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재일잡지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22초

전후 재일잡지미디어 지형과 재일사회 -1959년까지의 태동기를 중심으로- (Post-War Zainichi Magazines in Japan and Zainichi Society -Focusing on the Quickening Period until 1959-)

  • 이승진
    • 한일민족문제연구
    • /
    • 제35호
    • /
    • pp.107-144
    • /
    • 2018
  • This paper summarizes the genealogy of post-war Zainichi magazines in Japan until 1959 and examines their meaning in the context of magazine history in Japa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epare the framework to view characteristics of Zainichi magazines in Japan after the war until the present from a continuous and comprehensive perspective. Zainichi, who were left behind in Japan after the war began to project diverse aspects of their lives onto magazines. Despite the poor publishing environment, censorship of GHQ, shortage of writers and financial limitations, the Zainichi society did not give up the public sphere of magazines. The confusion in this time period acted as an element to expose limitations of Zainichi magazines in Japan. Most of magazines published in 1940s and 50s had to focus on political propaganda within the political frame, and many of such magazines were only published for a short term. In other words, it is ambiguous to define the majority of them as 'magazines' and a considerable number of them cannot even confirm the existence, making it difficult to examine the whole picture of magazines from this period. However, recently excavated materials indicate that most of Zainichi magazines in Japan attempted to reflect the reality of the Zainichi society in various ways, though they were confined in the political frame. The process in which language of magazines was changed from Korean language to Japanese and then again to Korean language suggests that Zainichi magazines in Japan tried to consistently express their existence in 'ethnicity,' 'homeland' and beyond, mediated by 'politics' and 'culture.' Moreover, the experience of seeking for the possibility of Zainichi culture in Japan from the flow of cultural movements in Japan during 1950s is an experience of seeking for a popular 'expression' that overcomes the political conflict of homeland. This reveals the diversity the Zainichi society to occur afterwards. A more precise study on individual magazines published during this period would be necessary in the future.

해방 후 재일조선 문학운동 -『조선 문예』와 『진달래』의 갈등을 중심으로- (Literature Movement of Koreans in Japan after Liberation -Focus on conflict between 『Joseon Literature』 and 『Jindalrae』)

  • 마경옥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215-223
    • /
    • 2020
  • 패전 이후 1950년대를 전후하여 일본에서는 서클문학운동이 전국에서 일어났고, 재일조선인 민족운동의 주체도 자신들의 정치적 권리와 주장을 문학운동과 연동하여 서클과 기관지를 통하여 생산·확장시켜왔다. 그러나 지금까지 재일조선인 민족운동의 정치적 주체와 문학서클 운동과의 교류, 갈등을 구체적인 사례로 분석 연구한 사례는 아직 미미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조련과 민전의 정치적 역학관계로 탄생한 '오사카 시인집단' 기관지『진달래』와 노선전환에 따른 조총련의 '재일조선 문학회' 기관지『조선 문예』의 성립과정과 두 잡지의 교류, 갈등, 해산 과정 등을 비교분석하여 그 실체를 규명했다. 즉, 해방 후 재일조선인 문학자들이 갖고 있었던 탈식민지화로의 끝없는 고민과 대립, 모순과 갈등의 실체를 '공화국공민과 재일', '주제와 창작언어'등으로 분석하여 '조총련과의 갈등'으로 결국 해산에 이르는 과정을 분석하였다. 본고에서 파악된 1950년대 재일조선인들의 시대정신은 향후 재일조선인문학의 출발점 연구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해줄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재일조선문학회 기관지에 관한 연구 -민족문화운동 관점에서- (A Study on the Institutional Journal of the Korean-Japaneses Joseon Literary Society -From a national culture movement perspective-)

  • 마경옥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95-102
    • /
    • 2019
  • 해방 후, 일본에서 1948년 1월 민족문화운동의 성격을 갖은 여러 문학단체들이 합류해서 '재일조선문학회'를 결성한다. 그러나 '재일조선문학회'는 GHQ의 탄압으로 활발한 역할을 하지 못하게 되었고, 1953년 한국전쟁휴전협정이 이루어지면서 다시 재결집을 하게 되었다. '재일조선문학회'의 기관지는 일본어의 "문학보"와 조선어의 "조선문학", "조선문예"로 잡지명을 바꾸어서 간행된다. 재일조선인민족운동단체와 문학단체는 일본과 한반도의 정치적 상황과 연동하여 재편성되었다. '재일조선문학회'의 재결집도 '조총련'의 등장과 '노선전환' 에 의한 것이었다. 본고에서는 '재일조선인문학회'가 재일조선인 독자에게 전달하고자 했던 '공화국공민'이라는 자부심의 고취문제와 민족운동의 주체로서 '조선어글쓰기' 운동의 의미, '조총련'과 '민단'과의 갈등의 실상을 파악하여 50년대의 재일 조선인문학연구의 공백을 메꾸어 보려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