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재직자 직업훈련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9초

재직자 직업훈련이 취업 및 이직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On-the-Job Training on Employment Status and Employee Retention)

  • 양용현;최광성;최충
    • 노동경제논집
    • /
    • 제42권3호
    • /
    • pp.75-98
    • /
    • 2019
  • 본 연구는 고용보험자료를 이용하여 재직자의 직업훈련 참여가 노동시장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재직자 직업훈련은 근로자 개인의 계속근로 여부와 이직 여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바, 이에 대한 훈련효과를 추정하기 위해 성향점수매칭법(Propensity score matching method)을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재직자 직업훈련 참여자는 미참여자에 비해 다음 연도에 노동시장에 남아 계속근로를 제공할 확률이 연도별로 2.4~5.3%p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계속근로자를 대상으로 재직자 직업훈련의 이직효과에 대해 분석한 결과, 재직자 직업훈련 참여자는 참여하지 않은 근로자보다 이직확률이 2008~2015년에 연도별로 0.9~4.2%p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2016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재직자 직업훈련 관련 공적재정의 구조와 성과: 효과 분석 (Training Incentives in the Korean Levy-Grant System and the Performance: Evidences from the KLIPS Data)

  • 이철인;유경준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제33권3호
    • /
    • pp.87-120
    • /
    • 2011
  • 본 논문은 재직자 직업훈련(OJT) 관련 공적 재정지원 및 분담금 징수구조가 개별 근로자의 사내 직업훈련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그리고 직업훈련을 통해 어떠한 경제적 성과를 거두고 있는지 노동패널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한다. 주요 결과로서, (i) 직업훈련 관련 고용보험제도상의 유인구조 분석을 통해, 순지원율이 높은 기업에 고용된 근로자의 직업훈련수혜 가능성이 높다는 결과를 얻었는바, 이는 개인의 고유특성 및 기업규모효과를 고려해도 유도되는 결과이며, (ii) 훈련의 증가가 일정 부분 추후 임금상승으로 이어졌음을 보여준다.

  • PDF

비정규직 직업훈련효과 추정과 민감도 분석 (Estimation and Sensitivity Analysis on the Effect of Job Training for Non-Regular Employees)

  • 이상준
    • 응용통계연구
    • /
    • 제25권1호
    • /
    • pp.163-181
    • /
    • 2012
  • 비정규직 재직자 직업능력개발에 대한 훈련 효과 추정을 위해 이 연구에서는 통계청의 경활 자료와 비모수적 매칭 방법을 사용하였다. 추정결과 재직자 직업능력개발 훈련은 정규직 자에게는 정규직 유지가능성을 높이고 비정규직 자에게는 임금보다는 정규직 전환확률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미관찰 요인에 의한 추정결과의 강건성을 알아보는 민감도 분석에서는 미관찰 요인은 추정결과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교육훈련에 대한 정부 개입과 그 효과 (The Effect of Government Intervention on the Market Failure in firm Training in Korea)

  • 김안국
    • 노동경제논집
    • /
    • 제32권2호
    • /
    • pp.125-150
    • /
    • 2009
  • 본고는 기업교육훈련의 시장실패에 대한 정부 개입인 고용보험 재직자 직업능력개발사업의 훈련제고 효과를 살펴보았다. 선택편의 및 내생성 문제를 통제하면서 정부 개입의 효과를 보기 위해 2004~2006년 HRD-Net 자료와 한신 평자료를 결합하여 재직자 직업능력개발사업에 참여한 기업 그룹과 동일한 특성을 갖는 비참여 기업 그룹을 성향점수매칭의 방법으로 구성하고, difference-in-difference의 방법으로 정부 개입 효과를 추정해 보았다. 정부의 기업교육훈련 개입이 일정한 양(+)의 효과를 가지고 있지만, 그 효과는 통계적으로는 유의하지 않았다.

  • PDF

정규직-비정규직 간 훈련격차와 임금효과 (On-the-job Training Gap between regular and non-regular Workers and Wage Effects)

  • 오호영
    • 노동경제논집
    • /
    • 제43권3호
    • /
    • pp.33-61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기업주도 재직자 훈련(On-the-Job Training: OJT)에서 정규직과 비정규직 근로자 간 훈련격차와 직업훈련의 임금효과를 비교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OECD의 주관하에 조사된 국제성인역량조사(Programme for the International Assessment of Adult Competencies: PIAAC) 원자료에 내생성을 통제하기 위하여 비모수추정법인 성향점수매칭법(Propensity Score Matching: PSM)을 적용하였다. 비정규직을 처치집단으로 정규직을 대조집단으로 하여 훈련참여 및 훈련의 임금효과를 각각 추정한 결과 비정규직은 정규직에 비해 불리한 훈련기회에 직면하였고 훈련의 임금효과는 정규직에서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비정규직에서는 훈련이 임금에 유의한 정의 효과를 보였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비정규직의 저숙련 함정 극복을 위한 정부개입의 근거를 제공하며 비정규직에 대한 훈련기회 확대가 미취업과 정규직을 잇는 가교로써 비정규직이 기능할 가능성을 보여준다.

  • PDF

직업능력향상과 교육·훈련사업의 연계 가능성 탐색 - 평생교육분야와 지역고용사업을 중심으로- (An attempt to the possible link between vocational ability improvement and educational·training projects - Based on lifelong education and regional employment -)

  • 여상운;천단;박창언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8권6호
    • /
    • pp.407-416
    • /
    • 2018
  • 이 연구는 직업능력향상을 위한 평생교육과 지역의 교육훈련사업의 연계 가능성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우선, 평생교육기관의 직업능력향상 교육에 대해 살펴보았다. 여기에서는 평생교육법에서 제시하고 있는 평생교육 영역과 거기에서의 직업능력향상의 위상을 살펴보고, 실제 전국의 프로그램과 해당 프로그램에 대한 학습자 수를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지역의 교육훈련 사업에 대해 살펴보았다. 여기서는 교육·훈련사업의 의의와 유형에 대해 알아보고, 교육·훈련사업의 프로그램 수와 학습자 수에 대한 현황을 파악하였다. 이들을 살펴보면서 직업능력향상과 교육·훈련사업의 연계 가능성을 다섯 가지로 모색하였다. 그 다섯 가지는 비경제 활동 인구에 대한 고용관련 평생학습, 소외계층에 대한 평생교육과 연계의 강화, 재직자 중심의 평생교육 직업능력의 강화, 지역 내 평생교육기구와 대학을 활용한 직업능력 강화, 그리고 지역 일자리 수요와 공급자를 매개할 수 있는 지방자치단체의 역할 강화로 나타났다.

서울형 강소기업 청년재직자의 조직만족도가 재직 희망 기간에 미치는 영향: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 of Job Satisfaction of Young Employees on the Desired Period of Service: Focusing on Gender Difference)

  • 박기태
    • 산업진흥연구
    • /
    • 제8권4호
    • /
    • pp.17-27
    • /
    • 2023
  • 본 연구는 조직만족도의 다양한 세부 차원이 서울지역 강소기업 청년재직자의 재직 희망 기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서울지역 인적자원개발위원회가 2021년 실시한 「서울형 강소기업 청년 재직자 근로실태 및 직업훈련수요 조사」 데이터를 사용하였다(N=292). 세부 만족도 중에서는 (1) 직무(업무수행)(p<.05)와 (2) 보상과 인정정책(p<.05)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재직 희망 기간이 증가한다. 더불어 남녀 사이에 재직 희망 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차이가 존재한다. 남성은 (1) 리더십(p<.1), (2) 직무(업무수행)(p<.01), (3) 보상과 인정정책(p<.05)이 재직 희망 기간의 증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 반면, 여성은 (1) 직무환경(p<.1)과 (2) 경력개발(p<.05)에 만족도가 높을수록 재직 희망 기간이 증가할 가능성이 컸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청년층의 장기재직을 유도함으로써 기업의 인적자원 유출을 막기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재직자교육을 위한 수요조사의 신뢰성 향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eliability of Demand Survey for Incumbent Training)

  • 김상현;조재문;이상찬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7권1호
    • /
    • pp.77-80
    • /
    • 2015
  • 직업교육 훈련의 효율과 참여도를 극대화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신뢰성 높은 수요조사 방법을 찾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정확한 수요조사는 훈련의 질을 높일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부정확한 수요조사에 의한 훈련은 낮은 참여도로 인해 비효율적인 훈련성과를 나타낼 수 밖에 없다. 수요조사는 크게 우편, 전화, 대면, 전자 수요조사 4가지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목포대학교 국가인적자원개발 컨소시엄 사업, 지역 산업 맞춤형 인력양성 사업의 훈련을 위해 실시하였던 수요조사를 설명하였고 그 중 효과적인 수요조사 방법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