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재난안내

Search Result 67, Processing Time 0.039 seconds

Design of Smart Emergency Alarm Broadcasting and Evacuation Guidance System for Real-Time Disaster Response of Old School Buildings (노후학교 건축물 실시간 재난대응을 위한 스마트 재난경보방송 및 대피안내시스템 설계)

  • Ahn, Byung-Dug;Lee, Seung-Hyung;Oh, Jung-Taek;Choi, Se-Hy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9.06a
    • /
    • pp.199-201
    • /
    • 2019
  • 최근 경주 포항 지역에 지진피해 등 대구 경북권의 잦은 재난 발생으로 인해 증대되고 있는 노후학교 건축물의 안전성 위험 문제에 대한 선제 대응이 필요한 상황이 요구되고 있다. 학교 건축물에 건물의 위험도를 파악할 수 있는 센서들을 부착하고, 실시간 모니터링을 통해 건물의 구조적 위험성을 판단한다. 건물의 위험도가 심각한 단계에 이르면 스마트폰(Smart Phone) 앱(Application)과 음성안내방송을 통해 건물의 재실자와 관리자에게 즉시 경보를 발령하며, 대피할 수 있도록 가이드를 제시 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 재난경보방송을 위한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통해 재난 상황을 전파하고 대응할 수 있게 건물의 위험성 발생 위치정보를 제공하며 대피 안내 정보를 제공한다. 동시에 건물의 구내방송 시스템과 연계를 통해 음성 안내방송을 자동으로 수행하며, 두 가지 방식으로 재난 메시지를 전파하여 중복성을 가지고 경보 전파를 수행한다.

  • PDF

A Design of Floodgate Lookout System using BRMS (BRMS를 이용한 침수상황감시/현장안내 시스템 설계)

  • Son, Ki-Chon;Kim, Mun-Geon;Park, Choong-Shi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7.11a
    • /
    • pp.217-218
    • /
    • 2017
  • 침수상황감시/현장안내시스템은 핸드폰망(CDMA)등 다양한 통신채널과 이들의 DTMF, SMS, Data 통신 등을 활용하여 수위 등 현장위험 상황을 실시간으로 감시 위험요인 발생 시 비즈니스 룰(Business Rule)을 이용 자동으로 현장안내 및 관리자, 지역주민, 수문 인근 경작지 농민에게 SMS를 이용 즉각 위험 상황을 전달하고, 상황실에 현장 상황 자동표출을 통하여 관계기관 및 국민들이 재난상황에 신속히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이다. 지방자치단체에서 재난상황 관리에 있어 유형별 표준행동 매뉴얼을 관리 시군구재난관리시스템을 이용 운영하고 있으나, 많은 분야별 자료들이 행정적인 업무지시 및 응답에 치중되고 있는 게 현실이다. 이에 지방자치단체에서 관리중인 배수문, 잠수교, 하상주차장 등 위험지역의 침수상황을 실시간으로 감시하며 공무원, 민원인, 인근주민에게 상황단계에 따른 안내 및 관리에 대한 업무프로세스는 상황에 따른 변화가 있어 단순한 프로그래밍에 의한 전산화하기 힘들다. 본 논문에서는 재난전문가의 전문지식을 적극 활용하여 다양한 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BRMS(Business Rule Management System)를 이용하여 침수상황감시/현장안내시스템의 설계를 제안하고자 한다.

  • PDF

Voice Information System to Guide Evacuation based on Directional Speake (지향성 스피커를 활용한 청각 피난안내 시스템)

  • Kang, Shin-Wook;Park, Jung-Woo;Kim, Tae-Hwan;Kim, Jung-g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5.11a
    • /
    • pp.67-69
    • /
    • 2015
  • 최근 우리나라는 사회경제적 발전과 함께 본격적인 고도기술사회로 진입하였다. 그러나 사회의 복잡성 증가로 인하여 오히려 재난에 대한 개인의 대응 능력은 낮아지고 있다. 즉 재난발생시 개인이 파악할 수 있는 정보의 한계로 인하여 정확한 상황판단 및 재난대응이 어려워진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논문에서는 지향성 스피커를 활용하여 사람들에게 재난발생 상황 및 피난에 유효한 정보들을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기술을 제안한다. 또한 센서네트워크를 통하여 재난상황을 종합적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시스템과 연계하여 IoT기반의 지향성스피커 시스템을 개발하여 다양한 사회재난에 활용이 가능한 재난상황 및 피난 유효정보 제공시스템을 제안한다.

  • PDF

A Study on the Pilot Application of Disaster Information Delivery and Evacuation Support System for the Vulnerable Groups (안전취약계층 대상 재난정보 전달 및 대피지원 체계 시범적용 연구)

  • Jung Tae-Ho;Lee, Han-J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10a
    • /
    • pp.139-140
    • /
    • 2022
  • 본 연구는 재난발생 시 현장 상황 판단 및 대응 능력이 현저히 떨어지는 안전취약계층 중 장애인과 노인이 재난정보를 받고 안전하게 대피·대응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시스템의 시범적용에 대한 것이다. 재난정보 전달 및 대피지원 시스템은 재난에 취약한 장애인과 노인이 재난상황에서 각각의 취약 특성을 고려하여 재난 위기상황에 대응하도록 설계 하였으며, 실내 위치측정에 관한 공간정보 표준 및 데이터 구축과 개발한 시스템을 설치하고 구현할 수 있는 실내 공간을 선정하여 시범적으로 적용하였다. 재난정보 및 대피지원 시스템의 시범적용을 위해 선정된 시설의 실내 공간정보 구축 및 현행화를 통해 실내 대피경로를 구축하고, 실제 시범적용을 통해 보완하는 과정을 수행하였다. 장애인·노인 대상 재난정보 전달 및 대피지원 서비스 구축을 위해 실내에서 재난발생 시 재난정보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스마트폰과 연계할 수 있는 연계 모듈을 개발하였다. 또한 재난정보를 스마트폰에 알릴 수 있는 알람 푸시 모듈, 재난정보 및 대피 안내 모듈과 시각 장애인의 실내 공간 인지를 위한 음성안내 모듈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IoT 기반의 통합관제 기술을 활용하는 서비스 제공을 통해서 정보전달의 사각지대를 해소하고 장애인·노인의 효율적 재난 대응을 위해 맞춤형 재난정보 전달 및 대피지원 서비스를 구축하고 시범적용의 과정을 통해 문제점을 보완하여 최종적으로 재난으로부터 안전취약계층의 안전성을 향상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Real-time Automatic Disaster and Information Broadcasting System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기반 실시간 자동재난 및 안내방송시스템의 설계)

  • Lee, Byung-Mun;Park, Jung-In;Kang, Un-Gu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0 no.7
    • /
    • pp.141-152
    • /
    • 2012
  • The typical evacuation guidance system based on fire detectors, which is being widely used in theaters and large buildings, is often operated in an analog manner. In case of fire, it often causes the system to lose a wired line or wireless fire detection sensor, resulting in the difficulty of transmitting signals from a wired or wireless fire detection sensor to the main fire monitoring device. Accordingly, this paper has proposed the broadcasting system for disaster management, having an efficient evacuation guidance plan when a disaster occurs. The system reacts to an emergency situation along with fire alarm sirens in real time. We have implemented the above system by means of a simulation program that prints the evacuation guidance information (e.g., location and time of fire, and evacuation path) on an LCD located in a building through the fire sensor network in case of an emergency (e.g., actual fire). We have developed the simulation system by using mathematical algorithms, such as the optimal path search and the fire smoke diffusion algorithm. This simulation program considers the structure of a building and the location where the fire has initially occurred, applying it to the simulator.

Evacuation Route Searching when disasters occur in indoor utilizing audible·inaudible signal (가청·비 가청 대역을 활용한 실내 공간에서 재난발생 시 대피 경로 탐색방안)

  • Kim, Nam-moon;Kim, Jung-gon;Kim, Young-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5.11a
    • /
    • pp.72-74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시뮬레이션에 머물렀던 기존의 재난 대피경로 안내 기술을 지향성 스피커와 스마트 디바이스와 결합하여 실제 재난발생 시 적용 가능한 기술을 제안하고자 한다. 기존의 연구에서 얻은 대피 경로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지향성 스피커의 방향과 소리의 크기 등의 컨트롤을 통해서 대피자들이 대피 방향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고, 보유하고 있는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하여 대피 방향에 대한 탐색을 통해서 재난으로부터 발생되는 인명 피해를 최소화 하는 기술을 제안하였다. 또한, 가청 과 비 가청 대역을 이용한 대피 안내 방송 송출을 통해서, 재난 발생으로 혼란한 상황에서도 대피 방향 탐색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기술을 제안 하였다.

  • PDF

Guide app for disaster shelter based on public data (공공데이터를 활용한 재난 대피소 안내 앱 개발)

  • Kim, Hyung-No;Hwang, Il-Yeop;Oh, Sang-Heon;Kim, Kuk-Jin;Park, Tae-yok;Jung, Deok-G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6.10a
    • /
    • pp.426-429
    • /
    • 2016
  • 최근 울산, 경주에서 5.0규모 이상의 지진이 발생하면서 이제껏 안전지대라고 여겨왔던 한반도에도 대형 재난이 일어날 수 있다는 불안감과 우려가 확산되고 있다. 이런 위험상황에 대비해 재난 시 이용할 수 있는 대피소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지만 대부분 정확한 위치를 모르고 있는 것이 현 실정이다. 실제 재난이 발생했을 때 우왕좌왕하는 사이 더 큰 피해로 이어질 수도 있으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해 재난 대피소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생각하게 되었다. 재난대피소 안내 애플리케이션은 부산시 공공데이터를 활용해 가장 가까운 대피소의 위치를 찾아주고 국민안전처의 재난에 대한 SMS를 수신 시 해당 앱의 강제 부팅 기능을 제공한다.

  • PDF

A Proposal of Design Guidelines for Subway Guide Board -Focusing on Seoul Metro- (지하철 안내전광판의 디자인 가이드라인 제안 -서울 메트로를 중심으로-)

  • Jeong, Su-Hyun;Kim, Seung-I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8 no.10
    • /
    • pp.437-442
    • /
    • 2020
  • Information boards installed in Seoul subway stations are currently in four languages: Korean, English, Chinese, and Japanese. Informational announcements are provided to inform the main information or operation information through the LCD monitor installed in the train and in Korean. However, users are confused because the subway guide board screen displays advertisements more heavily than driving information As a research method, we grasped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the subway guide board installed on the Seoul subway, and presented an improved new subway guide board draft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67 people, ranging from teens to 60s who mainly use the Seoul Metro.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screen design is different for each boarding route, so it is necessary to unify the subway guide board that provides only necessary information. In particular, since the user transfers the subway several times in order to move from place to place, the subway guide board design should function as an emergency disaster guide or boarding information, not an advertising signboard.

Village Broadcasting System using Mobile App (모바일 앱을 활용한 마을방송시스템 개발)

  • Kim, Won-Young;Kim, Jong-heon;Lee, Young-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2.10a
    • /
    • pp.977-979
    • /
    • 2012
  • The existing wireless village broadcasting systems use the method to connect to village broadcasting system using wire/wireless telephone to announce the important notices, public relations, and disater status. This type of systems have the problems that if broadcaster is facing rough going or forget the announcement time, it is impossible to inform village people important contents, urgent disaster status, evacuation method. This paper describes internet based village broadcasting system using mobile App to solve these problems. Broadcaster can save the voice and send the voice to App server using the mobile App to activate that voice specific day and time. This mobile App system can improve the efficiency and customer satisfaction of village broadcasting system.

  • PDF

Non-Fire Alarm Management and Customized Automatic Guidance System (비화재보 관리 및 맞춤형 자동안내 시스템)

  • Hyo-Seung Lee;Ju-Sang Lee;Woo-Jun Choi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18 no.2
    • /
    • pp.355-360
    • /
    • 2023
  • Fire is a disaster that causes irreversible damage to many people due to personal injury and property damage. Various fire detection equipments are installed around us to detect and cope with it quickly. However, due to various problems such as artificial, environmental, and aging, fire detection equipment is activated even though it is not a actual fire, and there are many problems such as delaying the support to the necessary fire scene.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non-fire alarm of the fire detection equipment and propose a system that enables the field staff to check the scene situation through the video as a way to prevent the mobilization due to the misinformation by checking the fire.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tably cope with a disaster by suggesting a customized automatic guidance system which induces a rapid evacuation by sending an evacuation guidance notification to a range of a fire occurrence neighboring area, and supports a rapid and accurate processing by a rapid dispatch of a firefighter, rather than a wide range of guidance such as an existing emergency disaster guidance letter when it is determined to be an actual fire through the confirmation proced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