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재료 강도

검색결과 6,081건 처리시간 0.383초

STS 316L과 316LN 재의 정면밀링가공에서 가공 변질층에 관한 연구

  • Oh, Sun-Se;Lee, 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한국정밀공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요약집
    • /
    • pp.262-262
    • /
    • 2004
  • 오오스테나이트 스테인리스강은 강도, 연성, 인성, 내식성 등이 우수하여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지만 절삭 시 전단저항이 크므로 절삭날 결손이나 용융을 유발하여 가공면을 안정시키기 어려우며 난삭재로서 가공경화가 매우 큰 재료이다. 그리고 질소를 약 0.1wt.% 첨가한 316LN강은 316L강에 비해 고온강도 특성이 우수하여 주목받고 있는 새로운 재료이이지만, 저탄소의 강도 약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고용강화원소로 질소를 첨가하기 때문에 높은 강도로 인하여 절삭가공에 난점이 있으므로 이 재료를 응용하기 위해서는 절삭 시 재료 표층부에 발생하는 가공 변질층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중략)

  • PDF

Comparison and Analysis of Mechanical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s for Geosynthetics (토목합성재료의 역학적 성능평가방법 비교, 분석)

  • 전한용;금재호;김홍관;김유겸;변성원
    • Proceedings of the Korean Fiber Society Conference
    • /
    • 한국섬유공학회 2003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364-365
    • /
    • 2003
  • 토목합성재료는 지반위에 전폭으로 연결되어 사용되고 하중도 전장 및 전폭으로 전달되므로 인장강도 역시 전장 및 전폭으로 시험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시험기의 용량 및 시험편 파지장치의 기술적 제약 상 전폭시험이 불가능하다. 현재 국내에서는 그래브 및 스트립 상태인 소폭으로 시험한 후 m당 인장강도로 환산하여 시공설계에 적용하고 있으므로 실제 재료의 설계 시 인장강도와 측정된 인장강도간에 차이가 있다. 그러나 미국, 유럽 등에서는 광폭시험편을 준비하여 인장강도를 측정함으로써 이러한 오차를 최소화하고 있다. (중략)

  • PDF

500kg/cm$^2$고강도 콘크리트 - 재료특성$\cdot$현장시공성에 관한 연구

  • 안재현;권영호
    • 어항어장
    • /
    • 통권18호
    • /
    • pp.69-77
    • /
    • 1992
  • 고강도 콘크리트의 실용화 일환으로 설계기준강도 500kg/cm$^2$ 이상인 고강도 콘크리트의 현장 B/P 생산과 실대구조물의 시공성 및 강도, 온도 특성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위해 현장 최적배합비 선정과 레미콘 운반시간에 따른 경시변화 시험을 수행하였고 실대구조물의 코아강도 및 콘크리트 내부온도를 측정하였다. 일반 현장재료와 장비의 사용으로도 고강도 콘크리트의 생산과 시공성을 확보할 수 있었으며 실대구조물의 코아강도가 500kg/cm$^2$ 이상을 나타냄으로써 고강도 콘크리트의 실용화에 대한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Shear Failure Modes of Reinforced Concrete Members with High-Strength Materials (고강도 재료가 사용된 철근콘크리트 부재의 전단파괴모드)

  • Lee, Jung-Yoon;Kim, Kyung-Won
    •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Spatial Structures
    • /
    • 제6권2호
    • /
    • pp.53-60
    • /
    • 2006
  • The shear failure modes of reinforced concrete members using high-strength materials (high-strength concrete and high-strength steel) are different to those of reinforced concrete members using normal-strength materials. The reinforced concrete members using high-strength materials are inclined to fail due to concrete crushing before the shear reinforcing bar reaches its yield strength. This paper presents an evaluation equation to calculate the maximum shear reinforcement ratio based on the material stresses and strains when the reinforced concrete members fail in shear. The maximum shear reinforcement ratio calculated by the proposed equation increases as the compressive strength of concrete increases. Test results of 97 reinforced concrete members reported in the technical literatures are used to check the validity of the proposed equation. The comparison between the test results and the ratio calculated using the proposed equation indicated that the shear failure modes depended on the interaction between the amount of shear reinforcement and the compressive strength of concrete.

  • PDF

Compressive Strength and Tensile Behavior of Ultra-High Performance Concrete and High-Ductile Cementless Composite (초고성능 콘크리트와 고연성 무시멘트 복합재료의 압축 및 인장성능)

  • Choi, Jeong-Il;Park, Se Eon;Lee, Bang Yeo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 /
    • 제21권3호
    • /
    • pp.69-75
    • /
    • 2017
  • Ultra-high performance concrete and high ductile cementless composite are considered as promising construction materials because those exhibits higher performance in terms of high strength and high ductil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experimentally the compressive strength and tensile behavior of ultra-high performance concrete and high ductile cementless composite. A series of experiments including density, compressive strength, and uniaxial tension tests were performed. Test results showed that the compressive strength and tensile strength of alkali-activated slag based high ductile cementless composite were lower than those of ultra-high performance concrete. However, the tensile strain capacity and toughness of alkali-activated slag based high ductile cementless composite were higher than those of ultra-high performance concrete. And it was exhibited that a high ductility up to 7.89% can be attainable by incorporating polyethylene fiber into the alkali-activated slag based cementless paste.

複合材料의 破壞에 對한 破壞力學的 Approach(I) -응력 및 응력도대계수 해석-

  • 최용식
    • Journal of the KSME
    • /
    • 제22권1호
    • /
    • pp.40-52
    • /
    • 1982
  • 복합재료의 개발.실용과 더불어 야기되는 문제중에서, 특히 복합재료가 기계나 구조물에 사용될 경우에는 가장 긴요한 문제는 역시 강도, 특히 파괴와 관련된 강도문제가 되겠다. 균질재료의 파괴거동(취성파괴, 피로파괴, 환경파괴등)을 탄성학적으로 파헤치고, 또한, 나아가서는 파괴를 미연에 예방하는 탄성설계에의 적용에 이르기까지 체계화된 파괴역학을 복합재료의 파괴거동해 석이나 강도설계에 적용시켜 보자는 시도는 일찍부터 이루어져 왔었으나, 탄성적인 이질재료가 결합하는 데서 오는 수학적인 해석사이 난점으로 말미암아 파괴역학적 해석의 기초가 되는 능 력확대계수 K의 해석에서 아직까지는 답보상태에 머물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여기에서는 복합 재료의 파괴에 파괴역학을 적용시킴에 있어서의 기초적인 사항들을 논하고, 지금까지의 이러한 방향의 연구예들을 정리해 보면서 파괴역학적인 복합재료파괴문제연구에 참고로 삼을가 한다.

  • PDF

MCPs의 셀 크기에 따른 진동감쇠특성 연구

  • 이병희;차성운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한국정밀공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요약집
    • /
    • pp.100-100
    • /
    • 2004
  • 미국에서 발명된 초미세 발포기술은 기존의 발포공법과는 달리, 가스(CO2, N2)에 의해 재료에 생성된 기포(셀)의 크기가 loom이하인 작은 셀이 재료 내에 고르게 분포되도록 하여, 기존의 발포재료보다 나은 기계적 특성을 유지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제품의 재료비를 절감하기 위해 연구된 MCPs는 기존의 발포기술과는 달리 재료의 기계적 강도 저하를 극복하고 충격 강도와 인성의 향상을 가져왔다. 그리하여, 현재 국내의 자동차업체의 범 퍼 및 내장재로의 사용을_시작으로 산업의 다각적인 분야에 이용되고 있다.(중략)

  • PDF

Development of Preheat-free 800 MPa GMA Welding Consumable (800MPa급 무예열 GMA 용접재료 개발)

  • Kim, Hee-Jin;Seo, J.S.;Park, H.K.;Park, C.K.
    • Proceedings of the KWS Conference
    • /
    • 대한용접접합학회 2009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39-39
    • /
    • 2009
  • 고강도강의 용접성은 저온균열 저항성으로 대변되는데, TMCP강과 HSLA강 등이 개발되면서 고강도강의 저온균열저항성이 크게 향상되어 무예열 용접성이 확보되었다. 그러나 용접재료 측면에서는 그에 상응하는 재료의 개발이 지연되어 용착금속부에서의 저온균열이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는 800 MPa급인 HY-100강재를 HSLA-100강으로 대체하는 과정에서 현실적인 문제로 제기 되었다. 즉 HSLA강은 용접 예열이 필요치 않았으나 기존의 용접재료, 즉 HY-100 강재에 사용하던 용접재료를 사용하게 되면 용착금속부에서 저온균열이 발생하여 용접예열을 생략할 수 없다는 판단에 이르게 되었던 것이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HSLA-100강을 무예열 용접할 수 있는 GMA 용접와이어 개발하는 것이며, 구체적인 개발 목표는 무예열 용접조건에서 800 MPa 이상의 인장강도를 가지며 $-50^{\circ}C$에서의 충격인성이 50 J 이상인 GMA 용접와이어 개발하는 것이다. 이러한 용접재료를 합금설계함에 있어 무예열 용접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용접재료의 탄소함량을 0.01% 수준으로 하고, 용착금속의 인장강도와 저온 충격치에 미치는 Mn과 Mo 함량의 영향을 검토하고 각각의 조성을 실험계획법으로 확정하였다. 그리고 확산성수소량에 따른 저온균열 발생 여부를 확인하여 무예열용접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확산성수소량이 3ml/100g 이하가 되어야 한다는 사실을 실험적으로 확인하였다. 그리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원자재인 와이어로드의 표면 품질이 중요하다는 사실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는 실험계획법에 의거하여 선정된 합금조성의 신뢰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800kg 중량의 시제품을 생산하였으며, 생산된 시제품에 대해서는 실험계획법에서 사용한 Ar+5%CO2외에도 Ar+20%CO2를 적용하여 보호가스의 영향을 검토하였다. 검토 과정에서 Ar+20%CO2용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용접재료의 Si 및 Mn 함량이 상향조정되어야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탄소함량을 0.05% 수준으로 증가시키면 Mo 함량을 크게 저하시킬 수 있음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개발된 GMA 용접재료는 무예열 용접조건에서 저온균열이 발생하지 않았으며, 인장강도는 830 MPa이었으며 $-50^{\circ}C$에서의 충격치는 90 J 이상이었다.

  • PDF

Development and dielectric strength characteristic of high performance poly meric insulating material (고성능 고분자 절연재료의 특성평가)

  • 곽동주
    • Electrical & Electronic Materials
    • /
    • 제6권1호
    • /
    • pp.22-27
    • /
    • 1993
  • 초전도 기기에 사용되는 고체 절연재료는 초전도 상태에서 상전도 상태로 천이시에 발생하는 임펄스 전압의 반복과전과 대전류에 의한 전자응력하에서 그 절연 성능이 충분히 발휘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초전도 기기의 절연재료로 유력시되고 있는 결정성 PET에 임펄스 전압이 연속 과전될 때, 이 재료의 압축응력하에서의 절연강도특성에 미치는 연속과전의 효과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에 의하면 PET에 호모전하가 주입되면 임펄스 절연강도가 헤테로 전하주입시 보다 약 4MV/cm정도 높다. 한편, PET에 전하주입의 효과를 억제시킨 임펄스 진성절연강도는 압축응력의 증가와 함께 증가하여 최대치에 도달한 후 점차 감소하며 직류 절연강도 및 호모전하 주입시의 임펄스 절연강도보다 낮다.

  • PDF

The impact strength properties of carbon/glass hybrid composite for wind turbine blade (풍력블레이드용 탄소/유리 하이브리드 섬유강화 복합재료의 충격 특성에 관한 연구)

  • Kim, Se-Young;Han, In-Sub;Woo, Sang-Kuk;Hong, Ki-Seok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78-381
    • /
    • 2007
  • 탄소섬유가 중앙에 적층된 풍력발전용 블레이드 소재인 탄소 유리섬유 하이브리드 복합재료가 VARTM(Vacuum Assisted Resin Transfer Molding)공법을 이용하여 제작되었다. 아이조드 충격시험법을 이용하여 온도, 하이브리드화 비율 그리고 노치에 대한 충격강도의 영향을 연구하였다. 온도 감소 및 탄소섬유의 증가에 의해 충격강도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노치에 의해 하이브리드 복합재료는 약 $25{\sim}30$%가량의 충격강도 감소를 보였다. 그러나 단일 탄소섬유 복합재료의 경우 노치민감도는 없었으며, 이에 소량의 유리섬유 첨가로 인해 하이브리드화 하였을 경우 충격강도 향상 및 저온 충격강도 안정성을 확보 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