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재변조

검색결과 145건 처리시간 0.035초

계층변조를 사용하는 릴레이 통신 시스템의 성능 분석 (Performance Analysis of Relay Communication Systems with Hierarchical Modulation)

  • 전민철;서보석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1-24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계층변조를 적용하는 릴레이 통신 시스템의 성능을 분석한다. 릴레이 통신 시스템의 전송은 릴레이(relay station)의 사용으로 인해 두 개의 시간 슬롯이 필요하다. 첫 번째 시간 슬롯에서는 소스에서 변조된 신호를 릴레이와 목적지로 동시에 전송한다. 릴레이는 수신된 신호를 복조하고 재 변조하여 두 번째 시간 슬롯동안 재 변조된 신호를 목적지로 전송한다. 소스는 소스-릴레이 링크와 소스-목적지 링크의 서로 다른 채널 SNR(signal-to-noise power ratio)에 맞추기 위해 계층변조를 사용한다. 계층변조를 사용하는 릴레이통신 시스템의 BER(bit error rate)은 계층변조 파라미터의 값에 의해 달라진다. 본 논문에서는 BER과 계층변조 파라미터와의 관계를 유도하고, 모의실험을 통해 최소 BER을 얻을 수 있는 최적의 계층변조 파라미터를 찾아낸다.

  • PDF

다중 소스로부터 다운로드가 가능한 P2P 시스템에서 고의적 변조 파일의 배제 기법 (Excluding Forged Files from Multi-Source Downloadable P2P Systems)

  • 류중희;김유나;김종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546-549
    • /
    • 2007
  • 최근 P2P 파일 공유 시스템은 다운로드 속도를 높이기 위해 한 파일을 블록 단위로 나누어 여러 피어로부터 동시에 내려 받는다. 그러나 악의적인 피어가 고의적으로 변조한 파일을 전송 받게 되면 해당 블록의 재전송으로 네트워크 자원이 소모되고, 블록들을 재 조합하여 파일을 구성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증가한다. 본 연구에서는 자원 절약을 위해 고의적 변조 파일을 P2P 시스템에서 배제시키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디렉토리 서비스를 담당하는 피어가 변조 블록에 대한 신고를 받아 그 신고 횟수가 임계치에 도달하면, 해당 변조 블록을 포함한 파일을 검색 결과에서 배제시킴으로써 P2P 상에 공유되는 것을 막는다. 또한 제안하는 시스템의 성능을 모의 실험을 통해 평가한 결과, 일반적인 P2P 시스템 및 피어 평판 관리 시스템을 적용한 P2P 시스템보다 제안한 시스템의 고의적 변조 파일의 공유 비율이 각각 22 배, 4 배 낮고, 올바른 파일은 항상 공유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므로 제안하는 방법을 기존 P2P 시스템에 적용할 경우, 고의적 변조 파일의 다운로딩에서 발생하는 네트워크 자원 낭비를 줄일 수 있고 피어의 다운로드 속도도 증가할 것이다.

  • PDF

퍼지 펄스폭 변조 궤환 제어: 전역적 지능형 디지털 재설계 접근법 (Fuzzy Pulse-Width-Modulated Feedback Control: Global Intelligent Digital Redesign Approach)

  • 이호재;주영훈;박진배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92-97
    • /
    • 2005
  • 본 논문은 비선형 제어 시스템을 효과적으로 모사하는 TS(Takaki-Sugeno: TS) 퍼지 시스템의 펄스폭 변조 (Pulse-Width Modulated: PWM) 제환 제어기 설계 기법을 논의한다. 효율적이며 신뢰할만한 퍼지 PWM 제어기를 설계하기 위하여 전역적 지능형 디지털 재설계 기법(global intelligent digital redesign)을 이용한다. 우선 잘 설계된 아날로그 퍼지 제어기를 설계한 후 전역적 지능형 디지털 재설계 기법을 이용하여 디지털 퍼지 제어기를 설계한다. 유사한 전역적 상태정합 개념을 이용하여 재설계된 디지털 퍼지 제어기론 퍼지 PWM 제어기로 변환한다. 또한 재설계된 퍼지 PWM 제어기의 안정화 가능성을 조사한다.

계층변조를 적용한 협력 중계 통신시스템의 최적 전송기법 (Optimal Transmission Method in Cooperative Relay Communication Systems with Hierarchical Modulation)

  • 전민철;이수경;서보석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224-231
    • /
    • 2010
  • 이 논문에서는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의 부반송파에 계층변조를 적용한 협력 중계 통신시스템의 성능을 분석한다. 협력 중계 통신시스템의 전송구조는 두 개의 시간 슬롯으로 구성된다. 첫 번째 시간 슬롯에서는 송신단이 변조된 신호를 중계기와 수신단으로 동시에 전송한다. 중계기는 송신단으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복조하고 재변조 하여 두 번째 시간 슬롯동안 재변조된 신호를 수신단으로 전송한다. 협력 중계 통신시스템에서 송신단-중계기 채널과 송신단-수신단 채널의 SNR(signal to noise power ratio)은 다르다. 송신단은 두 채널의 SNR에 적합한 변조방식을 동시에 이용하기 위해 계층변조 방식을 사용한다. 계층변조를 사용하는 협력 중계 통신시스템의 비트 오율(bit error rate)은 계층변조의 비균등 비율에 의해 달라진다. 이 논문에서는 기존의 계층변조 방식의 비균등 비율에 대한 비트 오율 값을 이용하여 계층변조를 적용한 협력 중계 통신시스템의 비트오율을 유도하고, 모의실험을 통해 최소 BER을 얻을 수 있는 계층변조의 최적 비균등 비율을 찾는다. 또한 중계기의 위치에 따라 제안한 시스템의 성능을 분석하고 이 결과를 바탕으로 시스템의 성능을 최대화할 수 있는 중계기의 위치를 찾는다.

레이리 페이딩 채널상에서 MSK 혹은 QPSK 변조 방식의 하이브리드 DS/SFH 확산 스펙트럼 시스템의 다중톤 재밍 성능 분석 (MTJ Performance Analysis of Hybrid DS/SFH Spread-Spectrum System using MSK or QPSK Modulation over Rayleigh Fading Channel)

  • Ryu, Heung-Gyoon;Chung, Byung-Ki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492-499
    • /
    • 2002
  • 다중톤 재밍이 있는 경우, 레이리 페이딩 채널상에서 MSK 혹은 QPSK 변조 방식을 사용하는 하이브리드 DS/SFH 확산 스펙트럼 시스템의 성능분석과 비교를 연구한다. 신호대 잡음비, 재머전력재 신호전력비(JSR) 그리고 기타 시스템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신호대 잡음과 간섭비(SNIR)를 유도하여 Rake 수신기가 있을 때와 없을 때의 BER 성능을 분석한다. 수치 분석 결과, 재머전력재 신호전력비(JSR)가 작을 때는 MSK와 QPSK 변조 방식 사이의 성능은 별차이가 없으나, 재머전력재 신호전력비(JSR)가 커짐에 따라서 큰 성은의 차이가 나타난다. Rake 수신기가 없을 때는 DS 처리 이득이 커짐에 따라서 두 변조 방식의 성능이 약간씩 개선된다. 재머전력재 신호전력비(JSR)가 작을 때는 DS 처리이득만이 최선의 성능을 좌우하지만, 재머전력재 신호전력비(JSR)가 클 때는 BER을 최소시키는 최적의 DS처리이득이 있다. Rake 수신기가 있는 경우에는, 모든 조건에서 MSK변조방식을 사용하는 하이브리드 DS/SFH 확산 스펙트럼 시스템이 QPSK 변조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보다 항재밍 성능이 강하고 더 큰 성능 개선이 있음을 보인다.

디지털 첩 발생기에서의 직교 변조 오차에 의한 대역 확장 모듈에서의 스펙트럴 재성장 분석 (Analysis on Spectral Regrowth of Bandwidth Expansion Module by Quadrature Modulation Error in Digital Chirp Generator)

  • 김세영;성진봉;이종환;이동우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1권7호
    • /
    • pp.761-768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주파수 체배 방식을 이용하여 고해상도 영상 레이더의 광대역 파형 생성을 위한 효율적인 기법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또한 직교 변조기와 주파수 체배기를 사용한 첩 변조 파형의 대역폭 확장시 발생되는 3차 혼변조 성분에 의한 스펙트럴 재성장에 대한 근본적인 원인을 분석하였다. 또한 직교 변조기의 진폭 및 위상 불균형 오차에 대한 요구 조건을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정의하였다. 이와 같은 해석을 통하여 임펄스 응답 특성인 거리 방향 해상도, PSLR(Peak Sidelobe Ratio) 및 ISLR(Integrated Sidelobe Ratio) 특성이 악화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었다. 주파수 체배기와 메모리 맵 방식을 사용한 광대역 파형 발생장치가 제작되었으며, 진폭과 위상 오차를 최소화시킴으로써 생성된 SAR 파형의 부엽에서 발생되는 스펙트럴 재성장 성분을 최소화 시키는 보상 기법이 제시되었다. 직교 변조기의 I 및 Q 채널간의 불균형 특성을 조절함으로써, 반송파 레벨을 -28.7 dBm에서 -53.4 dBm으로 억압할 수 있었으며, S-대역에서 150 MHz 대역폭의 첩 변조 파형을 X-대역에서 600 MHz 대역폭으로 성공적으로 확장시켰다. 또한 부엽에서 발생한 스펙트럴 재성장 성분들을 대략 8~9 dB 정도 줄일 수 있었다.

맨체스터 부호로 코딩된 하향신호의 재변조를 이용한 비동기 2.5 Gbps / 622 Mbps 광가입자 망의 성능 분석 (Performance Analysis of Asynchronous 2.5 Gbps / 622Mbps Optical Subscriber Network with Manchester coded Downstream and NRZ upstream re-modulation)

  • 박상조;김봉규
    • 한국광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43-147
    • /
    • 2009
  • 맨체스터 부호로 코딩된 하향신호의 재변조를 이용하여 가입자내에 광원을 필요로 하지 않고 파장 및 전력제어회로를 제거할 수 있어 가입자 장치를 단순화시킬 수 있고, 상하향 데이터간의 비동기가 가능한 비대칭 2.5 Gbps / 622 Mbps의 광가입자 망을 제안한다. 하향 데이터의 형태에 따른 재변조한 상향신호의 평균오차율을 이론적으로 분석하고, 매트랩을 이용한 시뮬레이션에 의해 그 효용성을 분석한다. 제안시스템에서 SNR의 변화에 따라 임계치를 최적치로 설정할 경우 고정된 종래의 광수신기에 비하여 평균오차율이 향상되고, 수신감도도 3 dB 향상된다. 따라서 하향신호의 재변조를 이용한 제안 시스템을 경제적이고 단순구조를 가지는 광가입자 장치에서 비동기 및 비대칭 쌍방향 데이터 전송에 유용한 방식임을 알 수 있다.

RSOA기반 반송파 억제된 광변조를 이용한 양방향 WDM-PON 구현 (Demonstration of RSOA based Bidirectional WDM-POM by using Suppressed Optical Carrier Modulation)

  • 김동현;이대원;원용욱;박수진;한상국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2권12B호
    • /
    • pp.809-814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중앙국(Central of office)에서 반송파가 억제된 광원을 생성하여 파장에 무관한 RSOA기반 양방향 WDM-PON구조를 제안 하였다. 중앙국에 위치한 마흐젠터 모듈레이터 (LiNbO3 Mach Zehnder Modulator)를 이용해서 5 GHz 변조된 반송파가 억제된 광원(Suppressed Optical Carrier)을 만들어 상향 신호 광원으로 전송을 하고 이와 더불어 하향 신호용 광원은 반사형 광증폭기(Reflective Semi-conductor Optical Amplifier)를 이용해서 데이터 변조 후 전송을 하게 된다. 상향 신호는 반송파가 억제된 광원을 광망 전달 장치(Optical Network Unit)보내 다시 데이터 재변조를 하고 증앙국(Central Office)으로 재전송함으로써 파장에 무관한 새로운 양방향 WDM-PON 구조를 실험을 통해 검증하였다.

동일채널중계기의 송수신신호 주파수 일치 (Frequency Synchronization Between Input and Output Signal for Digital On-Channel Repeater)

  • 음호민;이용태;김흥묵;서재현;박성익;김승원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2005년도 학술대회
    • /
    • pp.81-84
    • /
    • 2005
  • 지상파 디지털 방송신호의 방송구역 확장이나 난시청지역 해소를 위해 사용되는 동일채널중계기(On-Channel Repeater : OCR)는 수신신호와 송신신호의 주파수를 완벽히 일치시켜야한다. 송수신신호의 주파수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 주 송신신호와 중계신호가 동시에 수신되는 중첩지역에서 수신기의 수신성능이 현저히 저하되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ATSC 지상파 디지털 방송신호를 중계하는 등화형 동일채널중계기(Equalization Digital On-Channel Repeater : EDOCR)에서 송수신신호의 주파수를 일치시키는 알고리즘에 대해 기술한다. 등화형 동일채널중계기는 주 송신신호를 수신하여 복조한 후 재 변조 하므로 송수신신호의 주파수를 일치시키기 위한 별도의 장치나 알고리즘이 반드시 사용되어야 한다. 제안하는 알고리즘은 주 송신신호의 동기복원 과정에서 획득한 주파수 오차 정보를 재 변조 과정에 사용함으로써 GPS와 같은 별도의 장치 없이 송수신신호의 주파수를 일치시킨다. 반송파 복원과정에서 획득한 반송파 오차와 심볼타이밍 복원과정에서 획득한 심볼타이밍 오차를 재 변조 신호에 추가하면 수신신호와 송신신호가 같은 주파수 오차를 갖게 되어 두 신호의 중심주파수가 일치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