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재난 관리

Search Result 1,842,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The Research of the Efficiency of Emergency Management System (재난관리의 효율성 향상 방안)

  • Jeon, Jeong-Seok;Chung, Yeong-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0.04a
    • /
    • pp.413-418
    • /
    • 2010
  • 인류가 살아온 역사는 재난을 극복하기 위한 과정의 연속이였다. 효율적인 재난 대응을 하기 위해서는 중앙정부 뿐만 아니라 지방자치단체도 통합관리체제로 재편되어야 할 것이다. 기초자치단체의 재난관리체계가 상당히 미흡한 상태이기에 광역지방자치단체와 긴밀한 상호공조체제 유지로 역할 분담을 명확히 하여 신속하고 체계적인 대응체계를 구축하고, 재난관리 전문인력을 집중 육성 및 구난장비의 확충과 더불어, 국민들의 안전의식 수준을 향상시키고 위기 상황발생시 극복할 수 있는 가상체험 훈련 등을 통하여 유사시에 대비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재난관리 정보시스템을 설계하고, 재난관리 대응매뉴얼을 활용하여 재난시 국민들이 슬기롭게 대처하여 재난피해를 최소화 하는 방안을 강구하여야 한다.

  • PDF

A Study on Development Plan of Design and Operation for Education Training of Disaster & Safety Field Workers with the Amendment of Framework Act on the Management of Disasters and Safety (재난 및 안전관리기본법 개정에 따른 재난안전분야 종사자 교육훈련 설계 및 운영 발전 방안 연구)

  • Nam, Sangwhun;Park, HaeJung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9 no.4
    • /
    • pp.484-492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development plan for systematic design and management of disaster and safety education curriculum in accordance with the revision of Framework act on the management of disasters and safety. The curriculum is intended for current disaster management professionals. Prior to analysis, disaster and safety professionals wer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disaster practitioner, disaster manager, and disaster higher manager. And based on 24 disaster safety functions and 13 disaster management competence items, priorities of their task ability were derived. Considering practical effect of disaster and safety education, the course curriculum is divided to target groups of disaster practitioner, disaster manager, and disaster higher manager. Disaster management education curriculum and its design are based on the results of disaster prevention education contents development planning to reflect the elements of advanced disaster management education and to consider brand making of the curriculum and operation pattern.

정책범위의 확장과 국민의식 간의 합의 -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 개정을 중심으로

  • Kim, Syeun;Hong, Jeongyoo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17.05a
    • /
    • pp.461-471
    • /
    • 2017
  • 지난 2017년 1월 17일, 우리나라는 재난 및 안전관리기본법의 자연재난에 우주물체의 추락 충돌로 인한 재난을 포함시켰다. 이는 '14 진주운석 추락 등 잇따른 우주재난에 대한 국제적 관심고조 및 이에 대한 대비의 필요성 제기 등이 바탕이 된 것으로, 우주재난에 대한 국가적 관리의 필요성이 현안에 반영된 결과이다. 한편, 기존정책의 범위가 축소되거나 확장되는 등 변화가 발생할 때 해당 정책이 효과적으로 집행되기 위해서는 정책의 실질적 집행 효과를 경험하는 대상이 되는 정책적 고객이 정책의 변경내용을 인지하고 해당 정책에 대하여 공감하는 것이 중요하다. 우주재난의 경우 재난 및 안전관리기본법에 기존에 포함되어있던 기타 자연재난과 비교할 때, 그 위험도나 피해정도 등이 대중에게 어떠한 평가를 받고 있으며, 특히 기타 자연재난과 비교할 때 같은 맥락으로 이해되고 있는지를 파악하여 향후 세부 정책에 반영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국민의 우주위험인식 수준과 국가 재난정책"의 후속연구로서 2016년 9월 발생한 경주지진 전 후 자연재난에 대한 국민의 인식에 변화가 있는지를 분석하여 이를 토대로 우주재난에 대한 국민의 인식을 설명하고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Continuity of Operation Planning Framework - Focusing on High Level Structure - (기능연속성계획 프레임워크 개선 방안 연구 - HLS 기반 중심으로 -)

  • Lee, Young-Jun;Kim, Jae-Hak;Lee, Mi-Sun;Cheung Cho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10a
    • /
    • pp.263-264
    • /
    • 2022
  • 2010년부터「기업재해경감법」에 따라 기업재난관리표준으로 기업재해경감 우수기업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하지만 「기업재해경감법」이 자율로 되어 있어 민간기업 스스로가 이 제도를 도입하여 실행하는 문화가 정착할 수 없었다. 따라서 유럽 등 선진국처럼 새로운 제도 시행을 하기 전 공공분야에 적용하여 효과성이 검증되면 민간으로 확대한다. 따라서 재난관리책임기관이 기능연속성계획을 수립하게 되면 의무화가 되지 않은 민간영역으로 확대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되었다. 본 연구는 기수립 되어 있는 기능연속성계획의 성숙도 측정이 어렵고 평가체계를 도입하기 위한 후속 정책 지원을 위하여 HLS 기반의 프레임워크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Impact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saster and Safety Management System of a Business on its Disaster and Safety Management Performance: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the Disaster and Safety Management Competence (기업의 재난 및 안전관리체계 특징이 재난 및 안전관리 활동성과에 미치는 영향: 재난 및 안전관리 능력과 역량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Choi, Wan-Gyu;Kim, Sang-Gil;Rhim, Jong-Kuk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22 no.6
    • /
    • pp.215-225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mpirically verify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safety officers and managers handling disaster and safety management, competence, and performance among disaster and safety work-level officers in medium-sized companies in South Korea. For this study, the researcher surveyed 509 disaster and safety management officers of various companies and analyzed the resultant data.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the safety officers handling the disaster and safety management systems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impact on performance. Seco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afety officers handling the disaster management systems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impact on competence. Third, the disaster and safety management competence of the safety officers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impact on performance. Four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afety officers handling the disaster and safety management systems of businesses and their performance, the competence of the safety officers had a mediating effect.

Conformance Study for BCMS Change Management Operations - Focus on ISO 22301 and ISO 45001 Requirements - (BCMS 변경관리 운용에 대한 적합성 연구 - ISO 22301과 ISO 45001 중심으로 -)

  • Kang, Shin-Woo;Kim, Duck-Ho;Cheung, Cho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11a
    • /
    • pp.165-166
    • /
    • 2023
  • BCMS의 변경관리에 대한 요구사항은 ISO 22301 구성체계의 기획단계인 6.3 변경의 기획에서 수행하고, 기업재난관리표준 구성체계에서 기획단계인 3.5.5 문서화된 정보에서 수행하도록 규정하였으며, 이는 모두가 P-D-C-A 운용 모델의 Plan 단계에 해당된다. 이러한 구성체계는 BCP를 최초에 수립하는 단계에서는 적합하지만, BCP가 수립(제정)되어 운용단계에서 발생되는 변경사항을 처리하는데는 많은 문제점이 도출된다. 따라서 재난 및 안전관리 분야에 해당하는 유사제도의 요구사항을 대상으로 비교분석을 통하여 도출된 개선방안을 연구결과로 제시하고자 한다. BCP를 수립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보완사항은 변경관리 절차에 포함하지 않고, BCP가 수립되어 운용단계에서 발생되는 변경사항만 변경관리 절차에 포함하여 관리하며, P-D-C-A 운용 모델의 Act 단계에서 수행하는 것이 적합하다.

  • PDF

재난정보관리를 위한 재난안전데이터 표준화 기술 개발

  • Kim, Byeong-Sik;Lee, Dong-Seop
    • Water for future
    • /
    • v.52 no.1
    • /
    • pp.40-51
    • /
    • 2019
  • 본 연구를 통해 재난안전데이터의 공동활용을 위해 다양한 관점에서의 데이터 표준화가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향후 4차 산업혁명에서의 데이터의 위치와 빅데이터에서의 데이터 융합, 공공데이터 이용에 대한 패러다임의 변화에서도 볼 수 있듯이 재난안전정보 뿐만 아니라 데이터는 수요자 중심의 활용과 이용으로 새로운 데이터의 가치를 얻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재난안전정보의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공동활용을 위해 재난안전정보 관점에서 비정형 자료의 데이터 수집, 데이터베이스의 관리 및 데이터의 표준(안), 재난안전정보의 교환 표준(안) 및 공동활용 전략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재난안전정보의 공동활용 체계를 구축하여 정보공유 및 재난안전정보의 추적, 활용이 가능하게 하여 신속하게 대국민 재난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하여 경험기반의 재난관리 및 지능형 재난관리의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확장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 Comparative Analysis on Emergency Administration System Between South Korea, the U.S., and Japan (한국, 미국, 일본의 재난행정체제에 대한 비교 분석)

  • Park, Sung je;Yoon, Jong-Han;Ryu, Si Sae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135-135
    • /
    • 2016
  • 지구온난화가 진행되면서 태풍, 홍수, 호우 등 기후변화에 기인한 재해의 피해수준이 심해지고 범위도 날로 확대되고 있다. 한국의 경우에도 집중호우와 그로 인한 침수피해 등 자연재해로 인한 피해가 늘어나면서 자연재해에 대응할 수 있는 재난행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복합적인 양상을 보이는 재난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행정체제에 대한 연구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 재난행정이 오랫동안 발전해온 미국과 일본의 체제 각각에 대한 연구는 있어왔으나, 한미일 3개국의 재난행정체제를 체계적으로 비교하고 한국에 필요한 시사점을 도출한 연구는 많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의 행정체제의 발전에 오랫동안 지대한 영향을 미쳐온 미국과 일본의 재난행정체제를 분석하고 최근의 재난 양상과 관련해 한국에 필요한 시사점을 도출한다. 본 연구의 연구방법으로는 비교제도분석을 실시했다. 우선 선행연구 검토에 기반하여 재난행정체제의 비교분석에 필요한 비교틀을 구성하고, 분석틀에 기반해 한국, 미국, 그리고 일본의 재난행정체제를 비교한다. 분석결과 한국의 재난 행정체제는 미국 및 일본과 같은 재난행정의 선진국가와 비교할 때 재난관련 법률이 통합적이지 않고 분산되어 있어 상호중복 및 충돌의 소지가 있으며, 재난관리 단계에 있어서도 예방보다는 대응과 복구에 중점을 두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재난대응의 1차 책임소재도 불명확하며 민간네트워크도 재난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수준으로 발전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으로서 미국과 일본의 재단대응체제으로부터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첫째, 기존의 분산되어 있는 기본법들을 통폐합하여 재난관리를 통합적으로 다루는 기본법을 제정할 필요가 있다. 둘째, 지방정부의 재난대응역량을 강화시키고 보다 많은 책임과 권한을 부여해야 한다. 셋째, 재난관련 기관들의 역할을 명확히 분담하고, 정보를 공유하며, 조정기제를 효율화하여 재난대응시 협업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분산적인 재난관리체제를 통합적 성격의 체제로 전환해야 한다. 넷째, 주민단위 재난대응조직과 협력의 틀을 구축하여 민관네트워크를 활성화하여야 한다.

  • PDF

A Study on the Strengthening of Disaster Response Capacity to Prevent Social Disasters (사회재난 예방을 위한 재난 대응역량 강화방안 연구)

  • Choi, Suk-Chan;Kim, Duck-Ho;Chong, Cheu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11a
    • /
    • pp.189-190
    • /
    • 2023
  • 본 논문은 최근 발생된 주요 사회재난에 대해 살펴보고 재해경감활동차원에서 대응 및 개선 방안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동안 국회의 입법 활동은 물론이거니와 국가, 지자체 또한 크고 작은 재난에 대해 그때마다 각종 대책을 쏟아내고 있지만 재난을 근본적으로 예방 또는 방지하는 데는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이는 최근 발생된 이태원 10.29 참사에서 볼 수 있듯이 사회재난은 자연재해와는 달리 재난의 예측 어려움은 물론이거니와 전혀 예상하지 못한 상황에서 재난이 발생할 수 있음을 감안하여 재해경감을 위한 충분한 대책을 마련하는 등 예방 활동을 사전에 전반적으로 강화하여 나갈 필요가 있다. 특히 이태원 10.29 참사는 안전대책, 매뉴얼이 제대로 작동되지 않은 총체적인 안전 불감증의 대표적인 사례로 볼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PDCA 사이클을 중심으로 재난 예방 및 발생 가능성 최소화를 위한 재해경감활동 차원에서 대응방안을 모색하고 개선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PDF

Improving the PR System of the Disaster Management -Contents Analysis of 'Monthly Publication of the Disaster Analysis & Prospect'in NEMA- (재난관리 효과성 제고를 위한 재난관리 PR체계 개선방안 -소방방재청 '월간재난종합상황 분석 및 전망'의 내용 분석-)

  • Lee, Ye-Jong;Lee, Ju-Ho;Byun, Sung-Soo;Lee, Jae-Eu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1 no.4
    • /
    • pp.338-346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improving the PR System of the Disaster Management. For achieving the purpose, this article deals with Monthly Publication of the Disaster Analysis & Prospect pressed by the NEMA and DHS TODAY pressed by the DHS and use to contents analysis as methodology. This study selects sorts, management steps, and learning of disaster which are useful in analyzing contents by the krkwic program. This study suggests how to improve PR System of disaster management focusing on contents of the PR me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