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재난유형

Search Result 354, Processing Time 0.03 seconds

재난안전통신망 추진 경과와 향후 주요 과제

  • Kim, Sa-Hyeok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33 no.3
    • /
    • pp.20-28
    • /
    • 2016
  • 본고에서는 과거 통합지휘무선통신망 사업부터 현재 재난안전통신망 구축 시범사업 추진까지의 재난안전통신망 구축 추진 경과를 살펴보고, 기지국 수, 상용망 활용 수준, 단말 보급 시기와 유형별 물량 등 시범사업 주요 논쟁 이슈 및 향후 쟁점과 과제를 제시한다.

Analysis of disaster-accident information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lgorithm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활용한 재난사고정보 분석)

  • Ahn, Jaehwang;Choi, Youngje;Lee, Inhwa;Chae, Heechan;Yi, Jaee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106-106
    • /
    • 2017
  • 우리나라는 현재 재난의 유형을 자연재난과 사회재난으로 구분하여 관리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 재난 사고 사례를 살펴보면 단일재난으로 인한 피해보다 자연재난이 발생한 이후 사회재난으로 재난이 전파되는 복합재난의 형태가 종종 나타나고 있다. 복합재난은 단일 재난에 의한 피해(인적, 물적) 보다 크게 나타나고 복합재난의 발생원인 및 전파과정을 분석하기 어려워 이에 대한 다각적인 분석과 동시에 재난상호간의 연관성을 도출하는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과거 재난사고정보를 분석하는 연구는 일반적인 통계기법을 활용한 분석에 머물러 있으며 수집된 재난사고사례가 많지 않아 분석에 신뢰성을 보장할 수 없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복잡하게 나타나는 재난 사고를 분석하기 위하여 최근 각광받고 있는 인공지능 분석기법을 연구에 고려하였다. 본 연구의 과정은, 첫째로 재난사고정보 분석에 인공지능을 활용한 사례를 조사하고 여타 연구분야에서 적용되고 있는 인공지능 분석기술을 재난사고정보 분석에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둘째로 수집가능 한 재난사고정보를 수집하고 인공지능 모형에 적용가능 한 형태로 변환하는 과정을 수행하였다. 셋째로 변환된 재난사고정보를 대표적인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다양한 질문(목적)에 부합하는 재난사고정보 분석모형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다양한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적용한 모형의 신뢰성을 비교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재난사고정보 분석에 적용가능 하며 질문(목적)에 부합하는 최적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 PDF

Service Requirements for UHD Disaster Alert Broadcasting via Public Media (공공미디어를 통한 UHD 재난경보방송 서비스 요구사항)

  • Kwak, Chunsub;Lee, Manky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8.06a
    • /
    • pp.280-281
    • /
    • 2018
  • 2017년 UHD 본방송을 시작한 후 ESG, TIVIVA와 같은 부가서비스들이 지속적으로 도입되고 있다. 최근에 UHD 재난경보방송 도입 논의가 시작되었고, 서비스 방향을 TV에서 공공미디어로 확대하는 방안에 논의가 이어지고 있다. 재난경보방송의 대상이 TV가 아닌 다른 유형의 수신기들로 달라지면 서비스 시나리오도 달라진다. 기존의 아날로그 TV재난방송은 TV 화면에 자막으로 재난 문자가 표출되었고, DMB 재난경보방송은 내비게이션에서 알람음을 동반한 팝업창에 문자 메시지 형태로 표출되었다. UHD 재난경보방송 서비스가 공공미디어로 확장되기 위해서 역시 새로운 서비스에 관련한 다양한 연구가 요구된다. 이에 본 논문은 공공미디어를 통한 UHD 재난경보방송의 서비스 요구사항에 있어 3가지 연구 과제를 점화하고 있다. 우선 기존과 다른 재난 정보전달 서비스인 만큼 공공미디어를 통한 재난경보방송의 서비스 성격 정립이 필요하다. 그리고 공공미디어 수신 환경에 적합한 다양한 메시지 형식이 연구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공공미디어를 통한 재난경보방송 시스템과 솔루션의 원격 관리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 PDF

Types and Resilience Characteristics of Urban Disaster Prevention Design (도시방재디자인의 유형과 리질리언스 특성)

  • Pyo, Heejin;Kwack, Dongwha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13 no.1
    • /
    • pp.59-72
    • /
    • 2017
  • Recently, urban environments are changing due to climate change and urbanization. Because of these, Urban disasters occur frequently. To solve this situation, the architects and urban planners have been presenting urban disaster prevention design, and the concepts of resilience are utilized in urban disaster prevention design.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cases of urban disaster prevention design presented by architects and urban planners, and grasped the types and resilience characteristics of urban disaster prevention design. Further, the direction of urban disaster prevention design was proposed in the point of sustainability.

이상기상의 영향과 안전관리

  • Sim, Jae-Hyeon
    • 방재와보험
    • /
    • s.119
    • /
    • pp.14-18
    • /
    • 2007
  • 세계의 이상기상은 조만간 우리에게 재난으로 다가올 것이고 우리나라는 이를 사전에 대비한 체계를 갖추어야 한다. 따라서 실제 이상기상으로 야기될 수 있는 재난의 유형과 그 심각성을 중심으로 향후 우리나라가 대처하기 위해 지금부터 준비하여야 하는 이상기상 관련 안전관리의 필요성을 논의하고자 한다.

  • PDF

The Sensing Model of Disaster Issues based on Relevance to Disaster from Social Big Data (재난 관련도에 기반한 소셜 빅데이터에서의 재난이슈 탐지 모델)

  • Choi, Seon-Hwa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4.11a
    • /
    • pp.829-832
    • /
    • 2014
  • 최근 사람 간 소통채널인 소셜미디어는 매스미디어 중심의 정보유통의 흐름을 바꿔놓으며 기업, 공공기관 등에서 가치를 찾는 핵심자원으로 관심을 받고 있다. 재난관리도 기존의 정부중심 대응에서 벗어나 소셜미디어, 즉 소셜 빅데이터를 활용한 국민 참여형 재난관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재난관리를 위해 실시간 소셜 빅데이터를 모니터링하는 시스템인 국립재난안전연구원의 소셜 빅보드(Social Big Board)를 소개하고, 이 시스템의 재난이슈 탐지의 정확성 향상을 위해 새롭게 개발된 재난유형별 관련도에 기반한 재난이슈 탐지기법을 설명하며 실험 및 평가결과를 제시하고자 한다.

A Study on Analysis of User Needs and Improvement Plans for Disaster Record Information Services Based on SNS (SNS 기반 재난기록정보서비스를 위한 이용자 요구분석 및 개선방안)

  • Doo, Hyo-Chul;Kim, Geon;Oh, Hyo-J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
    • v.36 no.1
    • /
    • pp.269-294
    • /
    • 2019
  • To effectively cope with new and different types of disasters, it is very important to communicate and update disaster information to the public quickly and efficiently. SNS enables rapid spread of information and continuous exposure. SNS enables two-way communication by directly communicating with users. SNS complements the shortcomings of mass media, and increases the effectiveness of disaster management work. This study analyzed user awareness and requirements to derive effective methods of SNS operation of disaster management institutions. For this purpose, a user surve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types of information that are highly user-interested and to select information items suitable for SNS services. Through this, we suggest ways to improve the SNS disaster record information service of the disaster management institution.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system for collecting and displaying disaster site information for disaster situation management : focusing on earthquakes (재난상황관리를 위한 재난현장정보 수집 및 표출시스템 개발 연구 : 지진을 중심으로)

  • Koo, Jee Hee;Song, Juil;Cho, Jung Y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40 no.1
    • /
    • pp.31-40
    • /
    • 2022
  • The importance of disaster management and response is emerging as various disasters such as COVID-19, torrential rains, and fires occur one after another. In addition, in order to respond efficiently throughout disaster response activities, it is necessary to quickly collect disaster site information and quickly check the site situation through photo and video information so that rapid disaster response can be achieved. In this study, essential information required for decision-making was derived by analyzing the essential activities of each disaster response stage, analyzing the crisis management standard manual and related laws for each disaster type, and daily comprehensive report. In addition, a list of information necessary to grasp the situation of the disaster site and grasp the status of real-time damage was derived to establish guidelines for collecting volatile disaster site information, and disaster situation information can be efficiently displayed through a spatial information-based display system. By presenting essential disaster management information to be collected first, the person in charge of collecting information can efficiently collect information, and the situation room in charge of disaster response decision-making is expected to enable more efficient disaster situation management by receiving only the necessary information.

On-line Safety Eudcation Status (On-line 안전교육의 현황)

  • Lee, Seung-Yong;Cheon, Seung-M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6.11a
    • /
    • pp.159-162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on-line 안전교육의 현황에 대해서 알아본다. 2014년 4월 16일 세월호 침몰사고를 계기로 '안전' 에 대한 인식이 강화되면서 안전교육에 대한 민간자격과정이 우후죽순처럼 번지고 있다. 또한 재난시 대응할 수 있는 매뉴얼과 행동요령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특수재난은 유형의 다양화, 규모의 대형화로 여타 재난에 비해 사회적 파장이 비교할 수 없을 만큼 크므로 재난관리기관(주관 책임)간 협업대응이 반드시 필요한 데 반해, 특수재난분야 종사자를 위한 교육프로그램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특수재난은 on-line 안전교육인 e-러닝 콘텐츠의 개발과 여러 가지 안전교육 프로그램으로 특수재난 분야 종사자가 언제든지 온라인상에서 학습, 활용할 수 있도록 보급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

  • PDF

Research on the Building Method of Collaborative Network for Disaster Response (재난 대응을 위한 협력네트워크 구축방안 연구)

  • Park, Miri;Oak, Young-Suk;Chon, Jae-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7.11a
    • /
    • pp.356-357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재난관리에 있어 지방정부와 민간과의 네트워크를 지역특성별로 구성하는 방안에 대해 제시하였다. 현재 우리들이 살고 있는 과학기술이 발달한 현대 산업사회를 '위험사회' 라는 개념으로 정의하기도 한다. 최근 재난의 유형이 다변화되고 피해규모가 증가됨에 따라 본래의 정부주도하의 재난대응보다는 협업과 협력을 통한 재난관리가 필요하다. 국외에는 이러한 재난대응을 위한 협력구축네트워크를 광역방재거점 등을 설치 운영함으로써 실질적이고 효율적인 협력을 구축하고 운영 중이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협업 및 협력에 대한 매뉴얼 등을 통한 소프트적인 체계구축에 중점을 두고 대응을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외사례를 통해 실질적인 거점형태의 민관네트워크를 구축하고, 해당지역에 적합한 운영방안을 선택하는 데에 활용 할 수 있을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