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재난 후

Search Result 440,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The Effects of Life Changes on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fter Disasters (재난 후 생활변화가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에 미치는 영향)

  • Lim, Hye Sun;Sim, Kyungok
    • Stress
    • /
    • v.26 no.4
    • /
    • pp.319-326
    • /
    • 2018
  • Background: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pre- and peri-disaster experiences influence on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and whether post-disaster stress by life changes have impact on PTSD after controlling pre- and peri-disaster factors. Methods: Data came from a sample of 1,182 respondents who experienced natural disasters (flood and typhoon) in South Korea from 2012 to 2015. The SPSS Win 22.0 program was used for descriptive analysis, t-test, Chi-square test, Pearson's correlation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results indicated that 24.3% of the disaster victims were in PTSD risk group. Compared with non-PTSD, PTSD risk group showed lower interpersonal trust and satisfaction, higher depression and anxiety, and lower subjective well-being. The results of hierarchical logistc regression revealed that all pre-, peri-, and post-disaster factors increased the probability of developing PTSD, except for relocation of residence. Moreover, a primary post-disaster predictor of PTSD was economic distress after controlling for pre- and peri-disaster. Conclusions: This study tested relative contributions of post-disaster factors on PTSD.

A study on the disaster countermeasures considering the psychological impact of rural residents (재난에 따른 농촌주민의 심리적 영향을 고려한 재난대책 방안)

  • Seo, Eunyoung;Kim, Yeounjung;Lee, Young-Kune;Park, Miri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14 no.1
    • /
    • pp.17-27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dividual change, disaster awareness, and psychological stress of rural residents who experienced natural disasters, and to find measures to cope with the disaster of rural resid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rural residents living in Cheongju city, Chungcheongnamdo province, which suffered direct or indirect damage due to heavy rain in July, 2017. Survey and interview methods were use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disaster according to gender, and many residents were suffering from post traumatic stress. Finally, the present study suggests directions for growth after the disaster of rural people.

The Experience of Preparedness and Response in Disaster : A case of 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Coronavirus Epidemic in Korea (재난 시 응급센터 대응 연구 : 중동 호흡기 증후군 사례)

  • Wang, Soon-J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5.11a
    • /
    • pp.298-299
    • /
    • 2015
  • 본 논문은 2013년 5월 국제바이러스 분류 위원회에서 중동호흡기증후군을 일으키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를 메르스코로나바이러스(MERS-CoV)라 명명한 후, 2015년 5월 국내에 감염자가 들어와 이후 확산되고, 중동 호흡기 증후군 환자 발생 후 국내 첫 사망자가 발생한 일개 병원 지역응급의료센터 내원 후 확산을 막기 위하여 시행하였던 경험들을 공유하고자 한 내용이다.

  • PDF

ICT EXPERT INTERVIEW - 재난통신(PS-LTE)

  •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 TTA Journal
    • /
    • s.156
    • /
    • pp.6-13
    • /
    • 2014
  • 재난안전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고 재난 발생은 그 끝이 없습니다. 그래서 항상 재난에 대비하고 관련 규칙을 철저히 준수해야 합니다. 설마 하는 방심이 누적되어 불시에 대형 참사가 발생하며 이러한 재난이 발생하고 난 후에 책임공방과 과실을 따져봐야 이미 발생한 재난의 시련은 이미 돌이킬 수 없습니다. 그동안 발생한 대형 참사를 통하여 배운 교훈은 일사불란한 통합지휘체계에 의한 재난 관리 및 재난 대응 시스템이 절실히 필요하다는 사실입니다. 그러나 아직까지도 한반도의 산간오지 및 도서 지역을 커버하는 음성 그룹통신 기반의 재난안전통신망이 제대로 구축되어 있지 않으며, 이러한 상황에서 정부는 음성과 영상 그룹통신이 가능한 멀티미디어 방식의 PSLTE 구축을 3년 내에 전국을 커버하는 재난안전통신망으로 구축할 계획을 발표하였지만 이에 대한 기술표준과 상용화 장비 등이 구현되어 있지 않아 3년 내 전국망 구축이 쉽지 않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 객관적 입장에서 PS-LTE 재난망의 개념, 표준화 방향과 추진 일정, 재난안전통신망의 문제점, 시장선점을 위한 원천기술, 국내시장 활성화 방안 그리고 기타 재난 경보방송 서비스에 대하여 살펴보겠습니다. 이번만큼은 어떠한 재난이 발생하더라도 신속하고 정확하게 그리고 일사불란하게 국가재난에 대응하는 현존 최고의 재난안전통신망 구축이 완벽하게 이루어지기를 간절히 바랍니다.

  • PDF

A DTN Routing Protocol for Communications in Post-Disaster Scorched Earth Situations (재난 후 초토화 상황에서 통신을 위한 DTN 라우팅 프로토콜)

  • Yoo, Dae-Hun;Choi, Woong-Chul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9 no.6
    • /
    • pp.81-92
    • /
    • 2014
  • In this paper, we propose an efficient dynamic workload balancing strategy which improves the performance of high-performance computing system. The key idea of this dynamic workload balancing strategy is to minimize execution time of each job and to maximize the system throughput by effectively using system resource such as CPU, memory. Also, this strategy dynamically allocates job by considering demanded memory size of executing job and workload status of each node. If an overload node occurs due to allocated job, the proposed scheme migrates job, executing in overload nodes, to another free nodes and reduces the waiting time and execution time of job by balancing workload of each node. Through simulation, we show that the proposed dynamic workload balancing strategy based on CPU, memory improves the performance of high-performance computing system compared to previous strategies.

The Disaster Information Reporting System by Using Intel Edison (인텔 에디슨을 이용한 재난정보 알림 시스템 제안)

  • Park, Yo-Han;Kim, Young-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5.11a
    • /
    • pp.215-216
    • /
    • 2015
  • 본 논문은 인텔 에디슨에 탑재된 WiFi 및 블루투스 모듈을 이용하여, 평상시 블루투스 소켓 통신으로 센서 데이터를 전송하던 중, 센서로부터 위험요소를 감지하였을 때 WiFi 소켓 통신으로 재난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이를 경고하는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인구밀집장소에서의 재난 발생과 유사한 환경을 구성한 후, 재난이 발생했을 때 효율적인 재난 정보 전송을 할 수 있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 PDF

A Plan to Activate the Use of Civil Defense Equipment Using the Disaster Management Resource Joint Utilization System (재난관리자원 공동활용시스템을 활용한 민방위 장비 사용 활성화 방안)

  • Park, Nam-Hee;Yeo, Wook-Hyeon;Yeo, Hwa-J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10a
    • /
    • pp.400-401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실질적 활용이 미흡한 민방위 장비 사용을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재난관리자원 공동활용시스템(DRSS)'를 분석하고 DRSS 내에서 민방위 장비를 등록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한다. 재난관리자원이란 각종 재난의 수습활동에 필요한 물적·인적 자원으로서 재난관리책임기관의 장이 재난에 대비하여 비축·관리 또는 지정·관리하여야 하는 장비자재, 물자, 시설 및 인력을 말한다. DRSS는 평상시에 지자체, 중앙부처, 민간단체에서 보유하고 있는 재난관리자원을 등록, 지속적으로 변동사항을 현행화하고 재난 발생으로 자원이 부족할 경우 인근 기관의 보유 자원을 조회하고 지원 요청하여 현장에 자원을 투입하도록 지원하는 시스템이다. 다만 민방위자원은 현행법상 재난관리자원에 속하지 않기 때문에 DRSS 내에서 활용하기 위해서는 기존에 등록된 재난관리자원과의 중복여부 조사와 함께 중복되지 않은 자원을 별도 분류 후 등록이 필요하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Mobile Application in Post-Disaster (재난 후 상황에서의 모바일 응용 설계 및 구현)

  • Yoo, DaeHun;Choi, WoongChul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8 no.3
    • /
    • pp.97-105
    • /
    • 2013
  • All means of communication using base stations are interrupted if the scorched earth environment happens because of a disaster. In order to use the systems of the public protection and disaster relief standards, users have to use the special equipments and need the expertise of the operation. Also, it needs the enormous investment for building an infrastructure. The systems is inadequate for the quick and efficient disaster communication, and the people can be in the chaos before the national resources are committed. For solving this problem, this paper presents the design of the mobile application that general people can use immediately, and implements the android phone's application for the proof of concept.

Evaluation of Hazus-MH Applicability to Disaster Loss Estimation (재난 손실 평가를 위한 Hazus-MH의 국내 적용성 평가)

  • Lee, Jun Hyeong;Chae, Myung Byung;Jung, Sung Eun;Choi, Chang Hyun;Kim, Hung 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134-134
    • /
    • 2018
  • 전 세계적으로 자연재난으로 인한 경제적 손실과 인명 피해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방재 선진국의 경우 자연재난의 피해를 저감시키기 위해 재난 손실 평가 시스템을 활용한 방재 대책을 모색하고 있다. 재난 손실 평가 시스템은 컴퓨터 및 지리정보시스템(GIS) 등을 기반으로 기존의 손실 평가 과정을 전산 시스템화 한 것으로, 재난발생 전과 후에 체계적인 절차에 따라 손실을 평가함으로써 방재대책을 실현하는데 큰 도움이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미국의 재난 손실 평가 시스템인 Hazus-MH(Hazards U.S. Multi-Hazard)를 이용하여 국내 홍수피해 사례를 모의하고, 손실 평가를 수행한 결과와 실제 재난으로 인한 피해를 비교 및 분석 하였다. 또한, 국내 재난 관련 데이터베이스를 Hazus-MH에 사용함으로써 국내 적용 방안 및 한계점을 소개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대표적인 방재선진국인 미국의 재난 손실 평가 시스템을 국내에 적용해보고, 국내 재난 손실 평가 시스템 구축을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Development of Evaluation Index about Disaster Preparation Training (재난대응훈련 평가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 Park, Nam-Hee;Yeo, Wook-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6.11a
    • /
    • pp.278-280
    • /
    • 2016
  • 본 연구는 재난대응훈련시 훈련의 결과를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지표를 개발하는 것이 목적이다. '재난대응 안전한국훈련'은 전 국민이 참여하는 훈련으로 재난대응 행동요령 숙지는 물론, 안전문화 확산에 기여토록 추진하고 범국가적 재난대응체제 확립을 위한 발생가능한 모든 재난유형을 대비한 국가종합훈련이다. 재난대응훈련 평가지표 개발에는 재난대응 안전한국훈련의 평가분야별 평가지표 분석 및 적용, 최종점수 100점 만점을 기준으로 평가결과 3등급(A, B, C) 부여, 중앙평가위원회에서 기관별 평가결과 및 협력도를 종합적으로 검토, 우수기관 선정 및 포상 추진, 미흡기관(C등급 하위 10%) 역량교육 및 재훈련, 기관별 미적용 평가지표는 해당 배점을 제외하는 것 등으로 지표 개발을 고려한다. 재난대응훈련 평가지표 개선을 위하여 개발된 표준훈련절차와 평가지표를 바탕으로 테스트베드를 통한 문제점을 도출한 후 운용 및 적용성을 보완하여 시스템 운영을 하도록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