정책활용을 염두에 두고 개정안을 제시하지만, 법령 자체의 목적 및 타법과의 정합성 등 대한민국 법체제의 통일성 및 안정성을 최대한 반영하였다. 해당 조항의 개정으로 농촌 및 농업지역의 특성을 반영한 다양한 가뭄대응 정책의 활용을 도모하고 가뭄재해로부터 안전한 영농환경이 구축될 수 있을 것이 기대된다.

  • PDF

Assessing Vulnerability to Flood Disaster in Jeju area (제주지역 침수재해 취약성 평가)

  • Park, Changyeo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338-338
    • /
    • 2021
  • 우리나라 최남단에 위치한 광역자치단체인 제주특별자치도는 태풍의 길목에 위치한 지정학적 특성, 한라산 영향에 의한 호우의 산지효과, 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상승 가속화 등에 의해 재해 위험이 매우 높은 지역이다. 또한, 연안지역에 위치한 주거지, 숙박시설 입지 특성과 더불어 해안가의 개발수요 증가에 따라 재해취약성도 지속적으로 악화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제주지역을 대상으로 침수재해 취약성을 평가하고, 취약지역 특성을 파악한다. 그 결과, 도 내의 취약지역 분포와 취약등급에 따른 지역적 특성을 알 수 있었으며, 이를 토대로 취약지역 여건에 맞는 도시계획적 방재대책에 대한 시사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은 결과는 기후변화 심화로 인한 호우 패턴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전방위적인 방재시설이 필요함은 물론, 취약지역에 적합한 도시계획적 관점의 관리대책이 마련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