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재발암

Search Result 500,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The Utility of $^{18}F$-FDG PET/CT for Following Up Head and Neck Cancer (두경부암 환자의 추적관찰에서 $^{18}F$-FDG PET/CT의 유용성)

  • Chung, Eun-Jae;Baek, Seung-Kuk;Woo, Jeong-Soo;Kwon, Soon-Young;Jung, Kwang-Yoon
    • Korean Journal of Head & Neck Oncology
    • /
    • v.26 no.2
    • /
    • pp.178-182
    • /
    • 2010
  • 서 론 : 두경부암의 예후에 가장 중요한 인자는 진단시 병기와 치료 후 재발의 유무이다. 따라서, 재발 병변을 조기에 발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두경부암 환자의 추적 관찰에서 $^{18}F$-FDG PET/CT의 유용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2004년 4월부터 2008년 8월까지 고려대 안암병원에서 두경부암으로 치료를 완료한 후 추적관찰이 가능하였던 88 예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는 본원의 두경부암 추적관찰 양식에 따라 술 후 6, 12개월째 $^{18}F$-FDG PET/CT를 시행하였으며, 원발부위 및 경부 재발, 원격전이와 중복암의 진단에 있어 $^{18}F$-FDG PET/CT의 민감도, 특이도, 양성예측율, 음성예측율을 평가하였고, 기존의 추적관찰 방법과 이를 비교하였다. 결 과 : 원발부위 재발의 진단에 있어 민감도, 특이도, 양성예측율, 음성예측율은 각각 95%, 97%, 90%, 98% 였다. 경부전이 재발의 진단에 있어서는 각각 94%, 98%, 83%, 99%였으며, 원격전이 및 이차암 진단에 있어서는 94%, 100%, 100%, 99%였다. 원발부위 재발은 고식적인 진단 방법, 원격전이와 이차암은 $^{18}F$-FDG PET/CT가 진단에 의미있게 유리하였다. 결 론 : $^{18}F$-FDG PET/CT는 두경부암의 추적관찰 과정에서 재발 여부를 판정하는데 있어 매우 유용하며, 특히 원격전이 및 이차암의 발견에 있어 유용하다. 그러나, 위양성 및 위음성의 가능성으로 고식적인 진단 방법과 병행해야 진단의 효과를 높힐 것으로 생각된다.

Follow up and Salvage Treatment for Early Laryngeal Cancer (초기후두암의 추적관찰 및 재발암의 구제치료)

  • 이강대
    • Korean Journal of Bronchoesophagology
    • /
    • v.3 no.1
    • /
    • pp.50-60
    • /
    • 1997
  • 조기후두암은 치료 목표는 생명을 구하면서 동시에 후두기능을 최대한으로 보존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는데, 치료자의 철학과 환자의 선호도에 따라 방사선 치료, 레이저 수술 그리고 후두부분적출술 등의 방법이 적용되고 있다. 어떤 치료 방법이던 재발암에 대한 구제치료를 포함하면, 궁극적인 생존율은 거의 비슷하다. 그러므로 일차 치료후 얼마나 적극적으로 환자를 추적관찰하고, 적절한 구제수술을 시행하느냐에 따라 생명의 보존 그리고 재발암에서의 기능의 보존 여부가 좌우된다고 할 수 있다. 향후 보다 체계적인 추적 관찰법과 최소의 환자 부담으로 최대의 성과를 거둘 수 있는 치료방법 이 연구되어져야겠다.

  • PDF

Recurrence of Subepithelial Non-Muscle Invasive Bladder Cancer Following Transurethral Resection: A Case Report (비근침윤성 방광암의 경요도절제술 후 방광 내 상피하종양 형태의 재발: 증례 보고)

  • Nokjung Kim;Sung Kyoung Moon;Myung-won You;Joo Won Lim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 /
    • v.82 no.3
    • /
    • pp.715-720
    • /
    • 2021
  • Transurethral resection (TUR) is the gold standard treatment of non-muscle invasive bladder cancers. Recurrence occurs in approximately half of the patients with bladder cancer after initial TUR. Most recurrent bladder cancers present as polypoid masses with intraluminal growth originating from the mucosa.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there has been no report on imaging findings of recurrent bladder cancers located within the subepithelial and intramural layers. Recurrent cancers within the intramural layer are difficult to detect with cystoscopy; they are also difficult to remove surgically. Imaging studies reveal the most important indicators for diagnosing subepithelial recurrent cancers. Here, we present a rare case of a recurrent bladder cancer within the subepithelial layer detected on imaging.

Application of Radiofrequency Ablation to Thyroid Cancer: Past, Present, and Future (갑상선암에 대한 고주파 절제 적용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 Ji-hoon Kim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 /
    • v.84 no.5
    • /
    • pp.999-1008
    • /
    • 2023
  • Thyroid cancer, characterized by high incidence rates, good prognosis, and frequent recurrence, is typically treated surgically. However, since the early 2000s, radiofrequency ablation, which is commonly utilized in liver, lung, and kidney cancers, is being performed for management of primary and recurrent thyroid cancers. Many studies have focused on inoperable cases of low-risk papillary microcarcinoma (≤ 1 cm) and some have investigated its role in larger lesions (up to 4 cm). Overall, these studies have reported positive results. Radiofrequency ablation for recurrent cancer has primarily been performed for locally recurrent cervical cancer, and this therapeutic approach has been attempted for treatment of distant metastases in lungs and bones, with encouraging outcomes. A growing global trend, particularly in South Korea, the United States, and Europe supports radiofrequency ablation for thyroid cancer. However, this therapy is currently not recognized as a treatment option recommended by universally accepted clinical guidelines such as those established by the National Comprehensive Cancer Network. Based on past efforts and future research, radiofrequency ablation is expected to play a key role in thyroid cancer treatment in the near future.

Treatment of Early Laryngeal Cancer - Indication and Technique of Conservative Partial Laryngectomy - (초기 후두암의 치료 - 보존적 후두절제술의 적용범위와 방법 -)

  • 서장수;송시연
    • Korean Journal of Bronchoesophagology
    • /
    • v.3 no.1
    • /
    • pp.27-36
    • /
    • 1997
  • 초기후두암에 있어서 보존적 술식의 장점은 후두 전적출술시와 같은 국소치료효과를 얻을 수 있으면서도 후두의 생리적 기능을 최대한 보존하는데 있다. 성공적인 후두부분절제술을 위해서는 후두내에서 종양의 발생위치 및 그 확산에 대한 연부조직들의 해부학적 역할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과거에는 초기후두암환자에서 정상적인 목소리를 보존할 수 있다는 이점 때문에 방사선 치료가 일차적 치료요법으로 많이 시행되어 왔다. Wang 과 Wong은 성대 막양부에 국한된 병변에서 방사선치료에 대한 5년간 조절율(5-year control rate)이 92%, 전연합부를 침범한 경우가 81%, 그리고 후방으로 전파된 경우 76%로 감소된다고 보고하였다. Olofsson 등은 전연합부를 침범한 57례의 환자에서 방사선 치료를 시행하여 85.7%의 5년 생존율을 얻었으나, 57례중 15례에서 재발하여 구제수술(salvage surgery)을 시행하였고, Jesse 등$^{13)}$ 은 전연합부를 침범한 91례의 T1, T2 성문암을 방사선 치료를 시행하여 8.8%의 실패율을 보였으나 22례의 환자에서 재발하여 후에 salvage surgery를 시행하였다. 그러나 Ogura 등은 피열 연골을 침범한 79례의 환자에서 보존적 수술을 시행한 결과 6례의 환자에서 재발하여 90%의 3-years control rate를 얻을 수 있었다고 보고하였다. 이처럼 병변이 전연합부, 피열연골 혹은 후방성문하부로의 침범이 있는 경우는 방사선 치료 효과가 떨어지고, 따라서 방사선 치료에 실패할 가능성이 보다 높기 때문에 비록 방사선 치료 후 실패한 경우에서 구제 수술을 시행할 수는 있지만 후두기능을 보존하려는 궁극적인 목표를 생각할 때 보존적 수술을 우선적으로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Biller 등은 방사선 요법에서 실패한 성문부 종양에서는 대부분 전적출술을 시행하지만 일부는 보존적 수술을 시행할 수 있다고 보고하였다. 이들은 반대측 성문부에 종양의 침범이 없어야 하고, 전연 합으로의 파급은 있어도 가능하며 성대돌기를 제외한 피열연골이 정상이어야 하고, 종양의 성문하부로의 파급이 5mm 이내라야 하며, 연골에 침범이 없어야 하고, 성대고정이 없어야 하며, 재발 병소가 방사선요법 전의 원발병소와 상관관계가 있어야 하며, 원발병소가 후두부분적출술에 합당할 경우 보존적 술식을 시행할 수 있다고 하였다. 최근에는 다양한 후두 재건술의 발달로 보다 진행된 후두암에 대한 보존적 후두절제술들이 소개되고 있다. 단측 T3,T4 후두암 혹은 경성문암, 이상와에 위치한 암의 경우 음성만을 재건하는 후두근적출술 (near total laryngectomy)을 시행하기도 한다. 본원 이비인후과에서 1986년부터 초기성문암 51례 중 24례(47.1%)와 초기성문상암 17례 중 12례 (70.6%)에 대하여 보존적 술식을 시행하였다. 초기 성문암의 보존적 술식을 시행한 24례중, 2례(8.3%)에서 경부재발, 1례(4.2%)에서 경부재발과 동반된 폐의 원격전이가 있었으나 원발부위의 재발은 관찰되지 않았고, 술후 합병증으로 1례(4.2%)에서 후두협착, 3례(12.5%)에서 수술부위의 육아종형성, 그리고 1례(4.2%)에서 기관지염이 발생하였으나 오연으로 인한 폐렴은 발생하지 않았다. 초기성문 상암의 보존적 술식을 시행한 12례 중 1례(8.3%)에서 원발병소의 재발, 2례(16.7%)에서 경부재발이 있었으며, 술후 합병증으로 3례(16.7%)에서 오연으로 인한 폐렴의 발생이 있었지만 다른 합병증은 발생하지 않았다. 초기성문암 24례 중 재발이 나타난 3례의 환자를 제외한 21례(97.5%)와 초기성문상암 12례 중 재발이 나타난 3례의 환자를 제외한 9례 (75%)에서는 현재까지 재발소견을 보이지 않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다른 보고자들과 유사한 결과를 보이고 있지만 아직까지 증례가 많지 않기 때문에 생존율을 얻기에는 미흡한 점이 있으며, 향후 지속적인 추적관찰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Surgery for Cancer Arising at an Anastomotic Site after Radical Total Gastrctomy (위전절제술 후 문합부에 발생된 암에 대한 수술)

  • Yoon, Ho-Young;Lee, Sang-Hoon;Kim, Choong-Bai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v.7 no.3
    • /
    • pp.174-179
    • /
    • 2007
  • The survival of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is improved by early diagnosis and surgical treatment. However, there is no established treatment for locally recurrent cancer or cancer arising at an anastomotic site after total gastrectomy; further, most surgeons are reluctant to resect this type of cancer because of frequent systemic metastasis and there are few competent surgeons who have the skill to perform such an operation. We have experienced recurrent cancer at an anastomotic site after total gastrectomy: one patient had recurrent cancer and two patients had metachronous cancer. All these patients were operated on and the patients were discharged without any complications. All of them are alive at the time of this report. In some cases, good results could be expected for operating on recurrent cancer of an anastomotic site after previous total gastrectomy. So, we present here our experience along with a review of literatures.

  • PDF

The Role of Adjuvant Postoperative External Beam Radiotherapy for Locoregional Control in Recurrent Advanced Papillary Thyroid Carcinoma : Preliminary Report in a Single Institute (재발된 진행 갑상선 유두암의 국소 및 부위 치료를 위한 수술후 보조 외부방사선의 역할)

  • Park, Sung Ho;Lee, Guk Haeng;Lee, Byeong Cheol;Lee, Myung Chul;Choi, Ik Joon
    • Korean Journal of Head & Neck Oncology
    • /
    • v.31 no.2
    • /
    • pp.29-35
    • /
    • 2015
  • 목적 : 국소 재발한 진행된 갑상선 유두암의 치료로 수술 후 외부방사선의 역할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원자력병원에서 2000년 1월부터 2012년 2월까지 사이버나이프 혹은 외부방사선 치료를 받은 수술과 방사선요오드 치료 후 국소 재발한 진행된 갑상선 유두암 환자 13 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경과관찰 기간 동안 국소 및 부위 재발이 발생환 환자는 6 명이었다. 몇몇의 위험인자를 찾기 위해서 Kaplan-Meier method와 log-rank test를 이용하여 성별, 종양단계, 방사선 치료 전 수술 횟수, 방사선요오드치료 횟수, 수술 후 잔존 암의 여부, 원격전이에 대해 단변량 분석하였다. 결과 : 방사선 치료 후 평균 추적관찰기관은 53.8개월(범위, 36 ~ 108개월)이고 그중 남자는 4 명이었다. 1년, 2년의 무진행 생존률은 각각 76.9와 53.8%였다. 단병량 분석은 성별과 잔존 암여부(p = 0.0475 and p = 0.0475, 각각)에 따라 무진행 생존률이 진행한 그룹과 진행하지 않은 그룹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다는 것을 보여줬다. 결론 : 외부 방사선 치료 전에 잔존 암이 없었던 환자의 100%에서 국소 및 부위 재발이 일어나지 않았다. 외부방사선 치료는 수술과 방사선요오드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환자 중 수술 후 잔존 암이 없는 경우에 효과적인 치료 방법이 될 수 있다.

  • PDF

Clinical Analysis of $T_1$ Glottic Cancer (병기 $T_1$ 성문암 30예의 임상적 고찰)

  • Kim Kwang-Moon;Kim Young-Ho;Choi Hong-Shik;Park Sung-Soo;Lee Seung-Moon;Kim Myung-Sang
    • Korean Journal of Head & Neck Oncology
    • /
    • v.10 no.2
    • /
    • pp.178-184
    • /
    • 1994
  • Laryngeal cancer is one of the most frequent cancers in the head and neck area. Clinical analysis was performed on 30 cases of treated $T_1$ glottic cancer patients. Early glottic cancer occured most frequently in male in their sixties and all were well or moderately well differentiated squamous cell carcinoma. Overall five year survival rate was 81.5%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tages or the differentiation of the diseases. Recurrence at the primary site, especially anterior commissure, was common, thus careful pre- and postoperative follow up evaluation is recommended.

  • PDF

Role of $^{18}F$-fluorodeoxyglucose PET/CT in Recurrent Ovary Cancer (재발 난소암의 진단에서의 $^{18}F$-fluorodeoxyglucose PET/CT의 유용성: Enhanced CT와 Tumor Marker CA 125와의 비교)

  • O, Joo-Hyun;Yoo, Ie-Ryung;Choi, Woo-Hee;Lee, Won-Hyoung;Kim, Sung-Hoon;Chung, Soo-Kyo
    • Nuclear Medicine and Molecular Imaging
    • /
    • v.42 no.3
    • /
    • pp.209-217
    • /
    • 2008
  • Purpose: To date, anatomical imaging modalities of the pelvis and tumor markers have been the mainstay of surveillance for recurrent ovary cancer. This study aimed to assess the role of $^{18}F$-FDG PET/CT in evaluation of ovary cancer recurrences, especially in comparison with enhanced a and tumor marker CA 125. Materials and methods: 73 patients who had PET/CT scan for restaging of confirmed ovary cancer, and additional imaging with enhanced a of the pelvis within one month were included. CA 125 level was available in all patients. From the PET/CT images, maximum standard uptake values (SUVmax) of suspected recurrence sites were recorded. Confirmation was available through re-operation or biopsy in 26 cases, and clinical assessment with series of follow-up images in 47. Results: PET/CT had 93% sensitivity and 88% specificity for detecting recurrent ovary cancer. Enhanced a of pelvis had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83% and 88%, and CA 125 50% and 95%. Conclusion: PET/CT has higher sensitivity for detecting recurrent ovary cancer compared to enhanced a though the differences were not significant. PET/CT has significantly higher sensitivity than CA 125. However, the three tests all agreed in only 43% of the recurrence cases, and recurrence should be suspected when any of the tests, especially PET/CT, show positive findin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