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재난 시 서비스

Search Result 163,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A Case Study of the Disaster Emergency Alert Broadcasting Systems in the Domestic (국내 재난경보방송 시스템 사례 조사)

  • Byun, Yoonkwan;Jeon, Inchan;Choi, Seongj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7.06a
    • /
    • pp.177-179
    • /
    • 2017
  • 우리나라는 2017 년 5 월부터 ATSC 3.0 표준에 기반한 지상파 UHD 서비스를 시작한다. 지상파 방송은 긴급한 재난 시 재난정보를 신속 정확하게 전달하여 국민의 피해를 줄일 수 있는 효과적인 매체이다. 본 고는 2000 년 이후 우리나라에서 개발했던 재난경보방송 시스템을 조사 분석한다. 우선 아날로그 방송을 활용한 사례를 간단히 조사하고, 지상파 DMB 재난경보방송 개발과정을 기술적, 정책적, 법적 관점에서 조사 분석한다. 분석 결과는 지상파 UHD 를 활용한 효과적인 재난방송 구축을 위한 정책 수립에 참고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Analysis of Vulnerability of Emergency Transport Service for Flooded Area (침수피해지역의 응급이송서비스 취약성 분석)

  • Lee, Yoon-Ha;Hong, Won-Hwa;Lee, Ji-Soo;Choi, Jun-Ho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32 no.4
    • /
    • pp.122-130
    • /
    • 2018
  • Recent urbanization, population densification, and the impact of global climate change are causing disasters to become larger and more complex. Meanwhile, in Korea, there is an emphasis on preventing, restoring, and recovering from disasters. However, disaster medical care, which is absolutely necessary to maintain life in a disaster, is being ignored. Therefore, in this study, we selected Seoul as the study area where flood damage is frequent and underground housing is densely populated. Assuming underground housing in the immersion history area as the emergency patient site, transfer distance and transfer time were analyzed. This study considered both accessibility to emergency medical facilities and disaster sites and accessibility from emergency services to disaster sites. Therefore, it seems to be meaningful as basic data for the improvement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Disaster Prevention Service Design Framework (방재서비스디자인 프레임워크 연구)

  • Ha, Kwang Soo;Pan, Younghwa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6 no.3
    • /
    • pp.52-60
    • /
    • 2016
  • Many hidden aspects of society around the world that has been lurking as risk factors have been ultimately connected to disasters. Such connection did not just stop with massive damages to properties and loss of lives but became a serious social issue. Especially in the case for Korea, because the country has gone through abrupt economic growth which has resulted in rapid urbanization and expansion of economic scale, Korea has been caught in a vicious cycle of experiencing human and social calamities repeatedly. Due to the seriousness of such problem, there's been continued research in various fields for managing disasters, and the domain of knowledge has been expanding with complexity. The following study went beyond the perspectives of disaster prevention study, disaster prevention engineering and social sciences suggested from previous research directions in disaster and disaster prevention, and attempted an alternative research method by approaching from a service design perspective. During the process, the paper looked over the summary on disaster and service design. By applying it on disaster prevention projects, the research sets forth and discusses effective and practical disaster prevention service design. Through specific case studies, the research methodology applied was verified, and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carried out in the perspective of real world applications different from textbook type discussions. It is expected that through the disaster prevention service design process and platform that were discovered during the research result, defining and understanding disaster prevention service design will be made apparent. Additionally, the research is expected to be used as a basic building block for building a visualized plan for tangible and intangible factors related to disasters before the disaster process through such proposed disaster prevention service design.

An Implementation of Application for Collecting Disaster Information using Smartphone (스마트 폰을 이용한 재난정보수집 애플리케이션 구현)

  • Lee, Jung-Ki;Kim, Chang-Soo
    •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 /
    • v.15 no.1
    • /
    • pp.108-114
    • /
    • 2012
  • Government-related organizations and institutions are stepping up their efforts to establish information system and service for disaster prevention because of the increasing occurrence of disaster. Therefore, they are collecting numerous disaster data using various way such as using mobile device or disaster history document. However, these method requires large amount of time and effort. Moreover, it is difficult to connects with another system because previous ways fall short of standard and connectivity. Therefore, this paper focused on collecting various disaster information using smartphone application and then complement the drawbacks of previous system.

Development of geo-coding module prototype on water hazard information (수재해 정보 지오코딩 모듈 프로토타입 개발)

  • BAECK, Seung Hyub;PARK, Gwang-Ha;HWANG, Eui-Ho;CHAE, Hyo-S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476-476
    • /
    • 2017
  • 최근 갑작스런 폭우로 인한 제방 붕괴, 침수 및 지진 등과 같은 재해 발생 시 추가 피해를 방지하고 주민들의 긴급대피를 도운 건 SNS를 통한 현장 정보와 경보 메시지의 지속적인 전파이다. 최근의 SNS는 재난정보에서도 활용할 수 있을 정도로 진화하였다. 국가재난정보 중 수재해 관련 정보를 추출하여 다양한 주제도위에 중첩으로 공간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재난정보 제공을 위한 웹서비스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수재해 정보를 필터링하기 위하여 우선 관련된 키워드 선정이 필요하며, 기본적인 키워드는 하천일람표를 참고하여 6개 권역 및 하천이름을 선정하였다. 또한, 한강 홍수 통제소의 수자원 용어사전과 (사)한국물학술단체연합회에서 발간한 물용어집을 참고하여 수재해 관련 용어들 약 300여개를 추가하였다. 선정된 용어들은 1차적으로 적재된 데이터베이스에서 수재해 정보 관련 필터링을 하는데 사용되며, 비정형 데이터들을 필터링하고 주소 정보 검색 및 추출을 통하여 정형화 하게 된다. 추출된 주소정보에 대하여 개발한 지오코딩 모듈을 적용하여 수재해 항목에 대해 좌표정보를 업데이트 하게 된다. 가뭄, 집중호우, 홍수 등의 수재해 정보별, 또한 일자별 그룹화 및 구조화를 진행하고 해당되는 정보를 공간정보 오픈플랫폼 API를 활용하여 지도상에 가시화할 수 있다. 개발한 지오코딩 모듈을 이용하여 실제 테이블 정보를 구성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수재해 정보 지오코딩 테이블을 구성하여 테스트 모의하였다. 재난정보 중 홍수, 가뭄에 대한 선택정보와 시간정보를 매개변수로 받는 XML 웹서비스 테스트로 검증을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재난정보 가시화에 있어서 사용자가 조회하고자 하는 유형별, 날짜별 선택이 가능한 공간적 정보를 검색 및 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 개발한 수재해 정보 지오코딩 모듈 프로토 타입은 수재해 정보 플랫폼 융합기술 연구단에서 개발하는 핵심 목표시스템 내 재난정보 제공시스템에 적용 가능하며, 수재해 정보에 대하여 대국민 서비스가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Consideration on u-Gov's Role for Effective Reaction to Disaster (효율적인 재난대응을 위한 u-Gov 역할 고찰)

  • Choung, Young-chul;Bae, Yong-Gue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9 no.8
    • /
    • pp.1908-1916
    • /
    • 2015
  • In reacting to disasters, rationality only relies on human experience leads to huge lose. Accordingly, in order to prepare for national emergency due to diverse and complicated disaster, the government needs to transfer into cooperation-based disaster management system using smart UT. Hence, this paper analyzes current disaster management systems' problems and considers resolution in fulfilling the requirement in safety. Then, it suggests service structure for technically effective UT utilization and considers u-Gov's role in preparing unpredictable disasters.

Development of Korean Emergency Medical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gainst Chemical Accident (화학사고 대비 응급의료정보 제공 한국적 시스템 개발)

  • Wang, Soon-J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7.11a
    • /
    • pp.289-290
    • /
    • 2017
  • 본 연구는 화학사고 시 피해에 대한 응급의료정보를 신속, 적정히 제공, 관리하기 위하여 데이터베이스를 설계하며, 그 내용으로서 화학사고 응급의료 정보 및 대응 시나리오를 포함한 컨텐트를 제작하여 화학사고 응급 콜센터를 운영하게 될 때 사용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화학사고 응급 콜센터를 응급의료진이 직접 참여하고 관련 기관이 연계되어 시범 운영함으로써 그 결과를 환류, 수정 반영하여 응급의료 정보가 적절히 제공되는 지속적인 화학사고 응급 콜센터가 운영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화학사고 시 응급의료정보 제공에 적합한 콜센터 시스템의 다양한 유형을 개발하고 이 운영 체계가 한국적 상황에 맞는지 시범사업을 통하여 확인하여 화학사고 응급 의료정보 제공시스템 개발 및 서비스 운영 기반을 확보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Real-Time Monitoring System for Vulnerable People of Thermal Diseases (폭염재난 인명피해 대응을 위한 실시간 온열 질환 플랫폼 고도화 연구)

  • Jung, Kang-Hee;Kwock, Chan-Hyuk;Lee, Su-Hyeon;Kim, Jeong-Eun;Han, Hye-Won;Jung, Byou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1.11a
    • /
    • pp.144-147
    • /
    • 2021
  •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에 대해 민감하게 대응하고 있으며, 이중 국내에서는 지난 2018년 폭염을 자연 재난으로 개정했다. 대구시는 매년 지역 현안의 해결과제로 폭염 재난을 언급하고 있다. 이전 연구를 통해 대구시를 대상으로 온열 질환 취약 계층을 고려한 폭염 대응 관제 플랫폼을 개발했다. 본 연구는 온열 질환 의심 환자 판별알고리즘 및 실시간 모바일 앱 알림 서비스를 추가 적용 등 플랫폼 고도화 작업을 진행했다.

Public Libraries' Response to COVID-19 Pandemic and Expected Roles in Upcoming Disasters: A Case Study of South Korea (국내 공공도서관의 코로나19 팬데믹 관련 대응 및 재난발생시 기대되는 역할 연구)

  • Hanseul Lee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54 no.4
    • /
    • pp.205-228
    • /
    • 2023
  • In 2020, the novel coronavirus disease (COVID-19) struck the world. This study examined Korean public libraries' response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to determine their working practices, service patterns, applied strategies, and roles played. The study administered an online survey to 317 public librarians in South Korea. The results indicated that librarians reported significant transitions regarding the services provided. However, only 15.5% of the survey respondents reported that they had experienced trainings/workshops for library staff members. Survey participants also identified challenges such as the limitations of non-face-to-face services, complaints from library patrons, and overwork due to epidemic prevention. When it comes to the expected roles of public libraries in upcoming disasters, the study contends that information providers, who guide the public through various information resources, would play the most critical role. An analysis of a few open-ended questions' answers proliferated the highlighted findings. Based on the key findings, this paper also discussed implications for information professionals and future research.

IoT convergence with inundation response technology in coastal cities (IoT 융합 해안도시 침수대응 기술 개발 및 실증 연구)

  • Ha, Sangmin;Kim, Jiho;Lee, Gyuwon;Park, Jungkyu;Lee, Inhwa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340-340
    • /
    • 2020
  • 본 연구는 산지-도심-해안으로 연결된 해안도시의 지역적인 특성으로 인해 해일과 같은 조위 상승 원인이 침수 및 홍수 위험을 증가시키는 복합재난에 대응하기 위하여 실시간 침수 위험정보 확인 및 대응, 대시민 상황전파 등이 가능하도록 IoT 융합 침수 대응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이다. 또한, 침수 및 홍수방어벽 등의 구조적대책을 검토하여 실시간 IoT 융합 침수 대응시스템과 연계운영함으로써 해안도시의 시설 및 재산을 보호하고 시민의 안전을 확보하는데 기여할 수 있는 실증연구를 수행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침수 대응을 위한 구조적 대책은 양산형 IoT 침수 및 하천수위 감지 장비, 센서 연동 침수 및 홍수방어벽, 복합재난알림 디스플레이 등의 개발이며, 비구조적 대책은 강우-하천수위-조위 실측자료기반의 머신러닝 침수위험 분석 모듈 개발, 수치모의에 의한 예상 침수심 및 침수위험지도 작성, 재난상황 전파 알림서비스 등이 있으며 개발된 시제품과 기술을 테스트베드에 적용하고 부산광역시에서 운영하는 재난상황관리시스템인 스마트빅보드(SBB, Smart Big Board)에 연계 및 탑재함으로써 향상된 침수대응 및 대시민 서비스가 가능한 시스템을 구축 및 실증하고자 한다. 센서, 통신, 자료연계 및 분석에 대한 IoT 융합 기술을 침수 대응 기술개발에 적극 활용하여 실측자료와 수치모의 분석 결과가 연계된 침수위험정보를 생산하고 실시간 대응이 가능한 효율적이고 실질적으로 피해를 저감 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고 적용성을 입증한다면 국내외 해안도시에 확대 보급이 가능해져 침수 피해로부터 효과적으로 국민의 재산과 생명 보호할 수 있다. 또한, IoT 기술을 연계한 재난 모니터링 시스템의 확산으로 복합재난 대응 연구에 기여할 수 있고 상대적으로 실측자료 수집, 연구에 소외되어 온 소하천 등에도 적용이 가능하여 재난으로 인한 사회적 비용을 경감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