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재난사례

검색결과 562건 처리시간 0.034초

재난현장 상황평가 고려요소(MORT-TAC)를 활용한 재난사례 연구 (A Study on the Disaster Case Using MORT-TAC)

  • 김성근;정종수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9권4호
    • /
    • pp.757-769
    • /
    • 2023
  • 연구목적: 본 논문은 김성근의 박사학위 논문에서 제시한 재난현장 상황평가 고려요소인 MORT-TAC를 활용하여 재난사례를 연구하여 MORT-TAC의 적용성을 검증하고 연구의 외연을 확장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문헌연구를 중심으로 하여 MORT-TAC를 활용 재난사례를 연구하였다. 연구결과: 재난현장 상황평가 고려요소(MORT-TAC)는 재난사례를 연구함에 있어 유용한 연구방법론으로 활용 가능하며 재난현장 상황평가를 통해 재난현장을 입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결론: 재난현장 상황평가 고려요소인 MORT-TAC를 활용하여 재난사례를 연구하는 것은 재난관계관들의 전문성 향상과 재난현장에 대한 통찰력을 갖는 데 유용하다.

정보시스템에 대한 재난복구 - Comdisco사의 실시간 재난복구서비스 사례 - (Disaster Recovery for Information System - Realtime Disaster Recovery Services Case of Comdisco, Inc. -)

  • 김기윤;나관식
    • 정보보호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03-116
    • /
    • 1996
  • 재난에 관한 내용적 연구로서 실시간 재난복구를 위한 의사결정지원시스템과, 과정적 연구로서 재난복구를 위한 위기관리모형을 설명한다. 또한, 정보시스템의 재난복구전략을 구체적으로 기술하고, 특히 Comdisco사의 실시간 재난복구서비스 사례를 제시하고자 한다.

  • PDF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활용한 재난사고정보 분석 (Analysis of disaster-accident information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lgorithm)

  • 안재황;최영제;이인화;채희찬;이재응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7년도 학술발표회
    • /
    • pp.106-106
    • /
    • 2017
  • 우리나라는 현재 재난의 유형을 자연재난과 사회재난으로 구분하여 관리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 재난 사고 사례를 살펴보면 단일재난으로 인한 피해보다 자연재난이 발생한 이후 사회재난으로 재난이 전파되는 복합재난의 형태가 종종 나타나고 있다. 복합재난은 단일 재난에 의한 피해(인적, 물적) 보다 크게 나타나고 복합재난의 발생원인 및 전파과정을 분석하기 어려워 이에 대한 다각적인 분석과 동시에 재난상호간의 연관성을 도출하는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과거 재난사고정보를 분석하는 연구는 일반적인 통계기법을 활용한 분석에 머물러 있으며 수집된 재난사고사례가 많지 않아 분석에 신뢰성을 보장할 수 없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복잡하게 나타나는 재난 사고를 분석하기 위하여 최근 각광받고 있는 인공지능 분석기법을 연구에 고려하였다. 본 연구의 과정은, 첫째로 재난사고정보 분석에 인공지능을 활용한 사례를 조사하고 여타 연구분야에서 적용되고 있는 인공지능 분석기술을 재난사고정보 분석에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둘째로 수집가능 한 재난사고정보를 수집하고 인공지능 모형에 적용가능 한 형태로 변환하는 과정을 수행하였다. 셋째로 변환된 재난사고정보를 대표적인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다양한 질문(목적)에 부합하는 재난사고정보 분석모형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다양한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적용한 모형의 신뢰성을 비교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재난사고정보 분석에 적용가능 하며 질문(목적)에 부합하는 최적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 PDF

해저거주공간 재난 및 피난 특성 연구

  • 김승일;강영훈;이한석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23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74-76
    • /
    • 2023
  • 해저공간을 인류의 삶의 터전으로 바꾸기 위해서는 거주자의 안전이 반드시 확보되어야 한다. 하지만 해저거주공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재난과 재난 발생 시 이루어지는 피난의 특성에 대해서는 연구가 적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해저거주공간의 재난 및 피난 특성에 관해 연구를 진행한다. 현재 운용 중인 해저거주공간의 사례가 드물어 우선 수중공간에서 장기간 임무를 수행하는 잠수함의 사고 사례와 수중연구실로 운영되고 있는 수중해비타트의 사고 사례를 분석하여 해저거주공간의 재난 및 피난 특성을 도출한다.

  • PDF

과거 재난사례를 통한 침수지역 자원동원 현황 분석 (Analysis of Resource Mobilization in Inundation Area through Past Disaster Events)

  • 장하영;김연수;장대원;김덕길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3년도 학술발표회
    • /
    • pp.404-404
    • /
    • 2023
  • 최근 국지성 집중호우 등 기상이변의 영향으로 침수피해의 위험성은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고, 도시화로 인한 불투수면적의 증가, 녹지공간의 감소, 도시의 난개발 등 물순환 체계의 왜곡에 따른 침수로 인한 피해가 다수 발생하고 있다. 침수 발생 시 막대한 인적 및 물적 피해가 발생할 수 있기에 재난초기에 재난관리자원의 신속한 확보와 동원은 피해확산 방지에 매우 중요하고, 자원의 부족이나 동원의 지연으로 초기 대응이 늦어질 경우 피해가 확대될 수 있기에 침수발생 특성에 따른 필요 자원의 비축 및 동원이 필요하다. 하지만, 재난관리자원은 종류가 다양하고 요구되는 비축량이 많기에 모든 재난관리자원을 보유하고, 활용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른다. 따라서 침수피해재난을 중심으로 최적 자원 비축을 통한 효율적인 재난관리자원 운영 및 관리체계의 마련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과거 20년(2001년~2020년) 동안 발생한 침수피해 관련 재난(호우, 태풍, 풍랑)사례를 통해 재난발생 시 동원된 자원현황을 분석하였다. 재해연보, 관련 백서 및 보고서, 침수흔적도 등의 수집 및 분석을 통해 지자체 침수피해 현황을 분류하고, 침수재난과 관련된 자원의 비축 및 운용 사례 분석을 통해 장비 28종, 자재 6종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침수재난 발생 시 지자체별 침수피해 규모와 필요한 재난관리자원을 도출한 점에서 그 의미가 있으며, 향후 재난관리자원의 효율적인 비축 및 관리계획 수립에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침수 발생 시 자원동원 사례 및 문제점 고찰 (A Study of Resource Mobilization Cases and Problems in the Case of Inundation)

  • 김연수;장하영;정민영;전호영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3년도 학술발표회
    • /
    • pp.406-406
    • /
    • 2023
  • 자연재난은 각각의 유형별로 발생 특성이 다양하고, 피해 유형도 상이하기에 재난 발생 시 재난 특성에 따른 최적 자원의 비축 및 동원이 필요하다. 하지만, 재난관리자원은 종류가 다양하고 요구 비축량이 많으며, 재난유형별로 발생특성이 다양하고 피해유형도 상이하기 때문에 모든 자원을 비축하고 활용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른다. 따라서 재난특성에 맞는 필요 자원의 비축을 통한 효율적인 재난관리자원 운영 및 관리체계 마련이 필요하다. 특히, 침수관련 재난(호우, 태풍, 풍랑)의 경우 과거 20년(2001년~2020년)동안 발생 건수는 282건으로 같은 기간 발생한 413건의 자연재난 중 68%를 차지할 만큼 침수 대응에 따른 필요 자원의 분석이 필요하지만, 관련 자원의 운영현황 및 발생한 문제점에 대한 분석은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과거 20년(2001년~2020년)동안 발생한 침수관련 재난(호우, 태풍, 풍랑)발생 시 동원된 재난관리자원 사례를 분석하였다. 재해연보, 관련 백서 및 보고서 등의 수집 및 분석을 통해 침수 발생 시 동원된 장비, 자재를 분석하였으며, 자원동원 시 발생하는 문제점을 자원비축, 자원능력, 자원활용, 대응시간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과거 발생한 침수관련 재난에 대하여 재난관리자원의 동원 사례와 시사점 및 문제점을 도출한 점에서 그 의미가 있으며, 향후 침수 관련 재난 발생 시 자원의 효율적인 비축 및 관리, 동원 및 응원 등 효율적 운영방안 수립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재난유형별 재난대응 시 자원동원관련 문제점 분석 (An Analysis of the Problems Related to Resource Mobilization in Disaster Response by Disaster type)

  • 장대원;김지영;김연수;전재준
    • 한국재난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재난정보학회 2017년 정기학술대회
    • /
    • pp.345-346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재난유형별 재난 대응시 재난관리자원 동원과 관련하여 발생한 문제점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재난 발생시 재난확산방지를 위하여 신속한 대응이 중요하나, 재난대응에 대한 문제점 분석이 미흡한 실정이다. 재난대응에 대한 분석을 위하여, 최근 20년(1996~2015년)동안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및 지역재난안전 대책본부가 운영된 사회재난 사례를 수집 분석하였다. 재난사례 중 자원동원관련 정보 확인이 가능한 사회재난에 대하여 재난유형을 분석하고, 발생빈도가 높은 재난유형에 대하여 재난 대응시 자원동원과 관련한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재난유형 분석결과, 화재사고가 34건으로 가장 많이 발생하였으며, 폭발사고가 14건, 교통사고가 10건으로 발생하였다. 재난유형 중 발생 건수가 많았던 화재, 폭발, 교통사고의 재난 대응시 자원과 관련하여 문제점을 분석한 결과, 전체적으로 초기대응 미흡으로 인한 자원동원 소요시간 증가문제가 가장 많이 발생하였으며, 그 다음으로 보유자원 부족으로 인한 문제가 많이 발생하였다.

  • PDF

재난대비 비상통신 사례 분석

  • 김성연;남기동;전덕중
    • 정보와 통신
    • /
    • 제20권7호
    • /
    • pp.908-925
    • /
    • 2003
  • 재해나 재난 발생 시 재난 대비 비상통신시스템의 미비로 인하여 인명이나 재산상의 피해를 늘리기도 하고, 재난 복구에 차질을 빚게 하기도 한다. 따라서 각 국에서는 재난 대비 비상통신시스템을 정부 주도로 정비하여 재난 발생 시 신속한 통신시스템 운용으로 피해를 줄이고자 노력하고 있다. 그리고 표준화 단체를 중심으로 비상통신시스템에 대한 표준을 개발하고 있다. 본 고에 서는 외국의 비상대비 통신 프로그램에 대하여 미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알아보고, 표준화 기구의 기술개발 동향을 살펴보고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GPS 기술을 활용한 도로 제설장비 운영 사례 분석 (Operation Case Analyses of Road Snow Removal Equipments using GPS Technologies)

  • 김희재;김근영
    • 한국재난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재난정보학회 2017년 정기학술대회
    • /
    • pp.362-363
    • /
    • 2017
  • 최근 기후변화에 따라 여름철 태풍, 호우와 겨울철 대설, 한파 등의 기상재난이 증가하고 있다. 대설재난은 교통, 건물, 시설물 등에 다양한 피해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신속한 대처가 필요하다. 대설재난이 도시안전에 영향을 주고 있으나 우리나라의 대설재난 대처는 미흡하고, 정책 연구도 부족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대설재난이 발생할 때 신속한 도로 제설을 위하여 제설차량과 장비에 GPS 기술을 활용한 사례를 분석하고, 시사점을 도출한다. 도로 제설장비에 GPS 장비를 부착하면 긴급 상황시 제설차량과 장비의 위치를 파악하여 인근지역의 도로 제설을 응원할 수 있다. 본 연구의 사례 분석은 향후 지자체 제설장비의 효율적 이용을 위해 활용될 수 있다.

  • PDF

재난관리조직의 조직학습 사례분석-대구지하철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Organizational Learning of the Disaster Management Organizations: the Cases of Daegu Subway)

  • 김종환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6권10호
    • /
    • pp.211-218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재난관리의 실패를 과거의 경험적 지식을 통해 재난의 예방과 대응, 복구가 이루어져야 함에도 유사한 재난의 발생과 되풀이되는 실패를 재난관리 조직들의 학습부재에서 찾고 있다. 즉, 재난관리 조직이 경험적 오차로부터 학습하지 못한다는 것은 조직자체가 환경에 적응하지 못한다는 뜻이며, 미래에도 동일한 재난을 반복할 가능성이 크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재난관리 실패의 원인을 조직학습 관점에서 분석하여 반복되는 실패의 문제점을 검증하므로써 유사한 실패의 반복을 막고, 우리나라 재난관리 정책에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사례의 분석대상은 2003년 대구지하철 화재 사고를 선정하였다.