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재배 양식

Search Result 162, Processing Time 0.041 seconds

Growth and Yield Performance of Paddy Rice at Different Cultural Methods (재배양식에 따른 벼 생육특성과 수량성)

  • 백준호;이석순;홍승범
    •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
    • v.37 no.6
    • /
    • pp.550-556
    • /
    • 1992
  • Performance of a rice breeding line, Milyang 95 was evaluated at four cultural methods, direct seeding on dry soil covered by making ridges (DS ridged), direct seeding on dry soil covered by rotortilling (DS rotary), direct seeding on flooded soil (FS), and machine transplanting (MT). Days from seeding to emergence in both DS ridged and DS rotary was 15 days. The number of seedlings at DS ridged and DS rotary was lower than that at FS. Heading was earliest at MT, latest at DS rotary and DS ridged, and that at FS was between them. Days from seeding to heading was 115 days at MT, 94-95 days at DS ridged and DS rotary, and 87 days at FS. Lodging index was similar among the cultural methods and lodging was not occurred in the field although fresh weight of tillers and breaking strength at MT were higher than those of direct seedings. Yield and most of yield components were similar among the cultural methods although the number of spikelets per panicle at MT was higher and 1,000 grain weight at FS was lower compared to other cultural methods. Grain appearance (rusty, chalky abortive rice), protein and amylose contents and alkali digestibility were observed.

  • PDF

Comparative Study of Labor-Saving Structure in Various Sowing Methods of Winter Barley (대맥의 파종진식별 생력화 구조 비교연구)

  • 민경수;구자옥;김인권
    •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
    • v.26 no.4
    • /
    • pp.311-317
    • /
    • 1981
  • As the low labor-productivity is being floated up to be the most limiting factor in barley cropping, the endeavor of many researchers concerned have been concentrated on recovering from that. For this reason, in this experiment 8 kinds of sowing methods were employed to survey the yield productivity and the labor-requirement of each methods. And with promising the possibility of consistent mechanization, both prediction of the assurable requirement of labor investment and calculation of the labor productivity in each method were estimated so that the possibility of labor-saving in barley cultivation investigated. Also sowing methods for labor-saving cultivation were presented according to the labor-structure of farm as divided with the phases.

  • PDF

Effects of Planting Pattern and Plant density on Seed Production of a Modified Single Cross Corn Hybrid (파종양식과 재식밀도가 옥수수 변형단교잡종 교배친의 생육 및 채종량에 미치는 영향)

  • Park, K.Y.;Kang, Y.K.;Park, S.E.
    •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
    • v.29 no.1
    • /
    • pp.62-66
    • /
    • 1984
  • One row of pollen parent to two rows of seed parent (1:2), 2:4 and solid (1:2) planting patterns (PP) were compared in seed parent densities of 3,500, 5,000 and 6,500 plants per 10 ares to determine effects of PP and plant density on growths of seed and pollen plants, and seed yield of seed parent of modified single cross corn hybrid. Planting pattern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agronomic characteristics of seed plant except ear number per 100 plants and seed yield which were greater in solid and 1:2 PP than in 2:4 PP. Significant PP x plant density interaction did not exist for agronomic characteristics of seed parent. In the seed parent, plant height and 100 kernel weight were not affected by plant density, but ear height, ear number per 100 plants, and kernel number per ear were linearly decreased with increased plant densities. Seed yield ranged from 330 to 460 kg per 10 ares and overall yield response to plant density was quadratic. Tassel length and spikelet number per tassel of the pollen parent were significantly affected by PP and plant density. Significant PP x plant density interaction existed for tassel length and spikelet number per tassel. Tassel length and spikelet number per tassel were greater in 1:2 and 2:4 PP compared to solid PP and were greatly reduced with increased plant densities in solid and 1:2 PP. The results indicated that 1:2 or 2:4 PP at around 5,000 plants per 10 ares for seed parent would be suitable for seed production of modified single cross com hybrid.

  • PDF

Studies on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for the Plant Types in the Peanut (Arachis hypogaea L.) N. Effect of Vinyl-and Non-mulching on Growth among Peanut Plant Types (땅콩의 초형별 생태적 특성에 관한 연구 IV. 비닐피복재배가 초형별 생육에 미치는 영향)

  • Lee, Jung-Il;Park, Yong-Hwan;Park, Yeon-Kyu
    •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
    • v.31 no.3
    • /
    • pp.361-365
    • /
    • 1986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growth characteristics for each of botanical types of peanut (Arachis hypogaea L.) under vinyl-and non-mulching in cultural limiting region. Ten peanut varieties pertaining to virginia-large seed, virginia-small seed, spanish, valencia, shinpung type were used in this study. Main stem length was in order of valencia, spanish, virginia-small seed, shinpung, virginia-large seed type under vinyl-and non-mulching. By vinyl-mulching, the maximum growth stage of main stem was shortened by 20 days than that of non-mulching. Number of branches per plant was distinguished among botanical types. Numbers of those were virginia-small seed 28, virginia-large seed 27, shinpung 15, spanish 13, valencia 7 under vinyl-mulching and were virginia-small seed 22, virginia-large seed 21, spanish 12, spinpung 12, valencia 5 under non-mulching. The longeset branch length was in order of valencia, spanish, spinpung, virginia-large seed, virginia-small seed type under vinyl-and non-mulching and velencia type was the longest of the botanical types.

  • PDF

Evaluate Adaptability of Automatic Potato Planter (전자동 감자 파종기 현장 적응성 평가)

  • Choi, Il Soo;Oh, Jong-woo;Yu, Hong Seob;Lee, Dong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17.04a
    • /
    • pp.88-88
    • /
    • 2017
  • 감자 재배 기계화를 위한 전자동 감자 파종기의 기구적인 개념 설계를 수행하고, 시작기를 제작하였다. 시작기의 성능평가를 통해 기계화에 적합한 감자 재배양식에 대한 연구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감자 재배 양식에 따른 주요 감자의 생육 사항, 수량성, 상품성 및 품질, 주요 생리 장애등을 측정하여 기계파종 후 재배상의 문제점 파악과 파종 시 기계적인 미비점을 파악하여 개선방안을 마련하는데 있다. 기존의 국내 관행적 감자 재배 작형별 재배방식은 1줄 재배의 경우 재배 형식이 둥근두둑 방식이며, 2줄 재배의 경우 평두둑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감자 파종기를 이용한 기계화 재배의 경우 평두둑으로 2줄 재배 방법을 채택하였다. 본 연구는 공시품종인 수미를 이용하여 봄 재배 형식으로 강릉 재배단지에서 실시하였다. 감자 파종은 2016년 3월 31일에 실시하였으며, 재배기간 92일을 소요하여 수확은 2016년 6월 30일에 하였다. 기계파종의 경우 두둑형식은 평두둑 2줄 재배양식 흑색비닐(파종구 세절) 파종 방법으로 전자동 기계파종을 실시하였고, 인력 파종의 경우 기계 파종과 동일한 방식으로 인력으로 실시하였다. 기존의 재래적 방식인 관행파종은 두둑형식은 외줄 1줄 흑색비닐(유공) 파종 방법으로 인력파종을 실시하였다. 관행 파종 방법은 이랑사이 75-80cm, 주간거리 20-25cm, 흙덮기 8-12cm로 재식밀도는 5,000-5,300주/10a로 씨감자 160kg/10a 소요하여 파종하였다. 실험 결과 감자 파종방법별 출현율은 기계파종의 경우 79.9-88.4%, 인력파종의 경우 97.9-99.2%로 기계파종에서 인력파종대비 결주율이 10.0-18.5% 정도 발생되었다. 씨감자의 절단 방법은 4절에 비하여 2절에서 양호하였다. 상품 지수의 경우 관행파종을 기준(100)으로 기계 파종(90)과 인력 파종(103)은 4절로 작업한 곳에서 상품성이 높았다. 파종 전 싹틔우기 여부에 따라서는 생육 초기(30일 이전)에는 싹틔운 파종 방법이 양호하였으나, 생육 후기(30일 이후)에는 싹을 틔우지 않은 파종 방법이 양호하였다. 기계 파종을 이용한 4절 씨감자 파종은 부패율이 12.2%로 다른 대비군에 비해 높았다(1.9-7.6%). 수확량(kg/10a)은 기계파종에서 2,748-3,503 kg 으로 관행 3,883 kg 대비 71-90% 수준으로 나타났다. 싹틔우지 않은 감자 4절을 이용한 기계 파종 시 결주율이 18.5%, 부패율 12.2%으로 싹틔운 감자 2절을 이용한 기계 파종으로 할 경우 결주율 10%, 부패율 4.1% 으로 낮출 수 있다.

  • PDF

Effects of Climatic Factors as affected by the Type of Plastic House, Cultural Season and Crop Locations on the Growth and Yield of Summer and Retarding Culture of Cucumber Plants Grown in Rockwool (Plastic house의 형태, 재배양식 및 시설내 위치에 따른 기상환경의 차이가 암면재배 오이의 생장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

  • 임준택;김학진;정순주;이범선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Bio-Environment Control Conference
    • /
    • 1999.11a
    • /
    • pp.179-182
    • /
    • 1999
  • 하계나 추계에 시설재배 오이 생산에 있어서 고품질의 오이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오이의 생육특성을 잘 알고, 시설의 형태, 재배양식 및 시설 내 위치에 따라서 생육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어떻게 자랄지 예측하는 것은 재배자 입장에서 매우 중요한 정보가 될 것이다. 특히 시설재배에서는 일조부족, 저온, 수분조건 등의 급격한 변화가 나타나기 쉽기 때문에 이 같은 환경조건의 제어를 통한 관리가 고품질 다수확에 중요한 관건이라 할 수 있다. (중략)

  • PDF

Economic Comparison Analysis by Automation of Potato Planter (감자 파종기 자동화에 따른 경제성 비교 분석)

  • Choi, Il Soo;Oh, Jong-woo;Yu, Hong Seob;Lee, Dong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17.04a
    • /
    • pp.89-89
    • /
    • 2017
  • 감자 재배 기계화를 위한 전자동 감자 파종기의 기구적인 개념 설계를 수행하고, 시작기를 제작하였다. 시작기의 성능평가를 통해 기계화에 적합한 감자 재배양식에 대한 연구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감자 재배 양식에 따른 씨감자 소요량 및 종묘비 금액을 측정하여 기계파종의 경제성 분석함에 있다. 기존의 국내 관행적 감자 재배 작형별 재배방식은 1줄 재배의 경우 재배 형식이 둥근두둑 방식이고 2줄 재배의 경우 평두둑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기존의 국내 관행적 감자 재배 작형별 재배방식은 1줄 재배의 경우 재배형식이 둥근두둑 방식이며, 2줄 재배의 경우 평두둑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감자 파종기를 이용한 기계화 재배의 경우 평두둑으로 2줄 재배를 안으로 채택하였다. 본 연구는 공시품종인 수미를 이용하여 봄 재배 형식으로 강릉 재배단지에서 실시하였다. 감자 파종은 2016년 3월 31일에 실시하였으며, 재배기간 92일을 소요하여 수확은 2016년 6월 30일에 하였다. 기계파종의 경우 두둑형식은 평두둑 2줄 재배양식 흑색비닐(파종구 세절) 파종 방법으로 전자동 기계파종을 실시하였고, 인력 파종의 경우 기계 파종과 동일한 방식으로 인력으로 실시하였다. 기존의 재래적 방식인 관행파종은 두둑형식은 외줄 1줄 흑색비닐(유공) 파종 방법으로 인력파종을 실시하였다. 관행 파종 방법은 이랑사이 75-80cm, 주간거리 20-25cm, 흙덮기 8-12cm로 재식밀도는 5,000-5,300주/10a로 씨감자 160kg/10a 소요하여 파종하였다. 전자동 감자 파종기를 이용한 기계 파종 재배와 관행 파종 재배 방식과 비교하여 씨감자 소요량 및 종묘비 금액을 비교하였다. 기계파종의 경우 씨감자 절단을 2절로 한 파종 방법의 경우 종자 소요량은 370 kg/10a 이고, 2절과 4절 방법을 혼합한 파종은 204kg/10a, 4절 파종의 경우 185 kg/10a 으로 기존의 관행 파종의 결과인 160 kg/10a 에 비하여 각각 231%, 127%, 116%로 씨감자가 더 소요 되었다. 씨감자 가격은 2016년을 기준 20 kg 당 30,740원으로 계산하였을 경우 파종에 소요된 종묘비는 기계파종의 경우 감자밭 10a에 대하여 씨감자 2절 파종 절단의 경우 569,172원, 2절과 4절 혼합 파종은 312,961원, 4절 절단 파종의 경우 284,586원으로 관행 파종 245,920원으로 나타났다. 기계 파종 시 씨감자 절단 파종 방법에 따라 관행파종 대비 씨감자 종묘비가 16-131% 증가하였다. 하지만 이는 인력파종에 드는 인건비를 제외한 종묘비만 계산한 경제성 분석이므로, 종합적인 경제성 분석은 기계파종기 구입비용 및 투입된 노동력을 고려한 경제성 분석이 추가적으로 필요하다.

  • PDF

해선어 양식업이 첨단산업으로 가는 길

  • 조세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Aquaculture Society Conference
    • /
    • 2003.10a
    • /
    • pp.15-16
    • /
    • 2003
  • 이제 바다로부터 식량을 얻는 방법이 어선을 통해 포획하는데서 점점 연근해에서 양식을 통해 생산하는 쪽으로 선회를 하는 것이 세계적인 추세가 되어가고 있다. 이와 같은 양식업의 점진적 발전은 해수 환경을 보전하고 생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먹이(사료)를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물고기의 먹이로 적합한 어분 및 잡어의 생산과 공급은 해마다 어족 자원의 고갈로 감소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양식어종의 사료로 어분이나 잡어를 대체할 수 있는 단백질 공급원을 개발하고 활용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역사적으로 대두는 약 5000년 전 중국에서 재배되기 시작했다. 사람들은 본격적으로 19세기 초부터 대두에 대한 연구를 시작하여 대두가 사람에게 중요한 단백질과 기름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 1950년대 초반에 이르러 대두박이 값싸지만 단백질이 풍부한 사료원료로서의 가치가 입증되면서, 축산업이 오늘의 전성기를 구가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되었다. 그렇지만 바다에서 식량을 생산하는데 있어서도 육지에서 가장 많이 재배되는 두류작물인 대두와 대두제품을 활용하기 시작한 것은 먼 오래전의 일이 아니다.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세계 여러 나라에서도 담수어종인 잉어, 뱀장어 및 틸라피아등에서 대두박의 영양학적 우수성이나 경제성이 이미 입증된 바 있다. 앞으로 해산어 양식기술의 발달은 해산어용 전문 배합사료의 개발과 보급 없이는 불가능하기 때문에, 미국, 일본, 노르웨이등 해산어 양식 선진국들일수록 이 부문에 대한 연구 개발 노력이 특히 활발하다. 식생활은 물론이고 심지어는 친환경적 산업 제품에 이르기까지 대두와 대두제품이 우리의 각광을 받고 있는 것은 결코 콩이 지닌 물리적 성상, 영양학적 및 경제적 가치의 우수성 때문만은 아니다. 미국은 자국의 대두 생산자들이 생산해 낸 대두를 판매하면서 조성한 자조금을 모아 대두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연구 개발과 국내외 시장을 확대하기 위한 마케팅 활동에 쓰고 있다. 이런 자조 노력은 비단 미국의 대두 농민들에게만 국한된 것이 아니다. 가깝게는 일본의 수산업과 해산어 양식산업의 발전은 중앙 및 지방 정부, 수협과 같은 어민 조합 및 연근해 수산업 종사자들이 출연한 기금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음을 지난 8월 북해도의 양식산업을 시찰했을 때 확인할 수 있었던 사실이다. 이제 우리나라도 국민소득 1만불 시대를 넘어 2만불 시대를 열기 위한 청사진을 그릴 만큼 모든 경제의 규모가 확대되었을 뿐 아니라 질적으로 고도화되었다.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성숙된 산업사회에 걸맞는 각 산업 주체들의 의식이다. 한국의 양식산업도 자조 정신을 갖추어 생산성 향상에 초점을 맞춘 양식기술의 개발, 환경 보전을 고려한 양식장 관리 및 소비를 확대하기 위한 유통시스템의 선진화에 스스로 투자를 해야 할 시기에 와 있다.

  • PDF

고흥해역에서의 품종별 양식미역(Undarias)의 재배시험 (2) 형질간의 상관분석

  • 서태호;신종암;이금열;정준호;진판동;최성제;전영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3.05a
    • /
    • pp.217-218
    • /
    • 2003
  • 미역(Undaria pinnatifida)은 수심, 수온, 조류 등의 서식지 환경이나 재배밀도 및 지역 개체군에 따라서 형태의 변화가 극심하며 품종의 형질은 유전자형과 환경과의 상호작용에 의해서 발현된다(Ishikawa 1994, 1995 ; Pang et al. 1997). 따라서 본 연구는 양식미역의 품종별 형질 상태를 규명하여 고흥해역 환경에 적합한 품종을 선발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중략)

  • PDF

고흥해역에서의 품종별 양식미역(Undarias)의 재배시험(1) 형질의 월별변화

  • 서태호;신종암;이금열;정준호;진판동;최성제;전영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3.05a
    • /
    • pp.215-216
    • /
    • 2003
  • 미역(Undaria pinnaifida)은 수심, 수온, 조류 등의 서식지 환경이나 재배밀도 및 지역 개체군에 따라서 형태의 변화가 극심하며 품종의 형질은 유전자형과 환경과의 상호작용에 의해서 발현된다(lshikawa 1994, 1995 ; Pang et al. 1997). 따라서 본 연구는 양식미역의 품종별 형질 상태를 규명하여 고흥해역 환경에 적합한 품종을 선발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