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재난안전 프로그램

Search Result 141,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A Study on the Safety Culture is in the Event of the Disaster Damage Reduction in Contributions (재난 시 피해 감소에 안전문화가 기여도에 미치는 연구)

  • Cha, Young-Sh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10a
    • /
    • pp.217-218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재난 시 보다 안전한 생활을 할 수 있을 것인가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재난을 당하기 전에 재난에 대해 미리알고 몸으로 체득하는 다양한 형태의 안전교육이 활성화 되고 다양한 프로그램이 개발되어 모든 사람이 동일하고 신속한 대처를 통해 피해를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는 방법의 모델을 찾아 보고 안전 취약계층인 어린이, 장애인, 노인세대에 대한 안전교육이 강화되어야 하고 또한 주민들이 자발적인 교육을 통해 실질적인 재난 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다양한 교육 내용도 개발하고 다양한 계층별 교육 프로그램도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전문화된 안전교육 인원의 확보 전략과 전문인력의 적재적소에 배치될 수 있도록 활용계획 등 내실 있고 효과적인 프로그램도 가져야 한다. 특히 재난에 대처하는 안전문화로 발전은 지역사회 시민, 지방자치단체, NGO, 기업 등이 다양한 행동 주체로 의사 결정을 공유하고 상호조정과 협력하는 형태의 장기적인 네트워크를 지속적으로 구축을 통해 안전문화가 정착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할 수 있다.

  • PDF

Development of Disaster Safety Program for Small-sized Workplaces and Its Introduction to Occupational Safety&Health Act: Focusing on Fire, Explosion and Chemical Spill (소규모 사업장 재난안전 프로그램 개발 및 산업안전보건법에의 도입방안: 화재, 폭발, 약품 누출을 중심으로)

  • Ko, Seung-cheol;Eum, Tae-Soo;Song, Chang-Geun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 /
    • v.11 no.7
    • /
    • pp.84-90
    • /
    • 2021
  • 98.8% of accidents occurring in domestic companies are concentrated in small-sized workplaces with fewer than 50 employees. Therefore, this study developed a disaster safety program that can be implemented by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safety management system actively used with the laws and regulations related to industrial safety and facilities. The disaster and safety program included the scope of application, organizational structure, risk assessment, emergency response system, education and training, safety equipment provision and program evaluation, and detailed preparation methods and procedures for each item. In addition, items to be aware of when operating a disaster safety program and operational strategies were presented. After that, it was proposed to introduce the research results into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

A Study on the Status of Safety Accidents and Program Activation in Leisure Welfare for the Elderly : Focusing on Senior Citizens Center (노인여가복지시설 안전사고 실태 조사 및 프로그램 활성화 방안 연구 : 경로당을 중심으로 )

  • Jeong, Kyung-ok;Cheung, Cho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11a
    • /
    • pp.178-179
    • /
    • 2023
  • 인구의 고령화로 인한 노인여가복지시설에서 실질적인 생활거점과 복지시설로 역할이 변화하면서 경로당의 이용자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그러나, 다중의 고령층이 장시간 이용하는 시설임에도 불구하고 경로당에서 발생하고 있는 재난 및 안전사고에 관한 기초적인 정보 수집이 전무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노인여가복지시설 중 경로당을 중심으로 현장을 직접 방문하여 관련자 인터뷰와 통계자료를 분석하여 재난 및 안전사고 실태를 조사하고자 한다. 또한, 현재 경로당에서 운영하는 프로그램을 조사하고, 노인의 건강하고 안전한 여가생활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프로그램이 될 수 있도록 활성화 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본 연구결과가 신(新) 노년 세대를 위한 노인여가복지정책 연구에 기초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해본다.

  • PDF

On-line Safety Eudcation Status (On-line 안전교육의 현황)

  • Lee, Seung-Yong;Cheon, Seung-M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6.11a
    • /
    • pp.159-162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on-line 안전교육의 현황에 대해서 알아본다. 2014년 4월 16일 세월호 침몰사고를 계기로 '안전' 에 대한 인식이 강화되면서 안전교육에 대한 민간자격과정이 우후죽순처럼 번지고 있다. 또한 재난시 대응할 수 있는 매뉴얼과 행동요령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특수재난은 유형의 다양화, 규모의 대형화로 여타 재난에 비해 사회적 파장이 비교할 수 없을 만큼 크므로 재난관리기관(주관 책임)간 협업대응이 반드시 필요한 데 반해, 특수재난분야 종사자를 위한 교육프로그램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특수재난은 on-line 안전교육인 e-러닝 콘텐츠의 개발과 여러 가지 안전교육 프로그램으로 특수재난 분야 종사자가 언제든지 온라인상에서 학습, 활용할 수 있도록 보급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

  • PDF

A Study on Disaster & Safety Education Based on Voluntary Leisure Activities (자발적 레저활동 기반 재난안전교육 방안 연구)

  • Kim, Jae-Hyeon;Kim, Younh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10a
    • /
    • pp.359-360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재난안전교육에 대한 접근성과 기회를 확대하고 시간적 제약을 해소할 수 있는 재난안전교육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최근 레저활동을 즐기는 사람들이 증가하였고, 이를 가지고 여러 기관과 단체는 사회문제 또는 특수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레저활동을 기반으로 하는 여러 프로그램과 행사 등을 진행하고 있다. 이러한 활동 중 '플로깅'은 달리기를 하는 사람들에게 달리기 활동에 쓰레기를 줍는 활동을 녹여 자연스럽게 쓰레기를 줍도록 만들었다. 위와 같은 사례를 응용해 레저활동을 기반으로 하는 재난안전교육 방안을 제안한다. 본 연구의 모델을 통해 재난안전교육에 대한 접근성과 기회가 확대될 것이며, 사람들은 레저활동을 즐기며 자연스레 재난안전교육을 받게 될 것이다. 또한 재난 안전에 대한 인식이 늘고, 활동의 전이 및 확산을 통해 타인까지도 재난안전교육의 현장으로 이끌어 올 것을 기대할 수 있다.

  • PDF

The Effect of Regular Safety Training Programs on Flight Attendant Safety Recognition and Behavior of Airlines (항공사 정기안전교육이 승무원 안전인식과 행동에 미치는 영향)

  • Lee, Yun-H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11a
    • /
    • pp.143-144
    • /
    • 2023
  • 항공사가 매년 정기적으로 수행하고 있는 정기 안전 교육 프로그램(Safety Training Programs)을 통한 객실승무원의 안전인식(Safe Recognition) 변화와 직접적인 사고 발생 시 즉시 행동으로 연계되는 안전행동(Safety Behavior)을 연구하여 항공안전의 목표를 달성하고, 사고를 방지하여 항공사의 신뢰도를 향상시키고 다른산업에서 직원안전교육을 수행할 경우 안전교육의 내용,절차, 횟수등을 제시하는 지표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안전 교육 프로그램이 객실승무원 안전인식과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안전인식이 정기안전교육 프로그램과 안전행동의 관계에 있어서 매개효과(mediating effect)가 있는지 파악해보고자 한다.

  • PDF

Survey for Awareness for Disaster Safety in South Korean (한국의 재난안전인식에 대한 조사 및 분석)

  • Lee, Min Ji;Chung, Gunhui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191-191
    • /
    • 2020
  • 현재 전 세계적으로 태풍, 지진, 홍수 등의 재해 피해가 빈번히 일어나고 있고, 4차 산업의 발달로 인한 AI기술을 활용하여 자연재해 전반을 예측 할 수 있는 시스템이 도입될 정도로 과학적으로 발전 되어진 반면에, 재난으로 인한 인명 피해 수를 저감 시키는 방향을 도모 하는 데에는 어려움이 있고, 국민들의 재난피해의식도 심각 하지 않은 추세이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파악하기 위해 한국 국민 남녀 489명을 대상으로 재난위험인식에 대한 설문을 작성하여 조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민들의 재난 안전의 위험도에 대한 인식 수준이 어떠한지 분석하고, 영향 요인을 탐색 하는 데에 있고, 조사결과 안전취약계층은 스스로 대피 하는 데에 있어 큰 어려움이 있으며, 이중 여성은 남성에 비해 안전교육과 훈련의 접근성이 적음에 따라 위험도가 더 큰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재난 안전교육의 필요성을 가지고 재난 안전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이 구축되는 필요성이 있다고 사료되어지고, 미래에 자연재해 발생 시 문제점을 파악하고 인명피해 감소가 될 전망으로 기대가 된다.

  • PDF

Development of Disaster Management Capacity Analysis Program for Local Government (지방자치단체 재난안전관리 자체 역량분석 프로그램 개발)

  • Yoo, Byungtae;Oh, Keumho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9 no.3
    • /
    • pp.266-275
    • /
    • 2013
  • New paradigm to the advancement of disaster management is required for building resilient and safe society. In these circumstances, the importance of local government disaster management capacity has been emphasized through experiencing a series of accidents including 2012 september Gumi fluorosilicic acid diffusion accident. The increase of people's disaster awareness has emerged the public demands on disaster management information of local area. In this study, the disaster management capacity analysis program is developed for self-assessment of local government. The program is designed for disaster managers to database the categorized index of disaster management capacity and recognize the capacity level. For the public announcement of disaster management capacity, the analysis results are shown for citizens in the understandable format. It is expected that the enhancement of emergency management capacity of local society can be achieved by the efforts of local government analyzing and improving the vulnerability as well as the participation of local society.

Educational Curriculum Improvement Direction for Disaster Management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 Development (재난관리 교육훈련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교육과정 개선 방향)

  • Chang, Ji-Wo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10a
    • /
    • pp.205-206
    • /
    • 2022
  • 이번 연구에서는 재난관리 교육프로그램 개선을 위해 민방위재난안전교육연구원의 교육과정에 중점을 둔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AHP분석을 실시하여 교육과정 개혁의 우선순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재난현장지휘시스템에 대한 이해가 가장 중요한 분야로 인식되고 있으며, 재난관리 교육훈련 과정에서 대응현장에 적용되는 표준조치절차(SOP)에 대한 이해와 획득이 중요한 분야로 인식되고 있다. 따라서 재난관리 교육 프로그램 개선을 위한 현장지향적 재난대응역량 제고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 부문 강화가 필요하다. 특히 재난현장에 참여하는 다양한 정부기관과 중앙정부 및 지방자치단체 관계자들의 현장 이해도 제고를 위한 교육이 이뤄져야 한다.

  • PDF

Survey and analysis of disaster safety awareness by gender (성별 차이에 따른 재난 안전 인식에 대한 조사 및 분석)

  • Lee, Min Ji;Chung, Gun Hui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483-483
    • /
    • 2021
  • 전 세계적으로 대형 재난의 발생으로 인해 사회문화적 관습이나 신체조건 등의 차이로 남성보다 여성의 피해가 크다는 사실들이 다양한 사례와 연구를 통해 보고되었고, 개발도상국은 여성의 피해가 큰 반면에 선진국은 여성들의 재난 안전 및 교육 관리에 적극적인 참여를 통해 전반적인 대응 능력을 보일 수 있다는 연구들도 존재한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빈번하게 자연 재난이 발생하고 있지만, 실제로 재난 안전 인식에 대한 성별 분석을 하기 위한 자료가 부족한 상황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파악하기 위해 한국 국민 남녀 489명을 대상으로 재난위험인식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고, 거주지 주변 발생 가능한 재난을 인지하고 있는지, 대피소의 위치를 인지하고 있는지, 안전 관리 교육 경험이 있는지 등의 문항으로 구성하여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민들의 재난 안전의 위험도에 대한 인식 수준이 어떠한지 분석하고, 영향 요인을 탐색 하는 데에 있다. 조사결과 안전취약계층은 스스로 대피 하는 데에 있어 큰 어려움이 있으며, 이중 여성은 남성에 비해 안전교육과 훈련의 접근성이 적음에 따라 위험도가 더 큰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재난 및 안전관리 교육 및 훈련에 참여하고자 하는 의지는 남성과 여성의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를 기반으로 재난 안전교육의 필요성을 가지고 재난 안전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이 구축되는 필요성이 있다고 사료되어지고, 미래에 자연재해 발생 시 문제점을 파악하고 인명 피해 감소가 될 전망으로 기대가 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