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재난피해현황

Search Result 126,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Development of Crop Loss Assessment Method by Flood Disaster (홍수에 따른 농작물 피해 추정 방법 개발)

  • Kim, Gilho;Hong, Seungjin;Choi, Cheonkyu;Kim, Kyungta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225-225
    • /
    • 2019
  • 건물, 차량, 사회인프라시설과 달리 농작물이란 물리적인 시설이 아닌 농업경제 활동의 결과물로서 최종적으로 판매를 통해 수익을 창출하는 행위에서 재난으로 인하여 지장을 받게 되는 경제적 피해가 고려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홍수로 인한 농작물 피해를 "생산비 매몰비용"과 "순수익 손해"를 농작물 피해추정의 척도로 하였다. 생산비 매몰비용이란 경작시작부터 피해발생까지 투입된 생산비의 회수불가에 따른 피해이며, 순수익 손해란 피해발생에 따른 기대 순수익 하락에 따른 피해를 의미한다. 다양한 작물 가운데 10종의 대표작물을 선택하고, 각 작물의 표준생산비와 표준순수익을 농업생산 및 수익과 관련한 통계자료로부터 결정하였다. 이로부터 생육경과율과 홍수 발생시기(6~9월)를 고려하여 월별 투입생산비 및 기대순수익을 결정하였다. 대상지역 내 재난에 노출된 작물정보를 정의하는 농작물 인벤토리는 농림축산식품부에서 제작된 스마트 팜 맵(농경지 전자지도)을 활용하였고, 다양한 작물이 혼재된 밭의 경우 농업면적조사 결과를 토대로 결정한 밭작물 재배현황비를 고려하였다. 홍수에 따른 취약성을 설명하는 농작물 손상함수는 영향인자는 침수심, 침수기간이며, 이를 기준으로 한 손상함수는 농림부의 농업재해피해조사요령과 일본 치수경제조사메뉴얼을 참고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농작물 피해 추정 방법은 기존 방법인 다차원 홍수피해산정법(MD-FDA)과 비교할 때 대표작물의 현실화, 국내 실정을 고려한 손상함수, 그리고 면적 기반의 원단위를 사용함으로써 실무적으로 명확하고 실용적으로 사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Survey of Domestic Public Alert and Warning System (국내 재난정보전달시스템 현황)

  • Lim, Seong Ryul;Park, Sun Yeong;Kwak, Chunsub;Jeon, Inchan;Choi, Seong J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1.07a
    • /
    • pp.153-154
    • /
    • 2011
  • 재난이 발생하였거나 발생할 우려가 있을 경우 국민들에게 이에 대한 정보를 신속하게 제공하면 많은 인명 및 재산 피해를 줄일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에서는 우리나라에서 시행한 재난정보전달시스템에 대해 간략히 소개한다. 각 시스템의 장점 및 단점 또한 타 시스템과의 차별성에 대해 기술한다. 이러한 분석은 향후 국가 통합재난정보전달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기본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Developing Framework for Flood Loss Estimation Model of General Building Based on High Resolution Inventory (고해상도 인벤토리 기반 일반건물 홍수손실 예측 모델)

  • Kim, Gil Ho;Kim, Gyung Hoon;Kim, Kyung Tak;Oh, Eun 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135-135
    • /
    • 2015
  • 2004년 개발된 다차원홍수피해산정법(MD-FDA)은 홍수에 따른 경제적 피해를 추정하기 위한 기법으로서 그 동안 하천설계기준, 댐설계기준, KDI 예비타당성조사 지침 등에 반영되어 실무에서 활발히 사용 중이다. 그러나 그 동안 많은 연구에서 MD-FDA의 인벤토리 체계, 가용자료의 정밀성, 손상함수, 손실유형 범위와 관련한 개선이 요구되었으며, 최근에는 재난위기 관리 능력강화를 위한 "한국형 재난피해 예측 시스템" 개발의 필요성이 제기되면서 현재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재난손실과 관련한 많은 연구를 진행 중이다. 이에 본 연구는 국외 주요 홍수손실 예측 모델과 현재 국가차원에서 서비스되는 상세자료를 검토하여 일반건물(general building)의 홍수손실 평가 체계를 제시하고, 이와 연관된 세부요소 기술을 정립하였다. 우선, 지역 내 건물현황 및 특성정보가 참조가능한 자료를 바탕으로 일반건물의 유형을 분류하였고, 이밖에 건물손실 평가에서 주요 참고자료로 활용되는 인구, 종사자수 등의 사회 경제적 정보를 연계한 인벤토리 DB 구조를 설계하였다. 이로부터 구축되는 인벤토리 DB는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공간자료이며, 손상(damage)과 손실(loss)을 평가하기 위한 건물특성 정보를 포함한다. 한편, 본 연구에서의 건물손실은 자산의 총가치를 기준으로 한 상대적 손상률(%)을 설명하는 손상함수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감가상각을 고려한 건물의 완전대체비용(건물자산가치)가 정의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최근 한국감정원에서 발간한 "건물신축단가표"와 "유형고정자산 내용연수표"를 바탕으로 손실평가에 필요한 요소기술을 정립하였다. 제시한 일련의 과정은 동두천시 신천 범람사례를 대상으로 적용하였고, 그 결과를 기존의 MD-FDA 결과와 비교하였다.

  • PDF

Distribution of Hyperbaric Oxygen Chamber for Noxious Gas Disaster in Korea (유독가스 발생 재난을 대비한 국내 고압산소기의 배치)

  • Wang, Soon-Joo;Kang, Poore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10a
    • /
    • pp.381-382
    • /
    • 2022
  • 국내에서 1980년대까지 연탄을 에너지로 많이 사용하면서 일산화탄소 중독이 빈번하여 고압산소치료가 활용되다가 이후 연탄 사용의 감소로 고압산소치료기가 대부분 활용되지 못하고 폐기되는 경우도 많았다. 이후 세월호 사고에서의 잠수사들에 대한 고압산소치료 적용, 가스누출이나 번개탄을 활용한 자살시도가 빈번해지며 고압산소치료기를 보유하고 있는 기관이 부족해 적절한 치료를 제 때 받지 못하여 고압산소치료기의 필요성이 되두되었다. 국내에서는 2021년 기준으로 한해 36,266 건의 화재가 발생하고 2020년에 365명이 화재로 사망하며, 화재로 인한 손상은 1,917건이었는데. 화재 시 여러 유독가스를 흡입하게 되고, 이에 따라 고압산소치료가 필수적으로 진행되어야 한다. 유해화학물질 사고, 대규모 오염, 다양한 교통수단에서의 대형 사고, 건축물 붕괴 사고 및 대규모 지진, 화산폭발 같은 자연재해 시에도 가스 중독이 발생하며, 이는 고압산소치료가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다양한 종류의 재난에서 발생하는 유독가스 피해자에게 고압산소치료는 필수적이나 본 연구에 의하면 국내에는 고압산소치료챔버의 숫자와 동시에 고압산소치료로 수용할 수 있는 환자수에도 한계가 있고 그 분포의 불균형도 존재하고 있어 재난 시 인명 피해 감소의 기반 장비, 시설로서 고압산소챔버의 균형있는 확산, 적용이 시급한 실정이다. 다행히 최근 전국적으로 고압산소챔버가 증가하는 추세에 있어 그 현황과 배치 상황을 조사하여 이를 통하여 고압산소챔버가 필요한 유독가스 발행 재난에 대비할 수 있는 역량이 증가하고 있다.

  • PDF

A study on selection of vulnerable area and support plan for aid countries (재난관련 원조 대상국가의 재해 취약지역 선정 및 지원방안에 관한 연구)

  • Yeo, Ho-Jun;Yoon, Cho-Rong;Lee, Ja-Won;Ahn, Jae-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458-458
    • /
    • 2011
  • 기후변화에 따른 재해의 발생빈도 및 규모가 전 세계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국제사회의 지원 확대와 함께 우리나라 또한 국제원조에 대한 관심과 지원이 짧아지고 있다. 따라서 원조 대상국가 실정에 맞는 재난지역 선정과 지원방안 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재난관련 원조 대상국가들 중 베트남 지역에 대한 재해 취약지역 선정과 그에 따른 지원방안에 대해 분석하였다. 베트남의 재해자료를 수집 및 분석하여 태풍, 돌발홍수, 홍수 및 범람에 대한 각 지역별 피해 이력자료를 구축하였고, 재해 사상별 피해유형들에 대한 현황을 지역별로 조회하여 통계 결과를 제공하기 위한 항목들로 제시하였다. 제시된 항목들에 대한 평가를 통해 베트남의 잠재적 재해 취약지역을 선정하였고, 선정된 취약 지역에 대한 기술적 지원방안을 수립하였다. 또한 우리나라의 현실이 고려된 전략적인 지원체계와 로드맵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추후 개발도상국의 취약지역 선정 및 지원방안을 수립하고, 장기적인 차원의 경제협력 방안을 구축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Study on Disaster Response Strategies Using Multi-Sensors Satellite Imagery (다종 위성영상을 활용한 재난대응 방안 연구)

  • Jongsoo Park;Dalgeun Lee;Junwoo Lee;Eunji Cheon;Hagyu Jeong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39 no.5_2
    • /
    • pp.755-770
    • /
    • 2023
  • Due to recent severe climate change, abnormal weather phenomena, and other factors, the frequency and magnitude of natural disasters are increasing. The need for disaster management using artificial satellites is growing, especially during large-scale disasters due to time and economic constraints. In this study, we have summarized the current status of next-generation medium-sized satellites and microsatellites in operation and under development, as well as trends in satellite imagery analysis techniques using a large volume of satellite imagery driven by the advancement of the space industry. Furthermore, by utilizing satellite imagery, particularly focusing on recent major disasters such as floods, landslides, droughts, and wildfires, we have confirmed how satellite imagery can be employed for damage analysis, thereby establishing its potential for disaster management. Through this study, we have presented satellite development and operational statuses, recent trends in satellite imagery analysis technology, and proposed disaster response strategies that utilize various types of satellite imagery. It was observed that during the stages of disaster progression, the utilization of satellite imagery is more prominent in the response and recovery stages than in the prevention and preparedness stages. In the future, with the availability of diverse imagery, we plan to research the fusion of cutting-edge technologies like artificial intelligence and deep learning, and their applicability for effective disaster management.

Proposal of the Training System in Disaster Safety with Digital Twin and eXtended Reality Technology (디지털트윈과 확장현실 기술을 연계한 재난안전 훈련 시스템 구축 방안 연구)

  • Won, Seok-Hwan;Kim, Seong-Hoon;Kim, Sang-Min
    • Journal of Cadastre & Land InformatiX
    • /
    • v.52 no.2
    • /
    • pp.103-119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plan to establish a system that can maximize the effectiveness of disaster safety training. A review of previous studies and analysis of current status case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current level of data, systems, demand technologies, laws, and systems for related fields. A disaster safety training system linking digital twin and extended reality technology was proposed, and a study on the construction plan was conducted for this. It is hop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the advancement of the disaster safety training system and reduce disaster damage.

Development of drought exercise procedure through US case analysis (미국 사례 분석을 통한 가뭄 훈련 절차 개발)

  • Ahn, Sang Hyun;Kim, Sang Mun;Choi, Jung Rye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404-404
    • /
    • 2020
  • 우리나라는 매년 반복되는 가뭄으로 사회·경제적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정부에서는 가뭄에 대응하기 위한 대응방안을 마련하고, 지방자치단체 및 유관기관을 중심으로 용수배분 등을 위한 가뭄 대비 훈련을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가뭄 훈련을 준비하고, 계획하기 위한 가뭄 특성을 반영한 훈련 기준이 미비한 실정으로 가뭄 훈련을 위한 기준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미국의 가뭄 훈련 현황을 조사·분석하여 시사점을 검토하고, 국내 가뭄 훈련을 위한 절차를 제시하였다. 미국은 가뭄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가뭄 훈련을 할 수 있도록 제시하고 있다. 가뭄 피해 및 가뭄 대비를 위한 사항을 제시하고 있으며, 워크숍, 게임, 도상훈련, 기능 훈련 등의 훈련 종류를 제시하고 있다. 또한, 훈련을 시행하는 데 필요한 고려사항을 제시하고 있어, 체계적인 훈련 계획의 수립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미국의 사례를 검토한 결과 가뭄 훈련 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지식부터, 훈련의 종류, 훈련시 고려사항, 훈련계획 수립 절차를 체계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모든 재난 유형에 대한 범용적인 훈련 지침을 제시하고 있어, 가뭄으로 인한 피해 대응의 특수성을 반영하지 못한 한계를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는 미국 사례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훈련 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절차를 제시하였으며, 가뭄이라는 재난의 특수성을 반영하고, 훈련을 좀 더 내실있고, 체계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가뭄 훈련 지침이 필요한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 PDF

A Study on the Planning of Civil Defense Shelter and Design 1 - On the ideas of the State of Civil Defense Shelter & Design Criteria - (민방위 대피시설 계획 및 설계 방안에 관한 연구 1 - 민방위 대피시설의 현황 및 설계기준을 중심으로 -)

  • Park, Namkwun;Paik, Sungkun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10 no.3
    • /
    • pp.358-365
    • /
    • 2014
  • North Korea has been preparing for WMD(Weapons Mass Destruction) using asymmetric force since it recognized the economic effects of CBR (Chemical, Biological, Radiological) weapons system operation and the limitations of conventional weapons. However, the threat only to conventional bombs, missiles and etc. is considered on the current Civil Defense Shelter, which could increase civil damages, not responding appropriately to disasters such as CBR weapons, terror attacks and etc. Therefore, this study confirms the current situation of Civil Defense Shelter and design criteria focused on CBR disasters so that we could make a plan and design of Civil Defense Shelter. In addition, we suggest the research result and improvements on Civil Defense Shelter and Design.

Development of the Practical System for the Automated Damage Assessment (재해 피해조사 자동화를 위한 실용시스템 구축)

  • Jin, Kyeonghyeok;Kim, Youngbok;Choi, Woojung;Shim, Jaehyu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ocietal Security
    • /
    • v.1 no.2
    • /
    • pp.73-78
    • /
    • 2008
  • Recently, large scale natural disasters such as floods and typhoons due to climate change have been occurring all over the world causing severe damages. Among the various efforts to reduce and recover damages, recently, advanced information technology and remote sensing techniques are applied in disaster management. In this study, a real-time automated damage estimation system using information technology and spatial imagery was developed to accomplish prompt and accurate disaster damage estimation. This system is able to estimate the damage amounts of public facilities such as roads, rivers, bridges automatically through spatial imageries including ground based digital images, aerial photos, satellite images of disaster sites. Based on these spatial imageries, the damage amounts are analyzed in the Web-GIS based analysis system. Consequently, the digital damage reports such as digital disaster information sheets and damage maps can be made promptly and accurately. This system can be a useful tool to carry out prompt disaster damage estimation and efficient disaster recover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